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비노-실버만-스미스 증후군
Robinow-Silverman-Smith syndrome
개요
1969년 Meinhard Robinow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진 질환으로 출생 시 얼굴모습이 8개월 된 태아와 같다고 하여 “태아 얼굴 증후군(Fetal face syndrome)” 이라고 알려졌다. 로비노 증후군(Robinow Syndrome)은 아기가 태어난 후 성장이 지연되기 때문에, 적당히 작은 키, 머리와 얼굴 부위의 독특한 이상, 골격 이상과 생식기 이상이 경미하게 묘사된 몹시 드문 유전 질환이다. 로비노 증후군을 가진 태아의 얼굴 소견은 8개월 된 태아와 닮았다. 의학 문헌에서 이 질환은 종종 “태어 얼굴”과 같이 언급된다. 특징적 머리 얼굴 소견은 이마돌출을 가진 대두증, 두눈먼거리증, 작고 위로 향한 코, 함몰된 콧등이 나타난다. 골격이상은 아래팔 짧은 팔증(Forearm brachymelia), 이상하게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 새끼손가락의 측만지증(Clinodactyly), 이상하게 넓은 엄지손가락을 가진 작은 손, 갈비뼈의 기형, 척추측만증(scoliosis), 반척추뼈증(Hemivertebrae)이 나타난다. 로비노 증후군과 관련된 생식기 이상이 남성에서는 작은음경증(Micropenis)과 잠복고환증(Cryptorchidism)이 나타나고, 여성에서는 음핵(Clitoris)의 발육부전, 대음순이 밖으로 길게 접혀있음이 나타난다. 이런 증상의 범위와 정도는 환자마다 다양하다.
일부 환자들에서, 로비노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가지고, 다른 환자들에서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을 가진다. 의학문헌에 따르면, 로비노 증후군의 열성 유전을 가진 환자는 이 질환의 우성 유전을 가진 환자보다 더 갈비뼈와 척추의 다수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열성 유전과 관련된 경우, 증상과 신체 소견은 더욱 심각한 경향이 있다. 로비노 증후군은 남성과 여성에게 동일한 비율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생식기의 기형이 남성에게서 더 분명하게 나타나므로 더 많이 진단되어 보고된다. 인구 500,000명 중 한 명의 비율로 나타나며, 미국에서는 매년 새로운 환자가 6명 정도씩 나타나 지금까지 100여 명 이상의 증례가 보고되었다. 그리고 열성 형태로 유전된 로비노 증후군은 터키에서 많이 보고되었다. 국내에서는 2003년에 1례가 보고된 바 있다.
원인
로비노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 또는 열성 형태로 유전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 어느 형태가 더 많이 나타나는지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리고 열성인지 우성인지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는 경우도 약 20%를 차지한다.
상염색체 열성 로비노 증후군은 9번 염색체(9q22)에 있는 ROR2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생긴다고 밝혀졌다. 상염색체 우성 로비노 증후군의 환자 일부에서는 3번 염색체(3p14.3) 에 있는 WNT5A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유전자 이름  | 염색체 위치  | 단백질 이름  | 
ROR2  | 9Q22  | Tyrosine-protein kinase  | 
증상
로비노 증후군은 아주 희귀한 질환으로 작은 키, 특징적인 얼굴 모양, 골격계 기형, 그리고 생식기 기형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로비노 증후군과 관련된 증상의 범위와 심각성은 환자마다 매우 다양하다.
● 머리(Head) & 얼굴(face)
  - 머리가 크고 이마가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 얼굴의 가운데 부분이 덜 발달되어 있다.
  -  턱이 작다(작은턱증:micrognathia).
● 눈
  - 양쪽 눈 사이가 벌어져 있다(두눈먼거리증 :Ocular hypertelorism).
  - 튀어나온 눈
  - 넓고 아래로 처진 눈꺼풀(눈꺼풀틈새:Palpebral fissures)
●코
  - 낮은 콧대
  - 작은 코로 끝이 위쪽을 향해 있다.
● 입
  - 긴 인중을 가진 이상하게 넓고 삼각형-모양이 아래로 향한 돌아간 입.
  - 치아의 위치 이상
  - 어금니 쪽으로 치아가 빡빡하게 몰려있다.
  - 영구치가 늦게 난다.
  - 목젖(Uvula)이 덜 발달되어 있거나 비정상적으로 두 개로 나뉘어 있다.
