전체 질환부정맥유발성 우심실 형성이상개요우심실의 심장근육이 지방조직이나 섬유조직으로 대체되어 부정맥, 심부전, 급사를 유발하는 매우 드문 유전성 심근 질환입니다. 약 1000-1250명당 1명3) 비율로 발생합니다.우심실의 심장근육이 지방이나 섬유조직질병관리청2020. 1. 1.조회 206
전체 질환비가역적 확장성 심근병증개요비가역적 확장성 심근병증(Irreversible dilated cardiomyopathy)은 심근병증 중에서 가장 흔한 유형으로 40-60대에 주로 발병하나 영아기, 소아기, 청소년기 중 어느 시기에도 나타날 수질병관리청2020. 1. 1.조회 318
심내막심근섬유증심내막심근섬유증의 원인, 진단, 치료 및 관리심내막심근섬유증(Endomyocardial fibrosis)(EMF)은 북미에서는 드물지만 개발도상국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는 흔한 질환입니다. 좌심실과 우심실의 심내막심근섬유증이 특징이며, 이는 제한성 심근병StatPearls2024. 6. 28.조회 85
전체 질환에브스타인이상개요에브스타인이상은 1866년 엡스타인에 의해 처음 기술된 질환으로, 삼첨판막이 하향 전위하여 우심실 첨부 쪽으로 아래에 형성되어 심방화 된 심실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삼첨판막의 기형이 결국질병관리청2020. 1. 1.조회 116
원발성 폐동맥고혈압원발성 폐동맥고혈압의 원인, 진단, 치료 및 관리폐고혈압, 일명 특발성 폐동맥 고혈압(IPAH)은 전모세혈관 폐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IPAH의 정확한 기저 위험 요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폐동맥 압력은 휴식 시 지속적으로 25 mmHgStatPearls2024. 6. 28.조회 139
전체 질환수정혈관전위개요수정혈관전위는 방실연결불일치와 대혈관의 좌측 전위가 동반된 심혈관 기형을 말합니다. 즉 우심방은 전신을 순환하고 돌아온 정맥혈을 받아, 승모판막을 통해 우측에 위치한 해부학적인 좌심실로 보냅니다. 좌심방은 폐를 질병관리청2020. 1. 1.조회 35
전체 질환좌측전위개요정상적으로 심장에서 기시하는 두 대혈관 중 대동맥은 오른쪽, 뒤쪽에 위치하고 폐동맥은 왼쪽, 앞쪽에 위치합니다. 그러나 대혈관의 좌측전위가 있는 경우에는 대동맥이 왼쪽, 앞쪽에 위치하고 폐동맥이 오른쪽, 뒤쪽에 질병관리청2020. 1. 1.조회 22
전체 질환폐색성 비대성 심근병증개요비대성 심근병증은 심근의 유전성 질환으로 청소년기와 청년기에 주로 발병하며, 청소년 및 청년, 특히 운동 선수에서 급사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비대성 심근병증에서는 특징적으로 좌심실의 벽이 주로 두꺼워지며, 좌질병관리청2020. 1. 1.조회 65
형성저하성 좌심 증후군형성저하성 좌심 증후군의 원인, 진단, 치료 및 관리형성저하성 좌심 증후군(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은 심장의 좌측 구조(승모판, 좌심실, 대동맥판,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의 발달이 미흡한 선천성 심장 질환의 일종입니다. 형성저하성StatPearls2024. 6. 28.조회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