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월드뉴스
난청 돌연변이 발견하고 한국인 난청 유전자 지도 구축
레어노트 업데이트일
2025. 7. 3.
기사 발행일
2025. 7. 3.
조회
0
통합적 유전자 분석 방법을 통해 감각신경성 난청(SNHL)의 유전적 원인이 규명됐다. 아울러 한국인의 난청 유전자 지도가 새롭게 구축됐다.서울대병원 소아이비인후과 이상연 교수와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ㆍ이승복 교수, 이노크라스 고준영 박사, 스탠포드대 유전체연구실 박성열 박사로 구성된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Cell Report Medicine 최신호에 논문으로 게재됐다.그에 따르면 난청은 전음성 난청(외이 및 중이 문제로 발생)과 감각신경성 난청(청각 신경과 뇌 사이의 신경 전달 문제로 발생)으로 구분된다. 감...
기사 원문 보러가기글로벌 뉴스는 현재 시범 서비스 운영 중으로 기사 품질과 번역은 지속적으로 개선 될 예정입니다. 글로벌 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질환에 관련된 기사를 Google News의 RSS를 통해 제공합니다. 기사의 제목과 설명은 Google News RSS를 기반으로 하기에 원문 기사 내용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정보 활용 시에는 기사 원문 확인이나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기사 원문에 대한 책임은 원출처에 있으며, 레어노트는 기사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외부 사이트 이동 시에는 해당 사이트의 내용 및 보안 책임이 있음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