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의 모세관성 혈관종증
Pulmonary capillary hemangiomatosis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38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EIF2AK4
증상
호흡곤란, 기침, 혈성 객담, 흉통, 피로, 폐동막 고혈압, 저산소증, 우심부전
관련 부위
체내 : 폐
체외 : 없음
진단과 치료
원인
폐 조직 검사, 심도자술, 컴퓨터 단층촬영, 유전자 검사
치료
폐 이식
관련 질환
질환명
Pulmonary veno-occlusive disease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Hemangiomatosis, familial pummonary capillary
기타
산정 특례
질병코드
V900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폐의 모세관성 혈관종증은 폐 모세혈관의 비정상적인 과다 증식과 혈관 내막 비후로 인한 혈관 저항 상승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질환은 폐포중격, 소혈관 및 기관지를 침범하여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시키는 매우 드문 질환입니다. 1978년 Wagenvoort 등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래 현재까지도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주로 젊은 성인 연령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폐 모세혈관 혈관종증은 영상의학적, 임상적 소견이 비특이적으로 진단이 어려워 폐 이식 후 조직검사 또는 사망 후 부검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세혈관의 증식으로 인해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호흡곤란, 기침, 흉통, 객혈 등이 발생합니다.
조직검사로 진단하며 폐포중격을 따라 확장하는 과다한 모세혈관의 증식이 보이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폐동맥 고혈압의 치료에는 효과가 불분명하며 아직까지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이 없어 예후가 매우 불량하며 폐 이식만이 근본적 치료입니다.
모세혈관의 증식으로 인해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호흡곤란, 기침, 흉통, 객혈 등이 발생합니다.
조직검사로 진단하며 폐포중격을 따라 확장하는 과다한 모세혈관의 증식이 보이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폐동맥 고혈압의 치료에는 효과가 불분명하며 아직까지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이 없어 예후가 매우 불량하며 폐 이식만이 근본적 치료입니다.
원인
폐 모세관성 혈관종증의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어지지 않았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골수 이식 혹은 조혈모세포이식, 항암화학요법 약제, 직업적 노출(trichloroethylene) 등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결체조직질환과의 연관성을 보이는 증례가 보고되었습니다.
가족력이 10-20%에서 보이고 있고 최근 EIF2AK4 gene (15q13.3)이 원인 유전자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결체조직질환과의 연관성을 보이는 증례가 보고되었습니다.
가족력이 10-20%에서 보이고 있고 최근 EIF2AK4 gene (15q13.3)이 원인 유전자로 밝혀졌습니다.
증상
몇몇 보고만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폐 모세관성 혈관종증 환자에서는 폐동맥 고혈압이 동반됩니다. 그래서 이러한 환자에서는 폐동맥 고혈압으로 인한 증상, 즉 호흡곤란, 기침, 흉통 등이 주증상이며 저산소증, 객혈, 우심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흉부 단층촬영 (chest computed tomography, CT)에서 미만성 소엽중심성 간유리 음영을 보이는데 이는 비특이적인 소견으로 다른 질환, 특히 폐 정맥폐쇄 질환과의 감별이 쉽지 않습니다.
심도자술을 이용하여 폐동맥압 상승 소견을 확인하거나 관류주사를 통한 혈류의 국소적 증가 소견을 보일 수 있으나 이 역시 특이적인 소견은 아닙니다.
확진을 위해서는 폐 조직검사가 필수적이며 폐포중격을 따라 확장하는 과다한 모세혈관의 증식이 보이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중증의 폐동맥 고혈압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폐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어 충분한 논의 후 시행해야합니다.
그 외에도 최근 밝혀진 EIF2AK4 유전자의 변이를 확인하여 확진 할 수 있습니다.
심도자술을 이용하여 폐동맥압 상승 소견을 확인하거나 관류주사를 통한 혈류의 국소적 증가 소견을 보일 수 있으나 이 역시 특이적인 소견은 아닙니다.
