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유전성 소뇌 실조 혹은 척수소뇌 실조(spinocerebellar ataxia)는 운동제어와 관련된 소뇌와 척수의 퇴행성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유전성 실조를 보이는 질환군입니다. 

유전성 소뇌 실조는 어느 연령에서나 증상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증상과 징후는 유형에 따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실조를 보입니다. 실조(ataxia)이란 몸을 움직이려고 할 때 상호작용의 장애로 인해 동작이 서투르고 섬세한 움직임을 할 수 없는 상태의 신경학적 증상을 의미하며 흔들리는 것 같은 이상한 걸음걸이, 손과 눈동자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고, 말을 할 때 발음을 잘 못해서 어눌하게 말하기도 합니다.

유전성 소뇌 실조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며 유전성 소뇌 실조의 특정 유형을 담당하는 유전 양식과 원인 유전자에 따라 분류됩니다.

원인

다양한 종류의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상염색체 우성이나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매우 드물게 X 연관 형질로 유전되기도 합니다. 유전 형태와 임상 양상에 따라 유전성 소뇌 실조를 분류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상염색체 우성 소뇌 실조
질환유전자/유전자 위치임상특징
SCA1ATXN1ㆍ경직(spasticity)
ㆍ손가락과 발가락의 무감각증(peripheral neuropathy)
SCA2ATXN2ㆍ눈의 초점을 변화시킬 때 불수의적이고 불규칙적인 눈 운동(slow saccade eye movements)
ㆍ손가락과 발가락의 무감각증
ㆍ심부건반사의 소실
ㆍ치매
SCA3ATXN3ㆍ손의 떨림(tremor), 강직(rigidity), 느린 움직임(extrapyramidal signs)
ㆍ안진(nystagmus), 눈꺼풀이 들어감(lid retraction), 눈의 빠른 운동이 잘 되지 않음
ㆍ근육위축(amyotrophy), 감각상실(sensory loss)
SCA416q22.1ㆍ감각신경병증(sensory axonal neuropathy)
ㆍ근육 약화와 위축
ㆍ난청
SCA5SPTBN2ㆍ조기 증상발현
ㆍ질병 진행이 느림
SCA6CACNA1Aㆍ매우 늦은 병의 진행과 주로 성인기에 증상이 시작됨
SCA7ATXN7ㆍ망막손상과 시력상실
SCA8ATXN8ㆍ질병 진행이 느림
ㆍ드물게 인지기능 저하
SCA9미상 
SCA10ATXN10ㆍ간헐적인 경련
SCA11TTBK2ㆍ경미한 증상
ㆍ보행은 가능
SCA12PPP2R2Bㆍ서서히 진행하는 실조
ㆍ심부건반사 증가
ㆍ치매, 인지기능 저하
SCA13KCNC3ㆍ경미한 지적장애
ㆍ작은 키
SCA14PRKCGㆍ조기에 발생하는 근간대경련 (myoclonus)
SCA15ITPR1ㆍ아주 서서히 진행하는 실조
SCA16ITPR1ㆍ머리의 떨림
SCA17TBPㆍ정신 기능의 저하
ㆍ종종 무도증(chorea), 근긴장 이상(dystonia), 근간대경련, 뇌전증
SCA187q22-q32ㆍ조기에 발생하는 운동감각신경병증을 동반한 실조
ㆍ안진
ㆍ구음장애(dysarthria)
ㆍ심부건반사 감소
SCA19/22KCND3ㆍ질병의 진행이 느림
ㆍ드물게 인지기능 저하
ㆍ근간대경련
ㆍ심부건반사 증가
SCA2011q12ㆍ조기에 구음장애 발생
ㆍ연축성 발성장애(spasmodic dysphonia)
ㆍ심부건반사 증가
ㆍ느린 움직임(bradykinesia)
SCA21TMEM240ㆍ다양한 정도의 지적장애
SCA23PDYNㆍ구음장애
ㆍ이상한 눈의 움직임
ㆍ진동 및 위치 감지 감소
SCA25SCA25ㆍ감각신경병증(sensory neuropathy)
SCA26EEF2ㆍ구음장애
ㆍ물체를 잘 주시하지 못함
SCA27FGF14ㆍ조기에 발생하는 떨림
ㆍ운동이상증(dyskinesia)
ㆍ인지기능 저하
SCA28AFG3L2ㆍ안진
ㆍ눈근육마비(ophthalmoplegia)
ㆍ안검하수(ptosis)
ㆍ심부건반사 증가
SCA29ITPR1ㆍ학습장애
SCA304q34.3-q35.1ㆍ심부건반사 증가
SCA31BEAN1ㆍ정상 감각
SCA34ELOVL4 
SCA35TGM6ㆍ심부건반사 증가, 바빈스키 징후
SCA36NOP56ㆍ움찔거림(muscle fasciculation)
ㆍ혀의 위축
ㆍ심부건반사 증가
SCA371p32ㆍ눈의 수평운동 이상
SCA38ELOVL5ㆍ성인기에 증상이 시작함
ㆍ근육 위축(axonal neuropathy)
SCA40CCDC88Cㆍ성인기에 증상이 시작함
ㆍ심부건반사 증가
ㆍ경직
SCA41TRPC3ㆍ성인기에 증상이 시작함
SCA42CACNA1Gㆍ가벼운 추체로 징후
SCA43MMEㆍ운동감각신경병증
SCA44GRM1ㆍ경직
SCA45FAT2ㆍ성인기에 증상이 시작함
SCA46PLD3ㆍ성인기에 증상이 시작함
ㆍ경미한 소뇌 위축
SCA47PUM1ㆍ발달지연, 지적장애
ㆍ발작(seizure)
SCA48STUB1ㆍ인지기능 저하가 실조보다 먼저 나타남
DRPLAATN1ㆍ무도병
ㆍ발작
ㆍ치매
ㆍ근간대경련
ADCADNDNMT1ㆍ난청
ㆍ감각 저하
ㆍ기면증(narcolepsy)
Hypomyelinating leukoencephalopathyTUBB4Aㆍ기저핵 위축
ㆍ강직
ㆍ근긴장도 이상
ㆍ무도병
GRID2-related spinocerebellar ataxiaGRID2ㆍ인지기능 저하
ㆍ눈의 이상한 움직임
ㆍ난청
Pure cerebellar ataxiaC9orf72ㆍ치매나 운동신경세포병의 가족력
Cerebellar atrophy with epileptic encephalopathyFGF12ㆍ영아기의 경련
ㆍ지적장애
ㆍ소두증(microcephaly)
Rapid-onset ataxiaATP1A3ㆍ소뇌의 위축

