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철불응성 철결핍성 빈혈은 철결핍성 빈혈의 일종으로 경구 철 복용으로 빈혈이 개선되지 않습니다. 혈액 내 철분 부족으로 적혈구가 작고(microcytic, 소적혈구) 창백해집니다(hypochromic, 저색소성). 빈혈은 경도에서 중등도 정도를 보입니다. 증상은 대개 경한 편이지만, 경우에 따라 창백해 보이거나 약하고 피곤하거나 어지러울 수도 있습니다.
 
철불응성 철결핍성 빈혈은 Matriptase2 를 암호화하는 TMPRSS6 유전자의 변화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됩니다. Matriptase2 는 막관통 세린 단백분해효소(transmembrane serine protease)로 철 항상성의 핵심 조절제인 hepcidin을 하향조절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일반 혈액 검사로 의심할 수 있으나, 유전자 검사로 확진 할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비타민 C가 함유된 구강철 치료로 빈혈이 개선될 수 있으나, 개선되지 않는다면 정맥주사 철요법을 써볼 수 있고, 이는 일부에서는 빈혈을 개선시킵니다. 성인기에 스스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

Matriptase2 를 암호화하는 TMPRSS6 유전자의 변화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됩니다. TMPRSS6 유전자 돌연변이는 matriptase2의 감소나 결핍을 일으켜 체내 철 조절에 문제를 일으켜 빈혈을 야기합니다. Matriptase2 는 막관통 세린 단백분해효소(transmembrane serine protease)는 철 항상성의 핵심 조절제인 헵시딘(hepcidin)을 하향조절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헵시딘 수치가 높아지는 경우 장내 철분 흡수를 억제하며, 대식세포로부터의 철 흡수 및 동원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것이 철불응성 철결핍성 빈혈에서 구강 철에 대한 불응성을 보이는 이유입니다.

증상

대부분의 철불응성 철결핍성 빈혈 환자들은 창백함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임상 징후가 없으며 정상적인 성장과 발육을 하고 있습니다. 빈혈의 정도는 대부분 경하며 소아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빈혈이 심한 경우 허약, 피곤함, 어지러움, 운동시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성 빈혈 증상은 피로, 창백한 피부, 빠르고 불규칙적인 심장박동, 숨이 차거나 가슴 통증, 어지럼증, 팔다리의 저린 감각과 차가움 등이 있습니다.

진단

철결핍성 빈혈을 보이는 환자에서 경구 철에 대한 불응성을 보이는 경우, 먼저 셀리악병(celiac disease), 헬리코박터 감염, 자가면역성 위염의 배제가 필요합니다. 다양한 정도의 소저색소성 소구성 빈혈을 보이면서 매우 낮은 혈청철, 약간 낮거나 정상 수준의 혈청 페리틴(ferritin) 수치, 빈혈의 정도와 비교하여 부적절하게 높은 혈청 헵시딘(hepcidin) 수치를 보이는 경우 철불응성 철결핍성 빈혈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TMPRSS6 유전자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동형접합(homozygous) 또는 복합 이형접합(compound heterozygous) 돌연변이가 확인되는 경우 확진할 수 있습니다.

치료

철불응성 철결핍성 빈혈을 가진 어린이는 대개 경구 철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지만, TMPRSS6 유전자 변이 위치에 따라 철분 치료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먼저 6-8주동안 비타민 C와 함께 FeSO4 형태의 경구 철분 복용을 해봅니다. 이에 대한 반응이 없을 경우 정맥 철 치료를 하게 됩니다. 정맥 철 요법에 대한 반응은 부분적이지만, 지속적인 반응을 위해 정맥 철 요법을 유지하게 됩니다. 성인기가 되면 대개 적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 안 낮은 수준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더 이상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됩니다.

참고문헌

2007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Inc.
Pediatric Hematology Oncology Journal. August, 2017; 2(2):48-53.
https://ghr.nlm.nih.gov/condition/iron-refractory-iron-deficiency-anemia
Turk J Haematol. 2015 Mar; 32(1):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