확진을 위해서는 폐 조직검사가 필수적이며 폐포중격을 따라 확장하는 과다한 모세혈관의 증식이 보이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중증의 폐동맥 고혈압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폐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어 충분한 논의 후 시행해야합니다.
그 외에도 최근 밝혀진 EIF2AK4 유전자의 변이를 확인하여 확진 할 수 있습니다.
치료
일반적인 폐동맥 고혈압의 치료로 저산소증에 대한 산소 용법이나 ACE 저해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이뇨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와파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불분명합니다.
기관지내에 위치한 모세혈관종의 경우 기관지경을 통한 종괴의 절제 혹은 대엽 절제 등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그 외 최근 imatinib이나 interferon α-2b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 역시 증례가 많지 않아 효과가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렇듯 아직까지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이 없어 예후가 매우 불량하며 폐 이식만이 근본적 치료입니다.
증상이 시작 된 후 치료하지 않으면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약 3년으로 그 예후가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폐 이식을 고려해야합니다.
기관지내에 위치한 모세혈관종의 경우 기관지경을 통한 종괴의 절제 혹은 대엽 절제 등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그 외 최근 imatinib이나 interferon α-2b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 역시 증례가 많지 않아 효과가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렇듯 아직까지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이 없어 예후가 매우 불량하며 폐 이식만이 근본적 치료입니다.
증상이 시작 된 후 치료하지 않으면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약 3년으로 그 예후가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폐 이식을 고려해야합니다.
참고문헌
Kothari SS, Jagia P, Gupta A. Pulmonary capillary hemangiomatosis. Circulation, 120(4), 352-354.
O'Keefe Mary C, Miriam D. O'Keefe, M. C., & Post, M. D. (2015). Pulmonary capillary hemangiomatosis: a rare cause of pulmonary hypertension. Arch Pathol Lab Med. 2015;139:274–277
Wagenvoort CA, Beetstra A, Spijker J. Capillary haemangiomatosis of the lungs. Histopathology. 1978 Nov;2(6):401-6.
Best DH, Sumner KL, Austin ED, et al. EIF2AK4 mutations in pulmonary capillary hemangiomatosis. Chest. 2014;145(2):231–6.
https://www.orpha.net/consor/cgi-bin/Disease_Search.php?lng=EN&data_id=18379&Disease_Disease_Search_diseaseGroup=Pulmonary-capillary-hemangiomatosis&Disease_Disease_Search_diseaseType=Pat&Disease(s)/group%20of%20diseases=Pulmonary-capillary-hemangiomatosis&title=Pulmonary%20capillary%20hemangiomatosis&search=Disease_Search_Simple
https://en.wikipedia.org/wiki/Pulmonary_capillary_hemangiomatosis
https://omim.org/entry/234810
O'Keefe Mary C, Miriam D. O'Keefe, M. C., & Post, M. D. (2015). Pulmonary capillary hemangiomatosis: a rare cause of pulmonary hypertension. Arch Pathol Lab Med. 2015;139:274–277
Wagenvoort CA, Beetstra A, Spijker J. Capillary haemangiomatosis of the lungs. Histopathology. 1978 Nov;2(6):401-6.
Best DH, Sumner KL, Austin ED, et al. EIF2AK4 mutations in pulmonary capillary hemangiomatosis. Chest. 2014;145(2):231–6.
https://www.orpha.net/consor/cgi-bin/Disease_Search.php?lng=EN&data_id=18379&Disease_Disease_Search_diseaseGroup=Pulmonary-capillary-hemangiomatosis&Disease_Disease_Search_diseaseType=Pat&Disease(s)/group%20of%20diseases=Pulmonary-capillary-hemangiomatosis&title=Pulmonary%20capillary%20hemangiomatosis&search=Disease_Search_Simple
https://en.wikipedia.org/wiki/Pulmonary_capillary_hemangiomatosis
https://omim.org/entry/234810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