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1900년대 초 스웨덴 의사 헨릭 쇼그렌(SHOW-gren)은 만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들 중 건조한 눈과 건조한 입을 동반한 집단을 처음으로 기술하였습니다. 오늘날 류마티스 전문의들은 쇼그렌의 이름을 딴 증후군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으며, 환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1차 쇼그렌 증후군은 가장 흔하게 시카 증상으로 나타나는 전신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시카는 눈과 입의 건조함을 의미하며, 이는 눈물샘과 침샘의 염증 및 결과적인 병리로 인해 주로 발생합니다.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절반까지도 추가적인 비샘관련 관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침샘과 눈물샘 이외의 기관인 관절, 피부, 폐, 위장(GI)관, 신경계, 신장에서의 징후 및 증상을 의미합니다. 쇼그렌 증후군은 종종 류마티스 관절염(RA)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와 같은 다른 자가면역 질환과 함께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저자들은 이를 이차 쇼그렌 또는 쇼그렌-중첩 증후군이라고 언급할 것입니다. 치료는 영향을 받은 샘 부위에서 수분을 보충하고 국소적으로는 물론 전신적으로 자가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1][2][3]

원인

대부분의 자가면역 장애와 마찬가지로, 쇼그렌 증후군의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HLA-DQA_DQB_ 지역에서 해프로타입을 공유하는 개인들이 상대적 위험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주요 조직적합성(MHC) 부위와 관련된 유전적 소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질병은 전 세계적으로 기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요 조직적합성 해프로타입은 특정 환경적 요인과 결합하여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고 가설을 세우고 있습니다. 실험실 연구와 일부 간접적인 역학적 증거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를 포함한 바이러스가 질병의 병인에 관여한다고 시사합니다.[4][5]

역학

쇼그렌 증후군은 매우 드문 질환이 아니며, 류마티스 관절염(RA)의 발생률의 약 절반 또는 인구의 0.5%에서 1.0%를 차지합니다.

성인 40만 명에서 310만 명이 쇼그렌 증후군을 앓고 있습니다. 이 질환은 모든 연령에서 발병할 수 있지만, 증상은 주로 45세에서 55세 사이에 나타납니다. 환자의 절반 정도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루푸스와 같은 다른 결합 조직 질환을 함께 앓고 있습니다.

쇼그렌 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에게서 보고되었으며, 어린이에게서는 더 드물게 발생합니다. 인종이나 지리적 편향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 질환은 여성에게 특히 두드러지며, 여성 대 남성 비율은 약 9:1로 SLE과 유사합니다. 이 질환은 주로 중년에 나타나지만 어린이와 노인에게서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6][7]

건조한 눈 환자 중 어떤 환자를 쇼그렌 증후군 검사로 의뢰할지 결정하는 근거 기반 표준화된 검사 도구가 없어, 쇼그렌 증후군 검사를 위한 건조한 눈 환자의 의뢰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 질병의 진단이 지속적으로 미흡합니다.[8]

병태생리

쇼그렌 증후군의 특징적인 병변은 국소 림프구성 침샘염(FLS)입니다. FLS는 외분비선의 병변으로, 림프구가 풍부한 단핵세포가 혈관과 분비관 인접 외분비선 조직에 침입합니다. 이 병소는 주로 T 림프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B 림프구, 형질세포, 그리고 다른 세포 유형도 관찰됩니다. 더 심각한 질병에서는 이 병소들이 융합될 수 있습니다. 침입하는 단핵세포, 항체와 사이토카인과 같은 체액 인자, 또는 두 가지 모두가 외분비선 기능 장애를 유발하여 눈물샘의 눈물 생산 감소와 침샘의 침 생산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머리와 목 이외의 외분비선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피부, 기관지 및 질 건조증뿐만 아니라 폐와 신장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B 림프구의 악성 변화가 비호지킨 림프종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면역 복합체가 피부, 관절 및 다른 기관에 침착하여 전신성 혈관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9]

병력 및 신체검사 소견

환자는 종종 눈에 이물감과 입이 마른 느낌을 호소합니다. 눈 검사에서는 하부 결막낭에서 눈물의 부재가 관찰될 수 있으며, 눈이 충혈되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슬릿 램프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안과 의사에게 의뢰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생체 염료 염색이 있는 이 검사는 쇼그렌 증후군의 가장 특징적인 안과적 병변인 건성각결막염(KCS)를 입증하는 데 필요합니다. 셔머씨 검사도 눈의 건조함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입은 건조해 보이며, 혀는 매끄럽고 점막은 얇게 보일 수 있습니다. 대략 50%에서는 어느 시점에서 귀밑샘과/또는 턱밑샘이 확대된 것이 나타납니다. 선외 관련 관여는 종종 다발성 관절염, 하지의 자반증, 및/또는 말초 신경병증의 증거로 나타납니다.

