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만노사이드축적증(mannosidosis)은 유전성 리소좀축적병의 한 종류로서 특정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만노사이드가 결합조직에 축적되는 질환입니다. 증상으로는 면역결핍, 안면 및 골격 이상, 청각장애, 인지기능저하가 나타납니다. 사람에서는 알파-만노사이드축적증이 주로 보고되었고, 이전에 동물 실험에서 증명되었던 베타-만노사이드축적증이 최근에 사람에서 발병보고가 있었습니다. 알파-만노사이드축적증의 유병율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대략 출생아 50만명 중 한 명꼴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만노사이드축적증은 대사 유전질환으로 상염색체 열성유전 질환입니다.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리소좀 알파-만노사이드분해효소 결핍이 일어나고, 이 효소의 결핍으로 만노사이드가 증가하여 각종 이상을 나타냅니다.

증상

이 질환에 이환된 환아는 영아기 및 소아기부터 감염 질환을 자주 겪는데, 이는 면역결핍에 의한 것입니다. 특히 10세 이전에 잦은 감염을 겪습니다. 면역결핍은 혈청 내 올리고당 수치 증가와 관련이 있는데, 올리고만노사이드(oligomannoside)의 곁가지가 IL-2 수용체에 붙어서 IL-2 의존성 반응을 방해하여 면역 반응을 차단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안면 및 골격 이상, 청각장애, 인지기능저하를 보입니다. 2가지 종류로 분류되는데, 제 I형은 중증으로 간비장비대를 동반하며 심각한 감염으로 어린 나이에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제 II형은 경증으로 청력소실과 지적장애를 보이고 성인기까지 생존하나, 결국은 진행성의 신경퇴행이 나타나게 됩니다.

얼굴 기형은 인종과 유전에 관계없이 헐러양 (Huler-like) 모습을 보입니다. 머리가 크고, 이마가 튀어나와 있고, 눈썹이 둥글고, 콧등이 평평하고, 혀가 크고, 치아 간격이 넓고, 턱이 돌출되어 있으며 목은 일반적으로 짧습니다.

뼈발생이상(dysostosis)은 90%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척주측만증과 복장뼈(흉골, sternum) 변형이 가장 흔하고 출생시부터 존재합니다. 외반슬(X자 무릎)도 흔하며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수술적으로 치료 가능합니다.

중간 정도 또는 중증의 감각신경성 청력 소실은 불가피하며, 중이염으로 인해 점점 악화됩니다. 약간의 사시는 흔하고, 근시보다 원시가 흔합니다.

거의 모든 환자가 어느 정도의 정신 지체를 보입니다. 첫 증상은 보통 말하기, 운동 기능, 또는 정신 기능의 발달이 늦어지는 것입니다. 지능 지수 60-80의 정신 지체를 보이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후퇴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제한된 어휘와 좋지 않은 발음을 보이는 언어 발달 장애는 청력 소실과 관계될 수도 있습니다.

만노사이드축적증의 증상

운동 기능 발달이 늦으므로 환아는 둔해 보입니다. 이것은 근력저하, 관절기형, 뇌실질수축에 의한 실조증, 대뇌탈수초증에 의한 것입니다.

진단

혈액 백혈구 또는 섬유모세포에서 알파-만노사이드분해효소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에서 만노스(mannose)가 많이 포함된 올리고당이 증가된 소견은 진단을 뒷받침하지만 확진에 이용되지는 않습니다. 유전검사에서 MAN2B1 유전자 돌연변이를 밝혀내기도 합니다.

치료

만노사이드축적증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하여 골수이식이 시도되기도 합니다. 이는 효소를 생산하는 공여자 세포가 수여자(환자)의 조직에 생착한 후 효소가 결핍된 수여자 세포에 효소를 운반하도록 하기 위해 시도되는 치료입니다. 만노사이드축적증의 합병증이 아직 나타나지 않은 어린 나이일수록 효과적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식 관련 합병증의 부담이 커집니다.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비특이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수두증, 중이염, 청력저하, 충치, 척추만곡증, 외반슬(안굽이무릎, X각 무릎) 등이 있습니다. 감염이 자주 발생하므로 반드시 치료하고, 골격계 이상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거나 보장구를 착용합니다. 정신 상태에 대한 평가 및 모니터링도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1. 홍창의 소아과학 제9판
2.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ition
3. Malm D, Nilssen Ø. Alpha-Mannosidosis. Orphanet J Rare Dis. 2008 Jul 23;3:21.
http://omim.org/entry/248500
http://omim.org/entry/248510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대한의학회 ※최종 업데이트일 : 2012.12.07 -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 대한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