 
2. 간헐적인 실조(Episodic ataxia, EA)
질환유전자/유전자 위치임상특징
EA1KCNA1ㆍ걸음걸이 이상
ㆍ근육의 잔떨림(myokymia)
ㆍ깜짝 놀라거나 운동에 의해 증상 발생
ㆍ수초에서 수분간 증상 지속
ㆍ현기증 없음
EA2CACNA1Aㆍ걸음걸이 이상
ㆍ안진
ㆍ자세가 변했을 때 증상 발생
ㆍ증상이 수분에서 수시간 동안 지속
ㆍ현기증
ㆍ시간이 지나면 영구적인 실조로 진행함
EA31q42ㆍ성인기에 증상 시작
ㆍ현기증
ㆍ이명(tinnitus)
EA4 ㆍ성인기에 증상 시작
EA5CACNB4ㆍ소아기나 청소년기에 증상 시작
EA6SLC1A3ㆍ발작
ㆍ편두통
ㆍ소아기에 증상 시작
EA719q13ㆍ현기증
ㆍ소아기나 청소년기에 증상 시작
Episodic ataxia with neonatal epilepsySCN2Aㆍ신생아 경련
ㆍ자폐성 경향
ㆍ근긴장도 저하
ㆍ근긴장도 이상
CAPOS syndromeATP1A3ㆍ소뇌성 실조
ㆍ반사 없음
ㆍ오목발(Pes cavus)
ㆍ시신경 위축
ㆍ감각신경성 난청
ㆍ교대성 편마비(alternating hemiplegia)


