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AA 환자에게 질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되었으며, 해당 환자 및 보호자만을 대상으로 제공됩니다. 본 자료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증상과 관련한 사항은 반드시 담당 의료진과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재생불량빈혈(Aplastic Anemia, AA)이란?
재생불량빈혈은 뼈 속에 있는 골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되는 조혈모세포를 만드는 뼈 안에 있는 스펀지 같은 조직)에 문제가 생겨 몸에 필요한 새로운 혈액세포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는 희귀혈액질환입니다.1
재생불량빈혈 환자의 경우 조혈모세포가 손상되어, 정상적인 혈액세포를 형성하는 조혈모세포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골수에서 만들어지는 혈액세포 자체는 정상이지만, 그 수가 충분하지는 않습니다.1-3
2. 재생불량빈혈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몸의 면역체계가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공격해 파괴하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1
원래 면역체계는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만 공격해야 하지만, 자신의 세포를 잘못 공격하는 경우를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하며, 재생불량빈혈도 일반적으로 자가면역질환으로 여겨집니다.1
재생불량빈혈은 후천성과 유전성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1
- 유전성 재생불량빈혈: 부모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아 발생하며, 주로 어린 시기에 진단되고 후천성보다 훨씬 드뭅니다. 또한 다른 유전적 또는 발달상의 이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판코니 빈혈, 슈바크만-다이아몬드 증후군, 선천성 이상각화증, 다이아몬드-블랙판 빈혈 등 특정 유전 질환이 조혈모세포를 손상시켜 재생불량빈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
후천성 재생불량빈혈: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후천성 재생불량빈혈의 약 75%는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특발성)입니다.1
후천성 재생불량빈혈의 약 25%는 다음과 같은 원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1
- 농약, 벤젠 등 독성 물질
- 방사선 또는 화학요법과 같은 항암 치료
-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른 자가면역질환 치료
- 임신 (이 경우 출산 후 호전되는 경우도 있음)
- 간염,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거대세포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 B19, HIV 등 감염성 질환
- 다른 부위의 암이 뼈로 퍼져서 재생불량빈혈이 생길 수 있음
3. 재생불량빈혈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재생불량빈혈의 증상은 혈액세포 수가 부족해서 생기며, 어떤 종류의 혈액세포가 부족한지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1
*본 자료는 의사의 진료와 진단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증상이 확인되실 경우 의료진과 즉시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
- 적혈구 수 감소: 적혈구 수가 낮을 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피로감입니다. 또한 숨이 차거나, 어지러움 (특히 일어설 때), 두통, 손발이 차가움, 창백한 피부, 가슴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
-
백혈구 수 감소: 백혈구 수치가 낮으면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발열, 구내염, 폐렴, 기관지염, 방광염 등).1,2
- 혈소판 수 감소: 혈소판 수치가 낮으면 출혈 경향이 높아지고 멍이 쉽게 들 수 있습니다 (코피, 잇몸출혈 등).1,2
4. 재생불량빈혈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재생불량빈혈은 혈액 검사, 골수 검사,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3
5. 재생불량빈혈은 어떻게 치료하나요?1
재생불량빈혈 치료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며, 혈액 속에 건강한 세포 수를 늘리는 것이 치료의 주요 목표입니다.1
*본 자료는 의사의 진료와 진단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증상이 확인되실 경우 의료진과 즉시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
경증 또는 중등도의 재생불량빈혈 환자는 상태가 악화되지 않는 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1
하지만 중증 재생불량빈혈 환자는 합병증을 막기 위해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하며, 초중증인 경우에는 병원에서 응급 치료가 필요합니다. 초중증 재생불량빈혈은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1
6. 재생불량빈혈과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은 어떤 연관성이 있나요?
재생불량빈혈과 PNH는 동반질환으로 함께 발견되기도 하며, 재생불량빈혈 환자의 40-60%에서 ‘PNH 클론’이 검출됩니다.4
1) PNH 클론이란?
‘PNH 클론’ 세포는 보체 시스템 (면역체계)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단백질이 결핍된 혈액세포입니다.6
‘PNH 클론 크기’는 전체 혈액세포 중 PNH 클론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 혈액세포의 60%가 PNH 클론 세포라면, 클론 크기는 60%)6
2) 재생불량빈혈 환자에서 PNH 클론이 있다면 어떤 영향이 있나요?
- 재생불량빈혈 환자의 1/3에서 큰 클론 크기 (>50%)를 보이며, PNH 질환의 전형적인 특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7
- PNH를 동반한 재생불량빈혈 환자의 경우 골수성 종양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이 때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7
- PNH 상태는 재생불량빈혈 환자의 치료 및 관리 계획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용혈 증상이 우세한 경우 PNH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고, 중증의 골수부전이 우세한 경우 재생불량빈혈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할 수 있습니다.7
3) 재생불량빈혈 환자를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하면서 시행할 수 있는 검사는?
- 일반적인 혈액검사는 젖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와 망상적혈구 수치가 있습니다.7
- 이 두 가지 검사는 PNH에서 적혈구가 파괴되는 현상 (용혈)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유세포분석검사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7
- 재생불량빈혈 진단 시 유세포분석검사로 PNH 클론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재생불량빈혈 환자의 상당수에서 PNH 클론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7
7.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의심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PNH는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 혈전증, 그리고 혈액세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가 부족해지는 세 가지 주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입니다.8
*본 자료는 의사의 진료와 진단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증상이 확인되실 경우 의료진과 즉시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Clinical News. Patient Education. WHAT IS APLASTIC ANEMIA?. September 2015.
- Aplastic Anemia and MDS International Foundation. Your Guide to Understanding Aplastic Anemia. 2024
- 대한혈액학회. 환우와 가족을 위한 혈액 질환 소개서. 재생불량빈혈. 제2판. 2018.
- NHS PNH National Service. What causes PNH?. Available at <https://pnhserviceuk.co.uk/patient-information/what-is-pnh/what-causes-pnh/> accessed May 2025.
- 한국혈액암협회.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Available at <https://www.kbdca.or.kr/bbs/board.php?tbl=bbs31&mode=VIEW&num=104&category=&findType=&findWord=&sort1=&sort2=> accessed May 2025.
- European Society for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EBMT). A practical guide for nurses and allied healthcare professionals. Understanding PNH. October 2015.
- Wong RSM, et al. Monitoring and Treat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in Patients with Aplastic Anemia in Asia: An Expert Consensus. Int J Mol Sci. 2024 Nov 13;25(22):12160.
- Aplastic Anemia and MDS International Foundation. PNH Toolkit. Understanding the Symptoms of PNH.
- Patriquin CJ, et al. How we treat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A consensus statement of the Canadian PNH Network and review of the national registry. Eur J Haematol. 2019 Jan;102(1):36-52.
- Kulasekararaj AG, et al. The importance of terminal complement inhibition in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Ther Adv Hematol. 2022 May 30;13:20406207221091046.
KR-20024 I Exp. 2027-07(Prep. 202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