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척수성 근위축, I형[베르드니히-호프만]
Infantile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Ⅰ[Werdnig-Hoffman]
조회
112
질병관리청 제공
- 이 정보의 저작권은 질병관리청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진단이나 처방 등 의학적인 판단과 결정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원인과 증상
원인
SMN(Survival motor neuron) 유전자의 돌연변이, 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
증상
관절의 과운동성, 건(Tendon)반사가 소실, 혀 근육의 속상수축(fasciculation), 엉덩이관절 외전, 흡인성 폐
관련 부위
체내 : 신경
체외 : 근육
진단과 치료
진단
혈액검사, 근전도검사, 근육생검, 유전자검사
치료
물리치료, 위관을 통해 영양 공급,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 지지요법(Supportive therapy)
관련 질환
베르드니히-호프만 병(Werdnig - Hoffman Disease)
영아형 척수 근육위축, Ⅰ형(Infantile spinal muscular atrophy, typeⅠ)
급성 영아형 척수성 근육위축(SMA, Infantile Acute Form)
척수성 근육위축 1형, 또는 제 1형 척수성 근육위축(Spinal Muscular Atrophy typeⅠ)
베르드니히-호프만 마비(Werdnig-Horrman Paralysis)
기타
질병분류기호
(KCD 코드)
G12.0
산정특례코드
V123
의료비 지원
가능
유익한 정보였나요?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