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1, DM2, 근긴장 디스트로피, dystrophia myotonica, 근육긴장성 디스트로피, 쿠르슈만-배튼-스타이너트 증후군, 근육긴장성 디스트로피, 스타이너트 병, 근긴장성 이영양증

미국 FDA 통계에 따르면 2023년에 새롭게 허가받은 신약의 약 절반이 희귀질환 치료제라고 해요.

전 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많은 임상시험 중, 근긴장 디스트로피 치료제 임상시험은 어디까지 진행되었을까요?

DM1, DM2, 근긴장 디스트로피, dystrophia myotonica, 근육긴장성 디스트로피, 쿠르슈만-배튼-스타이너트 증후군, 근육긴장성 디스트로피, 스타이너트 병, 근긴장성 이영양증

근긴장 디스트로피 임상시험 현황

근긴장 디스트로피는 크게 DMPK 유전자 변이로 발생하는 근긴장 디스트로피 1형(DM1 또는 스타이너트병Steinert disease)과 CNBP 유전자 변이로 발생하는 근긴장 디스트로피 2형(DM2)으로 나뉘어요. 
현재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근긴장 디스트로피 치료제는 8개로, 이들은 상대적으로 흔한 DM1을 대상으로 해요.

모든 근긴장 디스트로피 임상시험은 레어노트 치료 탭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요. 

1. 나무스클라, 임상 3상 모집 중

 

프랑스에서 6~18세 소아 청소년 DM1 또는 DM2 환자를 대상으로 나무스클라의 효능, 안전성 등을 평가해요.
  • 성분명: 멕실레틴Mexiletine
  • 책임 기관: 루핀
  • 나무스클라의 주성분인 맥실레틴은 일반적으로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데요.
    멕실레틴은 근육세포의 특정 전기 신호가 과활성화되어 근육의 수축 및 경직이 발생하는 근긴장 디스트로피에서도 해당 전기 신호와 관련된 채널을 차단해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돼요.

2. 메트포르민, 임상 3상 모집 전

 

프랑스에서 18~70세 DM1 환자를 대상으로 메트포르민의 효능, 안전성 등을 평가해요.
  • 책임 기관: 프랑스 파리 대학병원 연합(APHP)
  • 메트포르민Metformin은 갈레가라는 식물에서 유래한 성분으로, 공복 혈당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수십 년 동안 사용되어 왔는데요. 일부 연구에서는 노화 관련 증상 완화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최근 연구에 따르면 DM1 환자는 전반적으로 가속화된 노화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며, 골격근과 관련된 인슐린 수용체의 이상으로 인슐린 반응성이 떨어져 있으므로 메트포르민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돼요.

3. 티데글루십, 임상 2/3상 모집 중

 

미국, 호주 등 4개 국가에서 6~45세 선천성 또는 소아기 발병 DM1 환자를 대상으로 티데글루십의 효능과 장기 안전성을 평가해요.
  • 책임 기관: AMO 파마
  • 티데글루십Tideglusib은 글리코겐 합성효소 키나아제(GSK3βGlycogen synthase kinase 3β)를 억제하는데요.
    DM1의 원인인 DMPK 유전자 변이는 골격근에서 발현되어 세포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GSK3β를 비정상적으로 증가시켜요. 그러나 GSK3β의 과활성화는 근육 조직과 중추 신경계의 시냅스 형성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티데글루십이 GSK3β를 억제하면 증상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돼요.

4. AOC 1001, 임상 2상 진행 중

 

5~17세 골형성 부전증 1, 3, 4형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률 및 골밀도에 대한 이베니티의 효능과 안전성을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비교 평가해요.
  • 의약품: DMPK mRNA 표적 항체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접합체(AOC)
  • 책임 기관: 에비디티 바이오사이언시스
  • AOC 1001은 DMPK 유전자 변이로 근육세포에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적을 유발하는 mRNA의 생성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 단일클론 항체와 siRNA의 접합체를 기반으로 해요. 

5. 피톨리산트, 임상 2상 진행 중

 

미국과 캐나다에서 18~65세 DM1 환자를 대상으로 피톨리산트의 여러 용량에 대한 효능, 장기 안전성, 내약성 등을 평가해요.
  • 책임 기관: 하모니 바이오사이언시스
  • DM1 환자는 주간 과다 졸림, 중추성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하지불안 증후군, 주기성 다리 운동 등의 비근육성 증상을 동반할 수 있는데요. 특히 주간 과다 졸림은 환자의 70~80%가 경험해요.
    피톨리산트Pitolisant는 중추 신경계와 일부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에 관여하는 히스타민 H3 수용체를 억제해 기면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주간 과다 졸림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돼요.

6. DYNE-101, 임상 1/2상 모집 중

 

프랑스, 독일 등 6개 국가에서 18~49세 DM1 환자를 대상으로 DYNE-101의 효능, 안전성, 내약성 등을 평가해요.
  • 의약품: DMPK mRNA 표적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ASO)
  • 책임 기관: 다인 테라퓨틱스
  • DYNE-101은 DM1 환자의 근육 조직에서 비정상적인 DMPK mRNA을 감소시키고 정상적인 단백질이 생성되도록 설계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기반으로 해요.

7. VX-670, 임상 1/2상 모집 전

 

18~64세 DM1 환자를 대상으로 VX-670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등을 평가해요.
  • 의약품: DMPK mRNA 표적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ASO)로 추정
  • 책임 기관: 버텍스 파마슈티컬스
  • VX-670 또한 DMPK mRNA을 표적으로 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기반의 치료제로, 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설계되었어요.

8. ARO-DM1, 임상 1상 모집 전

 

18~65세 DM1 환자를 대상으로 ARO-DM1의 안전성, 내약성 등을 평가해요.
  • 의약품: DMPK mRNA 표적 RNAi 치료제 후보물질
  • 책임 기관: 애로헤드 파마슈티컬스
  • ARO-DM1은 비정상적인 DMPK mRNA가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도록 설계된 RNA 간섭(RNAiRNA interference) 기반의 치료제로, 애로헤드의 자체 약물 전달 플랫폼인 TRiM™을 통해 DM1 환자의 골격근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개발되었어요. 

 

레어노트 치료 탭에서는 전 세계 근긴장 디스트로피 임상시험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이 임상시험 소식이 도움이 되었다면  주변에도 널리 공유해 주세요! 

함께 보면 더 좋은 임상시험 소식

주변에도 알려 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