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미-귀-신장 증후군
Branchiootorenal syndrome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168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EYA1, SIX1, SIX5 유전자 변이에 의한 선천적 결함
증상
아가미궁(branchial arch) 형성이상, 바깥귀 기형, 청력 손실, 신장 기형
관련 부위
체내 : 신장
체외 : 귀, 눈
진단과 치료
원인
특징적인 증상, 분자유전학적 검사
치료
귀 및 목 부위 기형에 대한 수술적 치료, 청력 손실 시 발생원인에 대한 치료, 신장 기형으로 인한 기능저하 시 보존적 치료 및 신대체요법
관련 질환
질환명
아가미-귀-신장 증후군(Branchio-oto-renal syndrome)
아가미-귀 증후군(Branchio-oto syndrome)
멜닉-프레이저 증후군(Melnick-Fraser syndrome)
기타
질병분류
(KCD 코드)
Q87.8
산정 특례
질병코드
V900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아가미-귀-신장 증후군은 유전자 이상에 의하여 아가미궁 형성이상, 바깥귀 기형, 청력 손실, 신장 기형이 발생하는 드문 질환입니다. 1975년 Melnick에 의해 보고되어 멜닉-프레이저 증후군이라고도 불립니다. 유병률은 출생아 40,000명 중 한 명 정도의 빈도로 발생합니다. 성별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같은 비율로 나타납니다. 난청 증상을 보이는 아동들 중 2-3%에서 아가미-귀-신장 증후군이 발견됩니다. 이 질환은 EYA1, SIX1, SIX5 유전자 변이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유전양식은 상염색체 우성유전을 합니다.
아가미-귀-신장 증후군의 표현형은 매우 다양하며 신장기능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에는 아가미-귀 증후군 이라고 명명합니다.
아가미-귀-신장 증후군의 표현형은 매우 다양하며 신장기능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에는 아가미-귀 증후군 이라고 명명합니다.
원인
EYA1, SIX1, SIX5 유전자의 변이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알려진 유전자의 변이가 증명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유전자의 결함은 부모에게로부터 물려받지만 때로 새로운 유전적 변이로 부모에게는 없는 유전자 결함이 관찰됩니다.
증상
목 부위의 발생 과정에 나타나는 기관인 아가미궁(branchial arch), 귀, 신장의 선천적 형성 이상이나 기형을 특징으로 합니다.
아가미궁의 기형이 생기면 덩어리로 발현하는 아가미 틈새낭(branchial cleft cyst) 과 구멍이 생기는 아가미 틈새누공(branchial cleft fistula)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귀의 이상은 바깥귀 기형이 가장 흔합니다. 귓바퀴 앞 부분이 음푹 파이게 되는 귓바퀴앞 오목(periauricular pit)이 가장 흔히 관찰되며 (비)인두의 누공과 낭도 빈번히 동반됩니다. 심한 경우 바깥귀의 폐쇄도 발생됩니다. 중간귀 및 속귀에서도 기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소골의 발달 장애, 달팽이관의 저형성 및 이형성, 평형기관의 무형성증 등 다양한 종류의 기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형성이상으로 인하여 청력 손실이 발생합니다. 청력 손실의 정도는 경도에서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전도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 모두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난청은 진행성 경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청력 손실의 증상은 대부분 초기 소아기부터 나타나지만 때로 성인기에 발견되기도 합니다. 청력 손실의 증상은 양쪽 귀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장기형은 형성저하, 이형성증, 무형성증과 같은 선천적 이상으로 발현합니다. 신우뇨관이행부협착, 방광요관역류, 수신증 등도 관찰됩니다. 동반된 신장의 기형이 심한 경우에는 일부에서 만성사구체질환 및 말기신부전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소안구증(microphthalmia), 누관 협착증, 구개열, 하악후퇴증(retrognathia), 안면신경마비(facial nerve paralysis), 앞니의 수직중복 (overbite), 갑상선비대(euthyroid goiter) 등 다양한 형태의 안면기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가미궁의 기형이 생기면 덩어리로 발현하는 아가미 틈새낭(branchial cleft cyst) 과 구멍이 생기는 아가미 틈새누공(branchial cleft fistula)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귀의 이상은 바깥귀 기형이 가장 흔합니다. 귓바퀴 앞 부분이 음푹 파이게 되는 귓바퀴앞 오목(periauricular pit)이 가장 흔히 관찰되며 (비)인두의 누공과 낭도 빈번히 동반됩니다. 심한 경우 바깥귀의 폐쇄도 발생됩니다. 중간귀 및 속귀에서도 기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소골의 발달 장애, 달팽이관의 저형성 및 이형성, 평형기관의 무형성증 등 다양한 종류의 기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형성이상으로 인하여 청력 손실이 발생합니다. 청력 손실의 정도는 경도에서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전도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 모두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난청은 진행성 경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청력 손실의 증상은 대부분 초기 소아기부터 나타나지만 때로 성인기에 발견되기도 합니다. 청력 손실의 증상은 양쪽 귀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장기형은 형성저하, 이형성증, 무형성증과 같은 선천적 이상으로 발현합니다. 신우뇨관이행부협착, 방광요관역류, 수신증 등도 관찰됩니다. 동반된 신장의 기형이 심한 경우에는 일부에서 만성사구체질환 및 말기신부전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소안구증(microphthalmia), 누관 협착증, 구개열, 하악후퇴증(retrognathia), 안면신경마비(facial nerve paralysis), 앞니의 수직중복 (overbite), 갑상선비대(euthyroid goiter) 등 다양한 형태의 안면기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형에 따라 알맞은 치료를 하게 됩니다.
바깥귀의 기형이 있는 경우 심미적인 목적이나 청력 보조를 위해 교정 수술을 해 줄 수 있으며, 아가미 틈새낭이나 아가미 틈새누공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감염 등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수술적인 제거를 해 주게 됩니다.
청력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경우 보청기 착용 및 인공 와우 이식 등을 통하여서 청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신장 기형으로 인하여 만성신장병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에 맞는 신장내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특히 심한 만성신장병으로 인하여 말기신질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투석치료 또는 신장이식이 필요합니다.
환자와 가족을 위해 유전 상담이 도움이 되며,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지지요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바깥귀의 기형이 있는 경우 심미적인 목적이나 청력 보조를 위해 교정 수술을 해 줄 수 있으며, 아가미 틈새낭이나 아가미 틈새누공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감염 등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수술적인 제거를 해 주게 됩니다.
청력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경우 보청기 착용 및 인공 와우 이식 등을 통하여서 청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신장 기형으로 인하여 만성신장병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에 맞는 신장내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특히 심한 만성신장병으로 인하여 말기신질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투석치료 또는 신장이식이 필요합니다.
환자와 가족을 위해 유전 상담이 도움이 되며,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지지요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Otolaryngology: Head&Neck Surgery,4th ed.
Chang EH, Menezes M, Meyer NC, et al. Branchio-oto-renal syndrome: the mutation spectrum in EYA1 and its phenotypic consequenes, Hum Mutat 2004;23(6):582-9
https://rarediseases.org/gard-rare-disease/10002/bor-duane-hydrocephalus-contiguous-gene-syndrome/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380/
Chang EH, Menezes M, Meyer NC, et al. Branchio-oto-renal syndrome: the mutation spectrum in EYA1 and its phenotypic consequenes, Hum Mutat 2004;23(6):582-9
https://rarediseases.org/gard-rare-disease/10002/bor-duane-hydrocephalus-contiguous-gene-syndrome/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380/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