진단

쇼그렌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의 평가는 구강 및 안구의 건조함과 기능 평가를 포함해야 합니다. 병력 외에도, 이는 쉬르머 검사, 생체 염색을 사용한 슬릿 램프 검사, 침샘 유량 측정, 또는 침샘 기능의 핵 의학적 영상 평가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자가항체(ANA, RF, SS-A, SS-B) 평가도 수행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SS-A는 쇼그렌 증후군에 대해 가장 민감하고 특이적인 항체일 수 있지만, 단독으로는 진단적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다른 자가면역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쇼그렌 증후군의 약 1/3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특이적인 단일 검사는 FLS를 긍정적인 표본에서 보여주는 작은 침샘(입술) 생검입니다.[10][11][12]

치료 및 관리

건성 증상의 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건조한 눈은 일반적으로 낮 동안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인공 눈물이나 밤에 사용하는 젤로 반응합니다. 우리는 환자들이 낮에는 방부제가 없는 점액을 사용하고 밤에는 방부제가 없는 젤이나 연고를 사용하도록 권장합니다.

  • 더 심각한 경우에는 점액 막힘 플러그 또는 소작술이 자주 필요합니다. 소작술은 과도한 눈물이 생기지 않도록 플러그 시도 후에만 수행되어야 합니다.

  • 눈 주변의 샘에서 염증을 줄이는 안약, 예를 들어 시클로스포린(레스타시스)은 눈물 생산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 많은 환자들이 자신의 혈액에서 유래한 혈청 눈물로 도움을 받습니다. 대부분의 안과 센터에서 이제 환자를 위해 이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 물을 마시거나 껌을 씹거나 인공 침을 사용하면 입이 마르는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 일부 환자는 필로카프린(살라겐)이나 세비뮬린(이보작)과 같이 침 흐름을 자극하는 처방약을 사용하여 혜택을 받습니다.

  • 환자가 효모 감염을 일으킬 경우 항진균 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가습기와 비강 세척이 비강 건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위산을 줄이는 약물(예: 프로톤 펌프 억제제 및 H2 차단제)은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법은 일부 건조함을 완화할 수 있지만 보통 어느 정도의 건조함은 지속됩니다.

  • 비샘관련(전신) 주요 장기 시스템 질환에 대한 첫 접근법은 경구/정맥 스테로이드입니다.

  • 다양한 DMARDs(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가 스테로이드 절약제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쇼그렌을 위해 특별히 승인된 것은 없습니다.

  • 염증성 다발성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이 권장됩니다. B 세포 제거는 특정 심각한 비샘관련 징후(혈관염)에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NF-알파 억제제는 쇼그렌에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13][14][15].

감별 진단

  • 사르코이드증

  • 주사

  • 유행성 이하선염

  • 탈수

  • 약물 사용 - 항우울제, 항콜린제

  • 입 호흡

  • 림프종

  • 고령

  • 파킨슨병

  • 경화증

  • 류마티스 관절염

  • 후천성면역결핍증

  • 루푸스

의료팀 치료 성과 개선

쇼그렌 증후군은 많은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 장애입니다. 이 장애에 대한 치료법은 없으며, 관리는 증상의 발병률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의사뿐만 아니라 약사와 간호사도 환자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환자는 불소 함유 치약을 사용하고, 침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무설탕 츄잉껌과 로젠지를 사용하는 등 치아 우식증 예방에 대해 교육받아야 합니다.

  • 건조한 눈에 대해서는, 약사는 식단 변경 및 분비 감소를 유발하는 약물 제거에 대해 환자를 교육해야 합니다.

  • 또한, 약사는 인공 눈물과 젤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환자를 교육해야 합니다.

  • 콘택트렌즈 사용을 피하고, 따뜻한 찜질을 하며, 안과 전문의를 만나는 것이 다음 단계입니다.

  • 이 환자들은 또한 관절 통증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약물을 복용하고 있으므로, 약사는 약물 순응도와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해 교육해야 합니다.

  • 환자는 관절 기능을 회복하고 근력을 키우기 위해 물리 치료사에게 의뢰되어야 합니다.

  • 마지막으로, 이 장애는 기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신 건강 상담가에게 의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16][17][18] (3등급)

결과

경미한 쇼그렌 증후군은 예후가 좋지만 중등도에서 중증의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삶의 질이 매우 낮습니다. 건조한 입과 눈은 자주 자극적인 증상을 일으키며, 이는 잘 견디지 못합니다. 또한, 이러한 환자들 중 많은 수가 중등도에서 중증의 관절염을 발달시키고 걷기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외분비선의 기능이 감소함에 따라 증상도 악화됩니다. 장기적으로는 쇼그렌 증후군 환자가 림프 증식성 장애를 발달시켜 수명이 단축될 위험이 있습니다.

