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발병 소뇌성 운동실조(발병은 보통 20세 이전)
Early-onset cerebellar ataxia(Onset usually before the age of 20)
조회
69
질병관리청 제공
- 이 정보의 저작권은 질병관리청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진단이나 처방 등 의학적인 판단과 결정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원인과 증상
원인
유전자의 돌연변이
증상
보행장애, 구음장애, 안진, 감각 저하, 경직
관련 부위
체내 : 뇌, 신경
체외 : 근육, 눈
진단과 치료
진단
유전자 검사,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 단층촬영(CT), 근전도 검사(EMG), 신경전도검사(NCS)
치료
증상에 따른 보존적 치료물리치료, 약물치료, 일부에서는 비타민 치료
관련 질환
유전성 소뇌의 운동실조(Hereditary cerebellar ataxia )
상염색체 열성 소뇌 운동실조( Autosomal recessive cerebellar ataxia )
본태 떨림을 동반한 조기 발병 소뇌 실조( early-onset cerebellar ataxia with essential tremor )
근간대경련을 동반한 조기 발병 소뇌 실조( early-onset cerebellar ataxia with myoclonus, Hunt ataxia )
보류된 건반사를 동반한 조기 발병 소뇌 실조( early-onset cerebellar ataxia with retained tendon reflexes )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 Friedreich ataxia )
X-연관 열성 척수소뇌 실조( X-linked recessive spinocerebellar ataxia)
기타
질병분류기호
(KCD 코드)
G11.1
산정특례코드
V123
의료비 지원
가능
유익한 정보였나요?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