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거 기드온 증후군
Langer-Giedion syndrome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66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8번 염색체 장완 (8q23.2-24.1)의 결손
증상
지능저하, 피부의 과도한 주름, 뼈돌출증, 성장장애, 난청, 소두증, 수족의 변형, 발달장애
관련 부위
체내 : 뇌
체외 : 골격, 귀, 두개골, 코, 피부
진단과 치료
원인
염색체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청력검사
치료
수술적 치료, 여러 진료과의 통합 치료, 증상적 치료
관련 질환
질환명
모발비지절증후군 제 2형(Trichorhinophalangeal syndrome type II (TRPS2) )
8번 염색체 장완의 결손( Monosomy 8q24.1)
기타
산정 특례
질병코드
V900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랑거 기드온 증후군(Langer-Giedion syndrome)은 제 2형 모발비지절증후군(tricho-rhino-phalangeal syndrome type 2)으로 백만 명당 1명 미만의 발생률을 보이는 극히 드문 유전질환입니다. 모발비지절증후군은 특이한 얼굴 생김새,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의 변형 및 가늘고 성긴 모발 등이 특징적입니다. 이 중다발성 골연골종증을 동반한 경우를 제 2형으로 구분하여 랑거 기드온 증후군이라 합니다.
원인
랑거 기드온 증후군은 8 상염색체 장완에서 TRPS1과 EXT1 유전자가 포함된 8q23.2-q24.1 부분의 부분적 결손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염색체는 우성으로 유전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질환이 유전될 확률은 성별에 관련 없이 50% 입니다.
증상
증상의 범위와 중증도는 랑거 기드온 증후군 환자들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에는 미세하고 얇은 머리카락, 독특한 얼굴 생김새, 작은 키, 손과 발의 이상, 뼈돌출증, 근육 긴장 저하, 피부 이상이 있습니다.
환자들의 머리카락은 가늘고 얇으며, 잘 자라지 않고 잘 부서집니다. 어린 나이에 탈모증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얼굴생김새는 특징적인데, 머리둘레가 작은 소두증(microcephaly), 비정상적으로 크고 둥근 코(bulbous nose), 크고 돌출된 귀, 작은 턱(micrognathia), 아래턱 후퇴증(retrognathia)을 보입니다.

성장 지연이 나타나며 키는 매우 작습니다. 대부분 비정상적으로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을 보이며, 손발가락의 끝이 원뿔 모양으로 자라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신체의 여러 뼈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뼈가 성장하여 돌출되는 뼈돌출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날개뼈가 튀어나와 보이거나(winged scapula) 손가락이 붙어있거나(syndactyly) 척추 측만증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환자들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있어 고관절 문제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많은 환자들이 정신 지체가 있지만, 25%의 환자들에서는 정상적인 지능을 보입니다. 피부에 반점 (maculopapular nevi)들과 근육 긴장도 감소(hypotonia), 감각 신경성 난청 및 언어발달 지연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호흡기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며, 자궁에 물이 고이는(hydrometrocolpos) 등 비뇨생식기계 이상도 있을 수 있습니다.
환자들의 머리카락은 가늘고 얇으며, 잘 자라지 않고 잘 부서집니다. 어린 나이에 탈모증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얼굴생김새는 특징적인데, 머리둘레가 작은 소두증(microcephaly), 비정상적으로 크고 둥근 코(bulbous nose), 크고 돌출된 귀, 작은 턱(micrognathia), 아래턱 후퇴증(retrognathia)을 보입니다.

성장 지연이 나타나며 키는 매우 작습니다. 대부분 비정상적으로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을 보이며, 손발가락의 끝이 원뿔 모양으로 자라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신체의 여러 뼈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뼈가 성장하여 돌출되는 뼈돌출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날개뼈가 튀어나와 보이거나(winged scapula) 손가락이 붙어있거나(syndactyly) 척추 측만증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환자들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있어 고관절 문제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많은 환자들이 정신 지체가 있지만, 25%의 환자들에서는 정상적인 지능을 보입니다. 피부에 반점 (maculopapular nevi)들과 근육 긴장도 감소(hypotonia), 감각 신경성 난청 및 언어발달 지연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호흡기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며, 자궁에 물이 고이는(hydrometrocolpos) 등 비뇨생식기계 이상도 있을 수 있습니다.
