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소길초산혈증은 이소길초산 CoA 탈수소효소(Isovaleryl CoA dehydrogenase)가 부족해서 나타나는 유전성 대사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급성 형태와 간헐적인 만성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급성 이소길초산혈증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구토, 음식 먹기를 거부하며, 활기 없는 나른한 모습을 보이나, 치료가 시작되고 저 단백식이를 하게 되면 거의 정상생활이 가능합니다.

남녀에게서 동일한 비율로 발병하며 대체로 영아기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이환율은 극히 낮아서 1991년에서 2000년까지 6례가 진단되어 보고되었습니다.

이소길초산혈증의 개념

원인

이소길초산혈증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유전질환입니다. 아미노산인 류신(Leucine)을 분해시키는데 필요한 효소인 이소길초산 CoA 탈수소효소가 부족해져서 체내에 중추신경계에 유독한 이소길초산(Isovaleric acid)이 축적되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증상

이소길초산혈증은 급성 형태와 간헐적인 만성 형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질환의 증상은 생후 첫 주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 어느 시기에나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의 특징은 갑작스런 구토, 식욕 감퇴, 그리고 항상 힘이 빠진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입니다.

급성 형태는 태어난 지 며칠 만에 심한 대사성 산증이 발견되며 사망하기도 합니다. 만성형태는 증상이 없다가 심한 케톤산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소길초산혈증을 가진 영아들은 매우 힘이 없는 모습을 보이며 때때로 몸을 흔들거나 떠는 증상을 보입니다. 또한 저체온증을 보일 수 있고 치즈 또는 발 냄새와 같은 냄새를 풍길 수 있는데 환아의 몸과 소변에서도 이러한 냄새를 맡을 수 있습니다.

이소길초산혈증의 증상

생후 6개월 전, 지체된 정신 발달, 땀투성이 발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고 주로 상기도가 감염되었을 때 또는 고단백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했을 때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각한 산성화가 진행되고, 혈액과 조직에 케톤이 과잉으로 축적되는 케토산증이 나타나면서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케토산증은 종종 초기 영아기와 초기 아동기 때 나타납니다. 그러나 빈도는 환자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합니다. 이소길초산혈증을 가진 어린이들은 어린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단백질 음식에 대한 혐오감을 보입니다.

진단

이 질환은 일상적으로 진행하지는 않지만 출생 전 검사로 진단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양수에서 비정상 대사물의 축적을 보이는 경우와 양수천자나 융모막 검사에서 이소길초산 CoA 탈수소효소의 활성 감소 소견을 보이는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질환을 앓고 있는 대부분의 유아들은 생후 첫째 주에 진단가능한데, 철저한 임상검사, 환자와 가족의 자세한 과거력, 그리고 다양한 검사들을 근거로 확진합니다. 임상 검사로 체액, 특히 소변검사에서 이소길초산 및 이의 대사산물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는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백혈구에 대한 검사 또는 피부세포 배양을 통하여 이소길초산 CoA 탈수소효소의 활성 감소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신체의 조직과 체액에 케톤체가 축적되어 있는 케토산증, 혈액과 소변내 글리신(Glycine)이 증가되어 있는 글라이신 혈증 혈액 내 암모니아의 수치가 높아져 있는 고암모니아혈증 혈소판과 백혈구의 수치가 감소되어 있는 혈소판감소증, 호중구 감소증, 때로 범혈구 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혹 고혈당과 저칼슘혈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료

이소길초산혈증의 치료는 단백질의 섭취를 줄이는 것입니다. 특히 류신과 같은 측쇄 아미노산의 섭취를 제한합니다. 대신에 글리신을 공급하여 치료하는데, 글리신은 이소길초산과 결합하여 소변으로 배출이 빠른 형태인 이소발레릴글리신(Isovalerylglycine)을 만들어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하루에 150-300mg씩 글리신을 투여하여 생명을 연장할 수 있고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이 가능합니다. 또한 L-카르니틴(L-carnitine)을 보충하여 치료하기도 합니다.

이소길초산혈증의 치료 식이

급성 이소길초산혈증의 경우에는 일단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하고, 대사성 산증, 고암모니아혈증을 교정하고 이소길초산을 제거해야 하며, 심한 경우 혈액투석이나 교환수혈을 고려해야 합니다.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며, 추가적인 치료로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요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2007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Inc.
McKusick VA, ed. Online Mendelian Inehritance in Man (OMIM). Baltimore. M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Entry No: 243500; Last Update: 4/10/2000.
Sweetman L, Williams JD. Branched chain organic acidurias in The Metabolic and Molecular Basis of Inherited Disease. Scriver C, Beaudet AL, Sly W, Valle D, eds. (McGraw-Hill, New York, 2001), pp. 2125-64.
전경수, 이동환. Isovaleric Acidemia 3례.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2002 2(1) 7-11
http://www.rarediseases.org
http://www.pediatrix.com/body_screening_menu.cfm?id=1567
http://www.savebabies.org/diseasedescriptions/iva.php
http://www.childrenshospital.org/newenglandconsortium/NBS/PDFs/ISOVAL_therapy.pd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대한의학회 ※최종 업데이트일 : 2012.12.07 -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 대한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