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위버 증후군은 과도한 성장, 증가된 골연령 소견을 보이고 특징적인 두부 및 사지 이상을 나타내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유병률 <1/1,000,000). 위버 증후군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중간엽 결손이 그 원인으로 골화중심 조기에 무기질 침착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산발성 발생을 보이며, 상염색체 우성유전 또는 X-연관 열성유전, 상염색체 열성 유전을 나타내기도 한다. 위버 증후군의 특징적인 소견으로는 두개안면부이상, 사지골격이상, 지능저하, 행동 및 성장발달 장애, 신경학적 장애, 심장기형, 비뇨기계 기형을 나타내는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

 산발적인 발생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EZH2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된 경우 상염색체 우성유전 방식으로 유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

 위버 증후군은 과도한 성장, 증가된 골연령을 보이고 특징적인 두부 및 사지 이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특징적인 전신소견은 두개 안면부 이상소견이다. 넓은 이마 및 전두부 돌출, 편영후두, 큰 귀, 양안과다격리증, 저명한 인중, 작은 턱, 낮게 위치한 귀, 안각 격리증, 안내각 췌피주름 등이 있다 (그림1).

임상적으로 위버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으로는 다음과 같다.

- 큰 키
  : 위버 증후군 환자의 90% 이상에서 평균에서 2 표준편차 이상의 큰 키를 보임.

- 지능저하
  : 단, 지능저하 정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정상 지능을 가지는 경우도 있음.

- 특징적인 두 개 안면부 소견

  : 전두골 돌출, 낮게 위치한 귀, 큰 귀, 양안과다결리증, 아래로 치우친 안검열,  안각격리증, 낮은 콧등, 긴 인중, 작은 턱 등

- 그 밖의 관련소견
  : 증가된 골연령(bone age), 대두증(macrocephaly), 굴지증, 배꼽 탈장(umbilical hernia), 신경학적 장애(근육긴장저하, 과다 근육긴장), 피부소견(cafe au lait macules, 혈관종), 안소견(원시, 근시, 사시), 선천성 심기형, 청각장애(hearing loss), 신생아 저혈당 등 

사지 골격계의 이상소견으로 손목뼈, 대퇴골 말단, 척골에 전반적인 골연령의 증가 소견을 나타낸다. 그리고 팔꿈치, 엉덩이, 손목, 발목, 그리고 무릎의 신전장애나 과신전이 나타나며, 대퇴골 말단이 넓어지며, 척추 측만증, 척추 후만증, 수지 만곡증, 큰 엄지, 저명한 손가락 결절, 얇고 깊게 위치한 손톱 등을 나타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심기형으로는 심방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 동맥관 개존 등의 심기형이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버 증후군 환아의 안소견에 대해서는 출생당시 내사시가 동반될 수 있고 그밖에 외사시, 안각격리증, 양안과다격리증, 수평안검열등의 소견을 보일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림1) 위버 증후군 환아의 특징적인 안면부 소견 (출처: http://www.ncbi.nlm.nih.gov/books/NBK148820/)


그림2) 위버 증후군 환아의 증가된 골연령 사진 (A. 생후 2일째 촬영한 골연령 사진으로 두 개의 손목뼈 골화중심을 보이는 생후 6개월 정도의 증가된 골연령을 보임. B, 생후 14개월째 같은 환자의 골연령 사진으로 생후 51개월 정도의 증가된 골연령을 보임)

(출처: Weaver 증후군 1례. Korean J Pediatr 2004;47:1216-9.)

진단

 - 특징적인 임상소견 : 과도한 성장 및 증가된 골연령, 특징적인 안면부 또는 사지 골격이상 소견을 보일 경우 위버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골격계 이상 및 골연령 확인을 위한 X-ray 촬영을 시행할 수 있다. 

- EZH2 유전자의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이용한 평가 : EZH2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을 위한 염기서열분석 또는 MLPA 검사 등이 분자유전학적 진단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 뇌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이용한 신경학적 이상 평가  : 뇌실확장증(ventriculomegaly), 뇌실주위 백반연화증(periventricular leukomalacia), 뇌실사이 중격강(persistent cavum septum pellucidum)이 남아 있는 경우, 과거 뇌경색, 다소뇌회증(polymicrogyria), 큰뇌이랑증(pachygyria)

치료

 환자의 동반된 증상에 따른 교정 치료가 필요하다.

- 정신 지체, 지능저하가 동반된 경우 이에 대한 학습, 행동, 언어 보정치료. 
- 굴지증 : 필요시 수술적 치료 시행
- 척주측만증 (scoliosis) : 필요시 정형외과적 교정 시행.

참고문헌

1. http://www.rarediseases.org
2. Byun JC, Kim CS, Lee SL, Kwon TC, Lee HJ. A Case of Weaver Syndrome. Korean J Pediatr 2004;47:1216-9.
3. http://www.omim.org/entry/277590
4. http://www.ncbi.nlm.nih.gov/books/NBK148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