진단
검사는 크게 두 가지로 임상증상 및 관련 검사와 유전검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랑거 기드온 증후군이 의심되는 특징적인 출생시 이상들(드물고 얇은 모발, 크고 둥근 코, 주름진 피부)이 보일 경우 유전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고식적 핵형 분석, 형광제자리부합법(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및 비교유전자교잡법(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을 사용합니다. 결실 부위에 해당하는 적절한 프로브(probe)를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환자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임상증상에 대한 검사로는 손발가락 이상, 뼈돌출증에 대해서 x-ray를 포함한 영상검사를 시행하며, 발달지연에 관련 된 발달 검사, 지능저하, 정신지체에 대해서는 지능 및 정서-심리검사, 청각장애 확인을 위해 이비인후과 검진 및 청력검사를 시행합니다.
감별진단으로는 모발비지절증후군 유형 I, 유형 III, 유전성 다발외골증, 진행성 골화섬유형성이상이 있습니다.
랑거 기드온 증후군이 의심되는 특징적인 출생시 이상들(드물고 얇은 모발, 크고 둥근 코, 주름진 피부)이 보일 경우 유전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고식적 핵형 분석, 형광제자리부합법(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및 비교유전자교잡법(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을 사용합니다. 결실 부위에 해당하는 적절한 프로브(probe)를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환자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임상증상에 대한 검사로는 손발가락 이상, 뼈돌출증에 대해서 x-ray를 포함한 영상검사를 시행하며, 발달지연에 관련 된 발달 검사, 지능저하, 정신지체에 대해서는 지능 및 정서-심리검사, 청각장애 확인을 위해 이비인후과 검진 및 청력검사를 시행합니다.
감별진단으로는 모발비지절증후군 유형 I, 유형 III, 유전성 다발외골증, 진행성 골화섬유형성이상이 있습니다.
치료
치료는 여러 분야에 걸쳐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개별 환자들마다 증상이 다르므로 환자에게 맞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뼈돌출증은 경우에 따라 통증을 유발하고 신경을 압박하며 팔다리의 발달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외과적으로 돌출된 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물리치료를 병행하면 운동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 및 평가를 통해 발달지연 및 지적장애에 대한 특수교육이 필요합니다. 청력저하가 있을 시 보청기 사용이 도움이 됩니다. 호흡기 감염에 걸린 환자들을 정기적으로 검진하고 평가하며, 반복적인 감염이 일어나는 경우 예방조치들을 권고할 수 있습니다. 운동발달, 인지, 사회기능에 대한 조기 재활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유전 상담은 랑거 기드온 증후군 환자와 그 가족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뼈돌출증은 경우에 따라 통증을 유발하고 신경을 압박하며 팔다리의 발달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외과적으로 돌출된 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물리치료를 병행하면 운동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 및 평가를 통해 발달지연 및 지적장애에 대한 특수교육이 필요합니다. 청력저하가 있을 시 보청기 사용이 도움이 됩니다. 호흡기 감염에 걸린 환자들을 정기적으로 검진하고 평가하며, 반복적인 감염이 일어나는 경우 예방조치들을 권고할 수 있습니다. 운동발달, 인지, 사회기능에 대한 조기 재활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유전 상담은 랑거 기드온 증후군 환자와 그 가족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trichorhinophalangeal-syndrome-type-ii/
2. http://www.orpha.net
3. https://en.wikipedia.org/wiki/Langer%E2%80%93Giedion_syndrome
4. Hicks J. Trichorhinophalangeal Syndrome Type II. In: NORD Guide to Rare Disorder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A. 2003:731.
5. Dunbar JD, et al., Hip pathology in the trichorhinophalangeal syndrome. J Pediatr Orthop. 1995;15:381-5.
2. http://www.orpha.net
3. https://en.wikipedia.org/wiki/Langer%E2%80%93Giedion_syndrome
4. Hicks J. Trichorhinophalangeal Syndrome Type II. In: NORD Guide to Rare Disorder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A. 2003:731.
5. Dunbar JD, et al., Hip pathology in the trichorhinophalangeal syndrome. J Pediatr Orthop. 1995;15:381-5.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