쇼그렌 증후군을 앓는 여성은 임신 중 합병증을 발달할 위험이 높습니다. 조산과 자연유산이 흔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인지질 항체가 있는 쇼그렌 증후군 환자는 혈관 혈전 장애 및 태아 사망 위험이 있습니다.[19][20][13] (5등급)

StatPearls 정보 제공
이 콘텐츠는 StatPearls의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언어 모델에 의해 번역된 질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항상 최신 사항 또는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체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의약품과 관련된 사항은 반드시 보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 주십시오.

참고 문헌
  1. Kaneko. [Diagnostic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reatment Guidelines of Collagen-vascular Diseases: How to Use and Cautions on Applying Them for General Physicians. Topics: VII. Sjögren Syndrome]. Nihon Naika Gakkai Zasshi. 2015 Oct;104(10):2149-56. [PubMed]
  2. Brito-Zerón et al. Phenotyping Sjögren's syndrome: towards a personalised management of the disease. Clin Exp Rheumatol. 2018 May-Jun;36 Suppl 112(3):198-209. [PubMed]
  3. Argyropoulou et al. One year in review 2018: Sjögren's syndrome. Clin Exp Rheumatol. 2018 May-Jun;36 Suppl 112(3):14-26. [PubMed]
  4. Baer et al. 1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jögren's Syndrome. Clin Exp Rheumatol. 2018 May-Jun;36 Suppl 112(3):241-255. [PubMed]
  5. Kroese et al. The role of salivary gland histopathology in primary Sjögren's syndrome: promises and pitfalls. Clin Exp Rheumatol. 2018 May-Jun;36 Suppl 112(3):222-233. [PubMed]
  6. Kiadaliri et al. Hospitalizations due to systemic connective tissue diseases: Secular trends and regional disparities in Sweden, 1998-2016. Int J Rheum Dis. 2018 Nov;21(11):1900-1906. [PubMed]
  7. Alani et al.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pidemiology of polyautoimmunity in Sjögren's syndrome (secondary Sjögren's syndrome) focusing on autoimmune rheumatic diseases. Scand J Rheumatol. 2018 Mar;47(2):141-154. [PubMed]
  8. Bunya et al. Survey of Ophthalmologists Regarding Practice Patterns for Dry Eye and Sjogren Syndrome. Eye Contact Lens. 2018 Nov;44 Suppl 2(Suppl 2):S196-S201. [PMC free article] [PubMed]
  9. Tzioufas and Goules. Limited efficacy of targeted treatments in Sjögren's syndrome: why? Clin Exp Rheumatol. 2018 May-Jun;36 Suppl 112(3):27-28. [PubMed]
  10. De Vita et al. The evaluation of disease activity in Sjögren's syndrome based on the degree of MALT involvement: glandular swelling and cryoglobulinaemia compared to ESSDAI in a cohort study. Clin Exp Rheumatol. 2018 May-Jun;36 Suppl 112(3):150-156. [PubMed]
  11. Martel et al. What is the best salivary gland ultrasonography scoring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primary or secondary Sjögren's syndromes? Joint Bone Spine. 2019 Mar;86(2):211-217. [PubMed]
  12. Baer and Walitt. Update on Sjögren Syndrome and Other Causes of Sicca in Older Adults. Rheum Dis Clin North Am. 2018 Aug;44(3):419-436. [PMC free article] [PubMed]
  13. Sumida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jögren's syndrome 2017. Mod Rheumatol. 2018 May;28(3):383-408. [PubMed]
  14. Seror and Mariette. Guidelines for treatment of primary Sjögren's syndrome: a first useful stone but still much to do. Rheumatology (Oxford). 2017 Oct 01;56(10):1641-1642. [PubMed]
  15. Price et al. The British Society for Rheumatology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primary Sjögren's Syndrome. Rheumatology (Oxford). 2017 Oct 01;56(10):e24-e48. [PubMed]
  16. López-Pintor et al. Oral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primary Sjögren's syndrome. Multidisciplinary care by dentists and rheumatologists. Reumatol Clin. 2015 Nov-Dec;11(6):387-94. [PubMed]
  17. Brito-Zerón et al. Early diagnosis of primary Sjögren's syndrome: EULAR-SS task force clinical recommendations. Expert Rev Clin Immunol. 2016;12(2):137-56. [PubMed]
  18. Milin et al. Sicca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similar fatigue,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of-life impairment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primary Sjögren's syndrome. Joint Bone Spine. 2016 Dec;83(6):681-685. [PubMed]
  19. Flores-Chávez et al. Severe, life-threatening phenotype of primary Sjögren's syndrome: clinical characterisation and outcomes in 1580 patients (GEAS-SS Registry). Clin Exp Rheumatol. 2018 May-Jun;36 Suppl 112(3):121-129. [PubMed]
  20. Al Hamad et al. Interventions for dry mouth and hyposalivation in Sjögren's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ral Dis. 2019 May;25(4):1027-1047. [Pub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