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논병은 심장 및 근골격계를 주로 침범하며 이외 다양한 임상양상을 나타내는 희귀 유전 질환으로, 정확한 발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인종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X-연관 우성유전을 보이며 리소좀 막단백질 유전자 (LAMP2) 변이에 의해 LAMP2 단백질이 부족해서 생기는 축적질환입니다. 심장근육의 약화, 골격근의 약화, 지적장애 세 가지가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주로 남성이 여성보다 더 이른 나이에 심한 증상을 보입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심근병증으로 남자환자의 88%는 심근병증을 동반하고 비후성 심근병증이 주된 표현형입니다. 

원인

리소좀 막 단백질-2 (lysosome-associated membrane protein 2, LAMP2)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LAMP2 유전자가 위치한 X(Xq24) 염색체의 손실이나 결실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성염색체 우성 (X-linked dominant) 유전을 하는 병으로 유전자 변이에 의해 LAMP2 단백질 결핍이 생기고, 이로 인해 세포내의 미세물질 분해과정에 장애가 생겨 자가 포식(autophagia) 소포가 서서히 여러 조직에 침착되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증상

다논병 환자에서는 심근병증, 골격근 근육병증, 지적장애 세 가지가 전형적으로 나타나고 남성에서 훨씬 증상이 심한데, 일반적으로 유년기나 청소년기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여성은 성인 초기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심근병증 
심근병증은 다논병의 가장 흔한 증상이며 질환이 있는 거의 모든 남성에게 발생합니다. 남성의 90%에서는 비후성 심근병증 (심장 근육이 정상보다 두껍고 딱딱해짐)이 나타나고 10%에서 확장성 심근병증 (심장이 약해지고 커짐)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두 가지 증상은 혈액을 효율적으로 펌프하는 심장의 능력에 영향을 미쳐 심부전 및 조기사망을 포함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절반은 비후성 심근병증이 나타나고 나머지 절반은 확장성 심근병증이 발생합니다. 

2. 심장 전도 이상 
환자는 가슴이 두근거림이나 부정맥 또는 가슴통증을 비롯한 심장 관련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환된 남성의 대부분에서 심장 박동을 제어하는 전기신호의 이상을 갖고 있으며 가장 흔한 전도 이상은 Wolff-Parkinson-White syndrome입니다. 

3. 근육병증 
다논병에 걸린 대부분의 남성과 여성의 약 절반이 골격근 근육병증을 앓고 있는데 자주 영향을 받는 근육은 등, 상완, 어깨, 목 및 허벅지 근육의 약화입니다. 또한 많은 혈액 검사에서 근효소 (creatine kinase)가 높아져 있습니다. 

4. 지적장애 
지적장애는 대부분의 남성 환자에서 보이고 여성 환자에서는 소수만이 지능저하를 보이며, 대부분 경미한 정도로 나타납니다.

5. 기타 
망막 침범이 흔하게 나타나며 특히 남성에서 망막 색소 상피의 색소 소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중증소견
심근병증 및 전도 이상, 부정맥을 동반한 경우 중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환자의 병력, 증상, 신체검사 및 혈액검사 결과를 통하여 진단하며 심근세포나 근육세포에서 자가포식 물질과 글리코겐(glycogen)을 함유하는 세포내 소포가 조직검사에서 보이는 것이 특징이나 여성의 경우나 어린나이에서는 정상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확진은 유전자 검사를 통해 LAMP2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합니다. 

치료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증상을 해결하도록 합니다. 심장 전문의, 신경과 전문의, 안과전문의, 유전전문가, 유전 상담사, 재활의사 교육전문가, 물리 치료사의 도움이 필요하며 다논 병에서 급속히 진행되는 심근병증 및 심장사가 관련될 수 있으므로 심장질환에 대한 자세히 관찰이 필요합니다. 심장초음파와, 심장 MRI를 통한 심장기능과, 비후정도, 섬유화 정도를 관찰하여야 합니다. 심장병 치료약물이 첫 번째 치료방법이 될 수 있고 진행성 심부전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급성 심장사를 방지하기 위해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를 심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심부전이 진행하는 경우 심장이식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미리 준비하여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근력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어야 하고 물리치료는 근력과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가 있는 남성의 경우는 적절한 교육적 치료를 받도록 합니다.

참고문헌

1. Zhongwei Cheng, Quan Fang. Danon Disease: Focusing on Heart. J Hum Genet. 2012 Jul;57(7):407-10.
2. D'souza, Ryan S et al. “Danon disease: clinical features, evaluation, and management.” Circulation. Heart failure vol. 7,5 (2014): 843-9. 
3.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4742/
4. https://ghr.nlm.nih.gov/condition/danon-disease#diagnosis
5. https://rarediseases.info.nih.gov/diseases/9730/danon-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