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ADNP (activity-dependent neuroprotector homeobox 유전자)증후군은 안면 기형 외에도 지적 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동반하며 다양한 징후와 증상을 일으키며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잘 안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ADNP 증후군 환자의 지적 장애는 경미한 경우부터 중증까지 정도가 다양합니다. 환자들은 언어 발달 및 운동 기술의 발달이 함께 지연됩니다. 몇몇 환자는 말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환자들은 반복적인 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같은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줍니다. ADNP 증후군은 또한 불안, 발작, 주의력 결핍/과민성 장애, 강박 장애 또는 수면 문제 등과 같은 정서 장애나 행동 장애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 증후군의 정확한 발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중 전체 사례의 0.17%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흔한 유전적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원인

ADNP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하며, 20번 염색체 (20q13.13)에 있는 ADNP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ADNP 유전자는 활동 의존성 신경 보호 단백질이라는 단백질을 생산해 체내에서 400개 이상의 다른 유전자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유전자와 그들이 생산하는 단백질은 뇌와 다른 장기의 적절한 발달과 성숙에 매우 중요하며, 신체의 거의 모든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ADNP 증후군은 유전되는 질환이 아닙니다. 생식세포(난자 또는 정자) 형성 과정, 혹은 초기 배아발달에서 발생하는 ADNP 유전자에서 새롭게 발생한 (de novo) 돌연변이에 기인합니다. 그리하여 이 질환은 가족력이 없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하게 됩니다. 

증상

ADNP 증후군에서 호발 하는 증상의 범위와 중증도는 환자들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많은 환자들은(78%) 유아기에 근육 긴장도 저하로 비정상적으로 늘어진 모습(floppy infant)을 보일 수 있습니다. 뇌 영상촬영에서는 환자들 중 절반 정도 (56%)에서 구조적 뇌 이상을 보입니다. ADNP 증후군 환자는 발작(16%)이 있었으며, 어린이의 약 50%는 언어 발달이 퇴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ADNP 증후군을 가진 많은 환자들은 두드러진 이마, 높은 헤어라인, 상향 또는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눈 바깥구석, 처진 눈꺼풀 피부, 넓은 콧대, 그리고 얇은 윗입술 등이 특징적입니다. 또한 비정상적으로 생긴 귀나 손과 손가락 이상도 있을 수 있습니다. 사시와 같은 눈과 시력 이상을 보이는 환자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들은 유치가 조기에 나기도 합니다.
  ADNP 증후군 증상 그림-옅은색 머리카락,머리 선이 위쪽부터 남, 뚜렷한 이마, 눈 양끝이 처짐, 눈 사이 거리가 먼 편, 귀가 낮게 위치, 코는 짧고 옆으로 퍼짐, 이빨 사이 간격이 멂
많은 수의 환자들이(83%) 근육 긴장도 저하, 구강 운동 장애로 인한 영양 공급의 어려움을 겪습니다. 젖을 빨거나 음식을 씹는 것, 삼키는 것이 원활하지 않고 흡인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환아들은 전반적인 발달 지연을 보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운동 발달 지연은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입니다. 혼자 걷는 것은 몇 년 이상 지연될 수 있고, 걷게 되는 경우 특이한 걸음걸이를 보이기도 합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경증에서 중증도의 지적 장애가 뚜렷해질 수 있고, 보통 언어 발달 지체가 가장 많습니다. 

많은 환아들은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의 기준을 충족하게 됩니다. 그러나 ADNP 증후군의 아이들은 쉽게 즐거워하고 행복한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어, 이는 초기 자폐증 같은 행동장애에 대한 진단을 늦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 감각적 자극을 추구하거나 회피하는 증상,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강박장애, 공격성, 정서장애, 불안 장애 등 다양한 행동문제와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장애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진단

ADNP 증후군은 발달지연이나 지적 장애, 자폐증 등의 특징적인 증상, 상세한 환자의 과거력 평가, 철저한 임상 평가에 기초하여 의심될 수 있습니다. 

ADNP 증후군의 확진은 ADNP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 분자 유전자 검사로 확인 됩니다. ADNP 유전자의 돌연변이 테스트는 전장 유전체 해독 (whole genome sequencing)에 포함됩니다.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영상기법은 진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환자의 뇌 MRI에서 비정형 백질 병변, 비정상적으로 넓은 뇌실, 뇌의 특정 부위 의 낭종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러한 발견만으로 ADNP 증후군을 진단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 외 심초음파, 안과적 검사 등이 임상적 상태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

특별히 표준화된 치료 프로토콜이나 지침은 없으며 치료는 여러 분야에 걸쳐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개별 환자들마다 증상이 다르므로 환자에게 맞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ADNP 증후군의 치료는 전문가 팀의 협력된 노력이 필요합니다. 소아과 (신경) 전문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재활의학과 및 안과 전문의, 그리고 다른 의료전문가들은 영향을 받는 아이의 치료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계획할 필요가 있습니다. 

ADNP 증후군을 가진 영향을 받는 어린이들이 최대한의 잠재력에 도달하도록 하는 데 초기 발달 개입이 중요합니다. 유아 자극, 특수 교육, 일대일 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아기의 근육긴장도 저하는 분유 섭취에도 곤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적절한 영양 섭취를 위해 경관 영양이 일시적으로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구토, 위식도역류 증상은 흔히 발견되며 자주 재발하는 경우, 정도에 대해 평가 및 치료가 시행되어야 합니다. 선천 심장 질환에 대해 약물적 치료 및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유전적 상담은 영향을 받은 개인의 가족에게 도움이 됩니다. 다른 ADNP 증후군에 대한 다른 치료법은 각각의 증상에 대해 대증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참고문헌

https://www.adnpkids.com/
https://ghr.nlm.nih.gov/condition/adnp-syndrome#statistics  
https://rarediseases.info.nih.gov/diseases/12931/adnp-syndrome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adnp-syndrome/ 
https://en.wikipedia.org/wiki/Helsmoortel-Van_der_Aa_syndrome 
https://www.orpha.net/consor/cgi-bin/OC_Exp.php?lng=EN&Expert=404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