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MEGDEL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3-메틸글루타코닉 산뇨, 정신 운동 지연, 근육 긴장 저하, 감각신경성 난청 및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리이 (Leigh) 유사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상염색체 열성 질환입니다. 국내 유병률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며, 외국문헌에 따르면 유병률은 1/1,000,000 이하이고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약 45명의 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

원인

SERAC1 유전자의 변이로 인한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입니다. SERAC1 유전자가 발현시키는 SERAC1 단백이 기능을 하지 않게 되어 미토콘드리아 세포막을 구성하는 카디오리핀 재형성 문제를 야기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를 유발하게 됩니다.

증상

MEGDEL 증후군은 소변에서 3-메틸글루타코닉산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이 특징이며 (3-메틸글루타코닉 산뇨) 내이의 변화로 인한 점차 진행하는 청력 상실 (감각신경성 난청) 이 발생합니다.

또 다른 특징은 뇌 기능 장애로 (뇌병증) 유아기 뇌병증은 섭식 곤란, 성장 장애, 근육 긴장 저하로 이어집니다. MEGDEL 증후군이 있는 영아는 나중에 비자발적 근육 긴장 (긴장 이상증) 및 근육 경직이 발생하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됩니다. 이러한 뇌 및 근육 문제로 인해 정신 및 운동 발달이 지연됩니다. 뇌 영상은 대뇌 및 소뇌 위축뿐만 아니라 리이 증후군을 연상시키는 기저핵의 병변을 보여줍니다. 이외의 특징으로 신생아기 저혈당증, 유아기 간기능 장애, 젖산 산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중증소견
질환의 중증도는 신경학적 증상 및 청력장애의 정도에 따르게 됩니다. 소변유기산 검사에서 측정되는 3-메틸글루타코닉산, 3-메틸글루타르산의 증가 정도가 임상증상의 중증도를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진단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통해 SERAC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합니다. 특수 생화학 소변 검사를 통해 3-메틸글루타코닉산, 3-메틸글루타르산 상승을 확인합니다. 뇌 자기공명 영상에서 리이 증후군과 유사한 양측 기저핵 침범 소견을 확인합니다.

치료

근본적 치료는 없으며, 환자의 증상에 따라 증상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증상에 따라 재활, 정형외과, 신경과, 이비인후과 등 여러 분야의 협진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1.Orphanet: https://www.orpha.net/consor/cgi-bin/OC_Exp.php?lng=EN&Expert=352328 
2.Genereview: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95853/
3.MEGDEL Syndrome – GeneReviews®-NCBI
4.https://ghr.nlm.nih.gov/condition/megdel-syndrome
5.https://www.omim.org/entry/614739
6.https://www.malacards.org/card/3_methylglutaconic_aciduria_with_deafness_encephalopathy_and_leigh_like_syndrome
7.https://www.ncbi.nlm.nih.gov/medgen/766511
8.https://radiopaedia.org/articles/megdel-syndrome
9.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megdel-syndrome/#inheritance
10.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95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