  - 구개열(입천장 갈림증:cleft palate)
  - 잇몸 증식증(gingival hyperplasia)
  - 혀유착증(Ankyloglossia): 설소대가 짧고 뻣뻣해져 혀를 위로 올리지 못하고 밖으로 내밀지 못하는 증상
● 귀
  - 귀의 모양이 기형(예-컵 모양)이며 정상보다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 대부분의 케이스에서, 로비노 증후군과 관련된 얼굴 이상은 환아의 나이에 따라 뚜렷함이 적어지게 된다.
● 골격계(skeletal system)
  - 왜소증(경증~중증도) -> 출생 후 성장이 지연된다.
  - 성장 지연은 아동기 동안에 계속되고, 결과적으로 가냘프고 작은 키를 가진다.
  - 드문 경우에, 로비노 증후군의 우성 형태를 가진 환자는 정상 성인키에 도달 할 수 있다.
  - 갈비뼈의 기형 - 특정 갈비뼈가 없는 경우도 있고, 함께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
  - 오목가슴(funnel chest) : 흉골이 안쪽으로 구부러져서 가슴이 움푹하게 들어가 있는 상태
  - 고관절의 탈골
●척추(Spine)
  - 척추가 옆으로 휘는 척추측만증
  - 척추의 특정 부분이 발달이 덜 되거나 하나로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
● 사지(Extremities)
  - 팔의 아랫부분이 발달이 덜 되어 짧다(아래팔 짧은팔증 :Forearm brachymelia).
  - 손과 발이 작다.
  - 손가락이 짧고(단지증:Brachydactyly), 엄지손가락이 넓은 작은 손이다.
  - 요골이 짧아져서 엄지손가락이 손목 쪽으로 휘어져 있다.
  - 다섯 번째 손가락이 영구적으로 휘어져 있다. -> 측만지증(Clinodactyly)
  - 어떤 경우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의 뼈끝이 비정상적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손가락과 발가락의 뼈가 덜 발달된다.
  - 손발톱의 형성 부전
●생식기(Genitalia)
  - 애매한 생식기: 외부 생식기의 모양이 남성인지 여성인지 모호하게 나타난다.
  - 남성 :
     - 음경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작은음경증 :Micropenis), 주위에 있는 피부 밑에 가려져 있을 수 있다.
     - 하나 또는 양쪽 고환이 아래로 내려오지 않는 잠복고환증(Cryptorchidism)을 보인다.
     - 이 질환을 가진 남성들 성적인 기능이 가능하고, 우성 형질의 하고, 로비노 증후군 환자들은 임신능력이 있다는 사실이 보고 되었다.
     - 로비노 증후군의 열성 형태를 가진 환자들의 생식 능력에 관한 의학 문헌 보고는 아직 없다.
  - 여성
     - 음핵과 대음순의 덜 발달되어 있다.
     - 대부분 정상적인 난소 기능을 보이며, 정상적으로 임신할 수 있다.
●신장(Kidney)
  - 수신증(Hydronephnosis)
  - 중복신장(Duplicated kidney)
● 심장(Heart)
  - 약 13% 영아에게서 선천성 심장 기형이 발견된다. -> 우심실에서 폐로 나가는 동맥이 좁아지거나(협착: Stenosis) 막혀있는(폐쇄:Atresia) 심장기형이 많이 생긴다. 이와 관련된 증상은 혈관이 폐쇄된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로비노 증후군을 가진 일부 유아에서 다른 심장 이상은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이끌 수 있는 복합적인 선천성 심장 결함이 나타날 수 있다.
● 폐(Lung)
  - 드물기는 하지만 호흡기 감염이 잘 생기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 심한경우에 치료를 하지 않으면, 폐렴은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 소화기계
  - 서혜부 탈장
  - 배꼽탈장
● 지적능력
  - 환자들의 지능은 일반적으로 정상이지만 질환이 있는 어린이들의 20%의 경우는 지적장애를 보인다.
  - 언어능력의 발달이 지연되기도 한다.
  - 목을 가누는 것, 기는 것, 걷는 것과 같이 생후 일정 시점에 발달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발달 이정표’에 도달하는 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
로비노 증후군의 우성과 열성형태는 같은 증상과 신체적 소견을 많이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열성 형태와 관련된 증상과 신체적 소견이 더욱 심각한 경향이 있다. 연구자들은 로비노 증후군의 열성 형태를 가진 유아가 질환의 우성형태를 가진 유아보다 더 많은 수의 갈비뼈 이상과 척추 뼈 결함이 나타난다고 제안했다. 게다가, 짧은 키, 아래 팔 뼈의 발육부전, 그리고 손가락 이상은 더욱 심각하다.
