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스-반크레벨트증후군
Ellis-van Creveld syndrome
개요
엘리스-반 크레벨드 증후군(Ellis-van Creveld syndrome) 또는 연골-외배엽 형성이상증은 출생 시부터 골격의 발육 부전으로 인한 저신장증, 손발가락과다증, 짧은 갈비뼈로 인한 작은 흉곽, 손발톱과 치아의 발육 부전, 높은 빈도의 선천성 심장기형 등의 특징을 보이는 아주 드문 유전 질환입니다.
이 증후군은 1933년 McIntosh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1940년 영국의 Richard Ellis와 네덜란드의 Simon van Creveld의 이름을 따서 엘리스-반 크레벨드 증후군으로 명명되어 졌습니다. 발생빈도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원인
엘리스-반 크레벨트 증후군은 상염색체열성으로 유전되며, 4번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는 EVC1과 EVC2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유전자의 기능과 발병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Kristen 등의 연구에 의하면 EVC 유전자는 심장 발생 단계에서 특히 판막과 중격의 형성에 관련되며 돌연변이에 의해 이 유전자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심장의 기형을 유발하게 됩니다.
증상
엘리스-반 크레벨드 증후군은 여러 장기를 침범하여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냅니다. 출생시부터 저신장증, 성장 지연, 골격계 기형이 나타나며, 선천치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특징적인 4가지 임상 증상으로 연골발생장애, 손발가락과다증, 외배엽 형성이상증, 심장 기형이 있습니다.

연골발생장애는 장골에 가장 흔히 나타나는데 그 영향으로 환자는 출생 시부터 특징적인 불균형 저신장증을 보이며 성인이 되어도 평균 신장이 109-155cm에 불과합니다.
손발가락과다증은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손에서 발생하고 발에서는 10% 정도에서 동반됩니다. 특히 새끼손가락 옆에 손가락이 더 있으며, 짧고 평평한 손가락 가운데마디를 보입니다. 정강이뼈 위쪽 바깥쪽면의 형성 부전에 의해 무릎이 바깥쪽으로 휘는 현상과 발목이 안쪽으로 휘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외배엽 형성이상증은 93%의 환자에서 동반되는데 손톱은 형성이상으로 쉽게 부서지고, 치아의 저형성으로 비정상적인 모양과 부정 교합이 발생합니다. 머리카락은 드문드문하게 납니다.
심장 기형은 50% 정도의 환자에서 동반되는데 가장 흔한 기형은 공통 심방으로 1개의 심방밖에 관찰되지 않습니다. 다른 심장기형으로는 방실관 결손, 심실 중격 결손, 심방 중격 결손, 동맥관 개존증 등이 있습니다. 심장 기형으로 인해 성장 부전, 청색증, 호흡 곤란, 심잡음 등의 심부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 기형이 동반되면 영아기에 50% 정도의 환자는 사망하지만 영아기를 넘긴 환자들은 정상 수명을 보입니다.
두개 안면의 특징으로 정상적인 머리 크기를 보이나 입술과 잇몸의 주름띠, 잇몸 비대 등이 나타나고 이가 늦게 납니다. 다른 근골격계 기형으로 짧고 발달이 미숙한 갈비뼈로 작은 흉곽을 보이고 이로 인해 호흡 부전이 발생합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요로계 기형이 동반될 수 있으며 중추신경계 기형과 발달 지연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예후는 신생아기에 작은 흉곽과 심장 기형으로 인한 호흡 부전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진단
특징적인 임상 증상으로 진단하게 되며, EVC1과 EVC2 유전자 분석으로 돌연변이를 발견함으로써 확진할 수 있습니다.
골격 X-선 검사를 시행하면 몸통에 가까운 부분이 짧아져 있는 팔뼈와 다리뼈를 관찰할 수 있고 손발가락과다증, 손목뼈의 다양한 융합, 무릎외반, 짧은 갈비뼈와 작은 흉곽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골반 X-선 검사에서 짧은 장골 날개와 돌기 모양의 골반 기형이 나타납니다.
심장 기형을 평가하기 위해 흉곽 X-선 검사, 심전도, 심초음파를 시행합니다. 드물지만 중추신경계 기형과 신장 기형을 평가하기 위해 뇌의 MRI 검사와 신장 초음파를 시행합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로 장골의 연골세포 파괴를 관찰 할 수 있습니다. 산전 초음파에서는 자궁내성장지연, 골격계 기형, 현저하게 짧은 장골, 작은 흉곽, 심장 기형이 나타납니다.
치료
각각의 임상 증상에 따라 임상유전학, 심장, 호흡기, 정형외과, 비뇨기과, 치과, 재활의학과, 정신과, 신경과 등 각 전문과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신생아기에는 호흡 부전과 심부전에 대한 대증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에 대해 항생제 치료를 시행합니다.
치과적인 치료로 구강을 청결히 관리하여 충치를 예방하고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나 의치를 시행합니다. 선천치(neonatal teeth)는 수유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발치해야 합니다.
수술적인 치료로 손발가락과다증 등 골격계 기형에 대한 정형외과적 수술, 심장 기형에 대한 흉부외과적 수술, 잠복 고환, 요도하열 등에 대한 비뇨기과적 수술 등이 필요합니다.
저신장증에 대한 성장 호르몬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문헌
Baujat G, Le Merrer M. Ellis-van Creveld syndrome. Orphanet J Rare Dis 2007;2:27.
Al-Khenaizan S, Al-Sannaa N, Teebi AS. What syndrome is this? Chondroectodermal dysplasia--the Ellis-van Creveld syndrome. Pediatr Dermatol 2001;18:68-70.
Susami T, Kuroda T, Yoshimasu H, Suzuki R. Ellis-van Creveld syndrome: craniofacial morphology and multidisciplinary treatment. Cleft Palate Craniofac J 1999;36:345-52.
Analysis of Ellis van Creveld syndrome gene product: implications for cardiovascular development and disease, Hum Mol Genet. 2009 May 15;18(10):1813-24
http://www.cafamily.org.uk/Direct/e24.html1
http://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225500

전 세계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