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지 형성이상
Campomelic dysplasia
개요
굴지 형성이상은 매우 드문 선천성 질환으로 골격형성 장애 및 여러 장기의 발육부전이 특징적인 질환이다. 특히 굴지 증후군의 이름처럼 사지의 긴뼈(특히 다리의 경골)가 굽어져 나타나고, 얼굴의 비정상적 모양, 기관 및 폐의 발육 부전, 척추 및 어깨, 골반의 형성 이상, 갈비뼈의 형성이상(정상적으로는 12쌍이지만 11쌍으로 관찰된다.), 남성생식기의 불완전 발달이 같이 나타난다. 기관의 발달이 미숙하므로 신생아기 호흡곤란이 동반되고 이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굴지증후군의 발생빈도는 보고되어 있지 않지만 남성보다 여성에서 두 배 정도 더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매우 드문 질환으로 의학계에 약 100여개의 증례가 보고되어 있다.
원인
분자유전학적인 연구를 통해 17번 염색체 상에 있는 SOX9 유전자의 어느 한 부분에 변이가 있거나 17번 염색체의 일부에 전좌(translocation)으로 SOX9 유전자 발현에 이상이 있을 때에 발병한다.
증상
굴지 형성이상은 다리의 긴뼈가 굽어져 있는 골격형성이상의 특징을 보이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진행성 척추측후만증(kyphoscoliosis), 학습장애, 저신장, 엉덩이뼈의 탈구, 대부분의 12쌍인 갈비뼈가 굴지 형성이상에서는 11쌍이 존재하게 된다.
골반과 어깨의 발육부전이 나타나며, 특징적으로 두개골은 크며 좁고 길다.
얼굴은 콧구멍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고, 높은 앞이마, 작은 턱, 구개열과 함께 납작한 모양이 특징적이다.
신생아기에 기관연화증로 인한 호흡곤란과 중이염이 나타날 수 있다. 호흡곤란으로 인해 기관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호흡곤란 때문에 신생아기 사망률이 높으며 예후가 나쁘다.
굴지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증상은 흉곽의 발육부전으로 인한 호흡곤란, 상기도 감염이다. 길고 좁은 흉곽을 갖고 있으며 흉곽의 발육부전으로 인해 폐가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굴지증후군의 다른 증상들은 곤봉발(clubfoot), , 비정상적 심장과 콩팥이다.
방사선학적 검사 상 무릎뼈의 형성 부전이나 결여, 척추 후궁 미봉증(spinal dysraphism), 좌골 치골의 골화 결손, 어깨뼈의 형성 저하 등의 소견이 보인다..
그 외의 합병증으로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발달 지연, 충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굴지 형성이상의 77%에서 염색체상으로 핵형은 남성이지만 여성의 생식기를 가지고 있는 생식기 계통의 성-역전(sex reversal) 현상이 발생한다.
진단
굴지 형성이상의 진단은 임상적 평가, 척추 뼈, 엉덩이, 흉부, 다리 그리고 발의 X-ray, 콩팥의 초음파검사와 심장초음파검사로 진단을 한다.
A. 세포유전학적 검사 : 5%의 환자에서 염색체 검사를 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소견 중 하나를 발견할 수 있다.
- SOX9 유전자가 위치하는 17번 염색체의 장완24.3-25.1 부위에서 절단점을 가지는 de novo 상호전좌
- 17번 염색체 장완의 de novo 사이결손 (interstitial deletion)
* 드물게 전좌가 가족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모의 핵형분석도 해야 한다.
B. 분자유전학적 검사 : SOX9 유전자는 굴지 형성이상과 관련된 유일한 유전자이다.
- 돌연변이 검사: 임상적으로 진단된 굴지형성이상 환자의 90%에서 SOX9 유전자의 엑손 3개와 엑손/인트론 인접부위의 돌연변이가 발견된다.
- 결손 검사: 임상적으로 진단되었으나 정상핵형을 보이는 환자의 5%에서 정량PCR, 실시간PCR, MLPA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SOX9 유전자 세 엑손의 전체결손 또는 부분결손 등을 알 수 있다.
치료
호흡문제에 대한 치료는 호기말 양압(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PEEP)을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호흡 지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생아기 기관연화증로 인한 호흡곤란으로 기관절개술이 요구될 수 있다.
휘어져 있는 경골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곧게 되지만, 그 외의 골격 이상이나 구개열에 대해서는 외과적 수술을 포함한 치료가 심각한 뼈의 기형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여성 외부 생식기의 재형성 수술이 필요하다.
환자와 가족을 위해 유전 상담이 도움이 되며,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지지요법을 시도할 수 있다.
참고문헌
2. http://www.rarediseases.org
http://ghr.nlm.nih.gov/condition/campomelic-dysplasia
http://www.healthline.com/galecontent/campomelic-dysplasia-1
http://www.wrongdiagnosis.com/c/campomelic_dysplasia/intro.htm
전 세계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