대부분의 증례에서, 환자는 노뼈 골두의 탈구(Radial head dislocation)가 나타난다. 로비노 증후군의 우성 유전 형태를 가진 환자에서는 열성 유전 형태에 비해 기형이 드물게 보인다. 열성 유전 형태를 가진 환자는 기형이 우성 유전 형태에 비해 심한 경향이 있다.
진단
대부분의 경우 신체 소견상의 특징, 과거력 및 기타 정밀 검사 등을 토대로 진단된다.
X-선 검사를 통하여 머리와 얼굴 그리고 골격계의 기형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영상 검사를 통해 비정상적으로 턱이 작은 것, 아래팔과 손가락의 뼈가 덜 발달된 것, 척추와 갈비뼈의 기형 등을 알 수 있다. 로비노 증후군은 산전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머리의 기형, 손발 기형 등 신체의 기형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혈액 검사 상 성선자극호르몬의 수치가 상승되어 있을 수 있다.
분자유전학 검사 - 열성 형태를 가지는 로비노 증후군을 가진 환자에서, ROR2 유전자 및 염색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검사 방법  | 발견된 돌연변이  | 돌연변이 발견 비율  | 
염기서열 분석  | ROR2 염기서열 변이  | 65~100%  | 
치료
로비노 증후군의 치료는 개개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이루어진다. 적절한 치료를 하기 위하여 전문가로 구성된 팀의 협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팀의 구성원으로는 소아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외과 전문의, 심장 전문의, 물리 치료사 그리고 그 밖의 건강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생식기 : 모호한 외부 생식기를 가진 영아의 경우 신생아기에 여러 가지 검사를 통하여 적절한 성을 결정하여 수술을 통해 교정하며, 잠복고환이나 다른 성기 이상이 있는 경우 외과적인 수술을 시행한다.
척추 : 보조기, 물리치료와 교정 수술 등을 시행한다.
치아 : 치아 교정기 착용, 치과 치료 등을 시행한다.
ㆍ 치아 교정기 착용, 치과 치료, 그리고 여러 가지 환자를 지지해줄 수 있는 방법 등을 동원하여 환자들의 치아 문제를 해결한다.  
ㆍ 로비노 증후군을 가진 영아들은 철저한 의학적인 검사를 하여 심장 기형과 관련된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한다.
ㆍ 수술을 시행하여 서혜부 탈장, 머리와 얼굴의 기형, 그리고 신체 다른 부위의 이상을 교정할 수 있다.
ㆍ 로비노 증후군을 가진 어린이들이 그들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질병에 대한 빠른 치료와 중재가 필요하다.
ㆍ 특수교육, 특별한 사회적 지지, 물리치료, 그 밖의 의학적, 사회적, 작업치료가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며, 추가적인 치료로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요법(Supportive therapy)을 시도할 수 있다.『유전상담』이란 유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해당 유전질환이 무엇인지, 질환의 증상과 경과 과정, 어떻게 유전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유전상담의 과정을 통해 유전학 전문가로부터 질환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자를 위하여 가족들이 가장 적절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것을 돕는다.
*용어 설명
대두증(Macrocephaly)
머리부위가 해당 연령과 성의 97 백분위수 이상이다.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어떤 환자들은 돌출된 전두부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두눈먼거리증(Hypertelorism, Ocular hypertelorism)
양안격리증 이라고도 하며, 두 눈 사이가 비정상적으로 넓은 상태를 말한다.
측만지증(Clinodactyly)
손가락옆굽음증이라고도 하며, 경미한 선천성 기형으로 주로 새끼손가락이 옆으로 굽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손가락뼈의 모양이 이상하거나, 손가락을 구부리는 인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척추뼈증(Hemivertebrae)
척추의 반에 형성 부전이 있는 선천성 이상이나 척추의 좌우 어느 한쪽의 형성이 불완전한 것을 말한다.
잠복고환증(Cryptorchism)
정상적으로 음낭으로 내려와야 하는 고환이 내려오지 않고 계속해서 복강 속에 머무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되어 오랫동안 고환이 복강 속에 머물게 되면, 복강속의 높은 온도로 말미암아 고환속의 정자를 만드는 생식세포가 죽게 되어 정자를 생산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생후 3~4세가 되면 고환을 강제로 수술적 방법으로 음낭 속으로 끌어내리는 고환고정술(Orchiopexy)를 시행한다. 
참고문헌
2. A Case of Robinow Syndrome(Fetal Face Syndrome) Associated with Cranium Bifidum., J Korean Child Neurol Soc. 2003 Nov;11(2):385-390.
http://www.rarediseases.org
http://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180700
http://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268310
전 세계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