3. 상염색체 열성 소뇌 실조
유전자질환임상특징
ANO10AR SCA 10 (SCAR10)ㆍ안진
ㆍ근육연축
ㆍ경직
APTXAtaxia with oculomotor apraxia type 1 (AOA1)ㆍ눈근육 마비
ㆍ무도느림비틀림운동(choreoathetosis)
ㆍ경도의 지적장애
ㆍ저알부민혈증
ATMAtaxia-telangiectasiaㆍ모세혈관확장
ㆍ면역결핍
ㆍ암
ㆍ유전체 불안정성(chromosome instability
ㆍalpha-fetoprotein 증가
C10orf2Infantile-onset SCA (IOSCA)ㆍ말초신경병증
ㆍ느린비틀림운동(athetosis)
ㆍ시신경 위축
ㆍ난청
ㆍ눈근육 마비
CYP27A1Cerebrotendinous xanthomatosis (CTX)ㆍ힘줄이 두꺼워짐
ㆍ인지기능 저하
ㆍ근긴장도 이상
ㆍ뇌백질 이상
ㆍ백내장
ㆍChenodeoxycholic acid로 치료
FXNFriedreich ataxia (FRDA)ㆍ심부건반사 저하
ㆍ바빈스키 징후
ㆍ감각저하
ㆍ심근병증(cardiomyopathy)
PHYH
PEX7
Refsum diseaseㆍ신경병증(neuropathy)
ㆍ난청
ㆍ피부의 비늘증(ichthyosis)
ㆍ망막병증
ㆍPhytanic acid로 치료
PNPLA6Boucher-Neuhäuser syndromeㆍ시력저하
ㆍ사춘기 지연
ㆍ경직
RFC1Cerebellar ataxia, neuropathy, vestibular areflexia syndrome (CANVAS)ㆍ실조의 발병이 늦음
ㆍ말초신경병증
ㆍ전정기능 이상(vestibular areflexia)
SACSAR spastic ataxia of Charlevoix-Saguenay (ARSACS)ㆍ경직
ㆍ말초신경병증
ㆍ망막이상
SETXAtaxia with oculomotor apraxia type 2 (AOA2)ㆍ소뇌위축
ㆍ운동감각신경병증
ㆍ눈근육 마비
SIL1Marinesco-Sjögren syndromeㆍ지적장애
ㆍ백내장
ㆍ근기장도 저하
ㆍ근병증
SLC52A2Brown-Vialetto-Van Laere syndromeㆍ시신경 위축
ㆍ난청
ㆍRiboflavin(비타민 B2)
Childhood-onset ataxia with blindness and deafnessㆍ시력 저하
ㆍ난청
ㆍ말초신경병증
ㆍRiboflavin(비타민 B2)
SNX14AR SCA 20 (SCAR20)ㆍ얼굴기형 (coarse face)
ㆍ인지기능 장애
ㆍ난청
ㆍ발작
ㆍ척추측만증
SYNE1SYNE1-related AR cerebellar ataxiaㆍ프랑스계 캐나다인에서 주로 발생
TTPAAtaxia with vitamin E deficiency (AVED)ㆍFRDA와 비슷한 양상
ㆍ머리 떨림
ㆍ비타민 E로 치료
WFS1Wolfram syndromeㆍ소아 당뇨
ㆍ시신경 위축
ㆍ난청


4. X-연관 소뇌 실조
유전자질환임상특징
ABCB7X-linked sideroblastic anemia and ataxia (XLSA/A)ㆍ유아기에 증상 발생
ㆍ무증상의 빈혈
ATP2B3X-linked ataxiaㆍ소아기에 증상 발생
ㆍ근긴장도 저하
CASKCASK-related disordersㆍ인지기능 저하
ㆍ소두증
ㆍ근긴장도 저하
ㆍ시신경 저형성증
FMR1FXTASㆍ성인기에 증상
OPHN1X-linked mental retardation with cerebellar hypoplasia and distinctive facial appearanceㆍ영아기에 증상 발생
ㆍ근긴장도 저하
ㆍ발달 지연
ㆍ발작
SLC9A6Christianson syndromeㆍ영아기에 증상 발생
ㆍ지적장애
ㆍ발작
Xq25-q27.1X-linked spinocerebellar ataxiaㆍ영아기에 증상 발생
ㆍ소뇌의 저형성

FXTAS = fragile X-associated tremor/ataxia syndrome; XLSA/A = X-linked sideroblastic anemia and ataxia

증상

다양한 종류의 유전성 소뇌 실조는 각각의 고유한 증상과 징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유형을 구별하기는 어렵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경향이 있는 운동 문제가 특징입니다.

주요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보행장애: 잘 조정되지 않아 흔들리며, 불규칙하게 넓은 폭으로 걷는 걸음을 보입니다.
2) 손과 눈의 움직임의 조화가 깨집니다.
3) 구음장애: 약하고 느리며 정확하지 못한 발음을 합니다.
4) 복시: 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그림자가 생겨 이중으로 보이는 현상
5) 불수의적인 눈의 움직임
6) 정보처리, 학습 및 기억의 어려움
7) 특정 유전성 소뇌 실조는 심장, 폐, 뼈의 이상 그리고 당뇨병과 연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뇌성 운동실조 증상

진단

유전성 소뇌 실조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신경과 전문의에 의한 신경학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걸음걸이, 손과 눈 움직임의 조화, 근육의 강직이나 떨림, 감각 이상이나 전정 기관 기능, 경련과 관련된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유전성 소뇌 실조가 의심되는 경우에 특정한 소뇌 실조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유전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가 필요합니다.

소뇌와 다른 뇌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공명영상(MRI) 또는 컴퓨터 단층촬영(CT)를 촬영하기도 합니다. 신경병증을 확인하기 위하여 근전도(EMG)와 신경전도검사(NCS)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유전성 소뇌 실조에서 눈이나 심장, 폐 등의 이상이나 당뇨병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망막이나 시신경에 대한 검사, 심초음파검사나 폐기능검사 등이 필요할 수 있으며, 혈액검사나 소변검사를 통해 당뇨병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치료

유전성 소뇌 실조를 위한 특별한 치료법은 아직 없습니다.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요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근육의 강직이나 떨림을 조절하기 위해 물리치료를 합니다. 근육의 경련을 완화시키기 위해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이나 단트롤렌(Dantrolene), 바클로펜(Baclofen), 티자니딘(Tizanidine)등의 약물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잠재적인 합병증으로 심장, 폐, 척추, 뼈, 근육질환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