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레어노트 팀입니다.

금번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과 저희 레어노트는 '결절성경화증 어떻게 진단하나요?' 라는 주제의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과 다시 한 번 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세미나 다시보기 영상을 공유드립니다.

 

🎥 세미나 다시보기

  • 주제: 결절성경화증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 연사: 충북대학교병원 김존수 교수, 충남대학교병원 강준원 교수 
  • 내용: 결절성경화증 진단법, 유전적 특성, 치료 방향 등

[다시보기 영상 보러가기]

 

본 공개 강좌는 '한국형 결절경화증 코호트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추후 더 도움드릴 수 있는 세미나를 준비하여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형 결절경화증 코호트 구축사업
2025년부터 3년간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 사업으로 한국인 결절경화증 환자들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소아뇌전증 관련 세미나 다시보기>

1회차: 뇌전증 관리를 위해 우리 아이가 먹는 약에 대해 알고 싶어요
2회차: 뇌전증과 유전자는 어떤 사이일까?
3회차: 희귀 유전성 소아뇌전증, 드라베 증후군을 알려주세요
4회차: 처음에는 낯설어도, 알고 보면 두렵지 않은 롤란딕 뇌전증과 소발작 뇌전증
5회차: 결절성경화증 관리법 대공개
6회차: 뇌전증에서 대마 오일의 효과와 안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