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막수용체복합체[CR3]결손
Cell membrane receptor complex [CR3] defect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42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유전 질환. leukocyte beta2 integrin receptor CD11/18 (CR3)의 결핍으로 백혈구부착능 저하. 결과적으로 보체계 기능 부전 초래
증상
반복되는 피부감염과 잇몸 염증 심하고 반복되는 포도알균/그람음성 세균 감염상처가 잘 낫지 않음
관련 부위
체내 : 뇌, 신장, 폐, 혈관(혈액)
체외 : 귀, 피부
진단과 치료
원인
백혈구 표면의 단백구조인 CD11과 CD18의 결핍을 유세포분석과 CD11/CD18 단일클론 항체를 가지고 진단. 시퀀싱으로 베타2 서브유닛의 분자적 결함을 확인
치료
항생제, 조혈모세포이식
관련 질환
질환명
백혈구부착능 결핍증후군(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syndrome I)
기타
질병분류
(KCD 코드)
D71
산정 특례
질병코드
V109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CR3 결핍증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보체계가 활성화된 뒤 백혈구가 염증부위로 이동하기위해 필요한 부착인자 중 하나인 beta2 integrin 수용체가 결핍되는 병입니다. 백혈구의 beta2 integrin 수용체로 알려진, CD11/CD18 복합체 CR3는 백혈구 유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이것이 부족하면 결과적으로 식세포 기능이 떨어져 환자는 감염에 취약하게 됩니다.
원인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유전되는 병입니다.
증상
CR3가 결핍된 환자는 피부 감염과 잇몸 염증이 반복됩니다. 어릴때 배꼽이 늦게 떨어지기도 하고, 배꼽에 이차 염증이 잘 생기기도 합니다. 세균 중에서는 포도알균 감염이나 그람음성 균의 감염에 특히 취약하며, 잇몸에 염증이 자주생기고 상처가 잘 낫지 않습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수가 높아지는 것에 비해 몸에 고름이 많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진단
백혈구 표면에서 CD18이나 이와 연관된 CD11의 부재를 확인하여 진단한다. CD11과 CD18애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유세포분석을 하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감염에 대하여는 적극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감염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는 조혈모세포 이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감염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는 조혈모세포 이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Mohammed S. CR3 deficiency. PathologyOutlines.com website.
https://www.pathologyoutlines.com/topic/lymphnodesCR3deficiency.html
Schröder-Braunstein J and Kirschfink M. Complement deficiencies and dysregulation: Pathophysiological consequences, modern analysis, and clinical management. Mol Immuno. 2019;114:299-311
Pettigrew HD, Teuber SS, and Gershwin ME. Clinical significance of complement deficiencies. Ann NY Acad Sci. 2009;1173:108-23
Sjöholm AG, Jönsson G, Braconier JH, Sturfelt G, and Truedsson L. Complement deficiency and disease: An update. Mole Immuno. 2006;43:78-85
https://primaryimmune.org/
https://www.pathologyoutlines.com/topic/lymphnodesCR3deficiency.html
Schröder-Braunstein J and Kirschfink M. Complement deficiencies and dysregulation: Pathophysiological consequences, modern analysis, and clinical management. Mol Immuno. 2019;114:299-311
Pettigrew HD, Teuber SS, and Gershwin ME. Clinical significance of complement deficiencies. Ann NY Acad Sci. 2009;1173:108-23
Sjöholm AG, Jönsson G, Braconier JH, Sturfelt G, and Truedsson L. Complement deficiency and disease: An update. Mole Immuno. 2006;43:78-85
https://primaryimmune.org/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