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분지사슬아미노산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은 중심 탄소에 분지사슬을 갖고 있는 형태의 아미노산으로, 20가지 필수아미노산 중 세 종류가 있습니다. 이들은 대사과정에서 다른 아미노산의 대사과정과 비교해볼 때 특수한 효소를 필요로 합니다. 이 효소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분지사슬아미노산 대사이상(Disorder of branched-chain amino acid metabolism) 이라고 합니다. 

고류신-이소류신혈증 (Hyperleucine-isoleucinaemia)은 특수한 효소 중 하나인 분지사슬아민전달효소(Branched-Chain Aminotransferase, BCAT)의 이상이 발생하여 류신과 이소류신의 대사가 불가능해져서 분해되지 못하고 축적되는 질환으로 중추신경계 이상을 일으킵니다.

고류신-이소류신혈증은 매우 희귀한 질환으로 2019년 현재까지 남매 2명을 포함하여 총 두 증례 (세 환자)만이 보고되었습니다. 

필수아미노산 중 분지사슬(측쇄) 아미노산
 

원인

류신과 이소류신, 발린의 대사 초기에는 두 가지의 효소반응 단계가 관여하는데 첫 번째는 아민전달효소에 의한 아미노 전달반응 (Transamination)이고 두 번째는 탈수소효소에 의한 탈카복시화 (Decarboxylation)입니다. 분지사슬아미노산 대사이상장애 중 가장 잘 알려진 질환인 단풍당뇨증 (Maple syrup urine disease)은 두 번째 효소의 이상입니다. 고류신-이소류신혈증은 첫 번째 효소반응의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분지사슬아민전달효소에는 BCAT1 (Branched chain amino acid transaminase 1)과 BCAT2의 두 효소가 존재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증례 중 2개월 남매의 경우 직접적인 유전자 이상은 확인하지 않았으나 (발린의 증가없이) 류신-이소류신의 증가가 관찰되었습니다. 25세 남자의 경우 BCAT2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되었고 류신-이소류신과 함께 발린의 증가가 함께 관찰되었습니다(고발린, 고류신-이소류신). 특정 아미노산 만의 아민전달반응을 일으키는 특정 효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것이 없습니다. 앞으로 BCAT의 유전자 관련 추가연구가 필요합니다. 

증상

현재까지 발생한 세 명에 대한 보고에서 공통적으로 중추신경계 이상 증상이 발현되나 그 정도는 증례에 따라서 중증도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25세 남성의 경우 두통과 가벼운 기억장애와 함께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뇌백질의 이상소견이 나타났으나 생후 2개월 된 남매의 경우 두통, 청력이상, 지능저하, 경련 등이 나타났으며 그 중 한 환자는 3세 경 사망하였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진단

혈중 류신-이소류신 수치의 증가와 함께 BCAT1, BCAT2 유전자 이상으로 진단가능합니다. 

치료

현재까지 정립된 치료는 없습니다. 류신과 이소류신은 콩 요리, 강낭콩, 육류와 생선, 달걀과 치즈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밝힌 25세 남자의 경우 BCAT2의 조효소로 쓰이는 비타민 B6를 투여하였더니 발린, 류신-이소류신 수치의 감소와 함께 기억장애와 뇌자기공명영상의 호전이 관찰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Tada K., Matsubara Y. (2009) Hyperleucine-Isoleucinemia. In: Lang F. (eds) Encyclopedia of Molecular Mechanisms of Diseas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 Wang XL, Li CJ, Xing Y, Yang YH, Jia JP. Hypervalinemia and hyperleucine-isoleucinemia caused by mutations in the branched-chain-amino-acid aminotransferase gene. J Inherit Metab Dis. 2015;38(5):855-61.
3. Jeune M, Collombel C, Michel M, David M, Guibaud P, Guerrier G, et al. Hyperleucinisoleucinemia due to partial transamination defect associated with type 2 hyperprolinemia. Familial case of double aminoacidopathy. Ann Pediatr (Paris). 1970;17(2):349-63.
4. Wada Y, Tada K, Minagawa A, Yoshida T, Morikawa T, Okamura T. Idiopathic hypervalinemia: probably a new entity of inborn error of valine metabolism. Tohoku J Exp Med. 1963;81:4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