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 염색체 장완의 31-33 부분의 미세결손
2q31-q33 microdeletion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97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2번 염색체 장완의 31-33부위의 유전물질 결손
증상
정신지체, 언어장애, 행동장애, 경련, 특징적 외모, 골격계 기형
관련 부위
체내 : 뇌, 신경
체외 : 골격, 귀, 눈, 두개골, 코
진단과 치료
원인
임상적 소견, 유전자 검사
치료
보존적 지지 치료
관련 질환
질환명
SATB2 관련 증후군(SATB2-associated syndrome)
2번 염색체 장완 31.2 부분의 결손 증후군(2q31.2 deletion syndrome)
2번 염색체 장완 32 부분의 결손 증후군(2q32 deletion syndrome)
2번 염색체 장완 33.2 부분의 미세결손 증후군(2q33.1 microdeletion syndrome)
2번 염색체 장완 32-33 부분의 결손 증후군(2q32-q33 deletion syndrome)
기타
산정 특례
질병코드
V901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2번 염색체 장완 31-33 부분의 미세결손 증후군(2q31-q33 microdeletion)은 2번 염색체의 소량의 유전물질이 비정상적으로 결손된 것으로, 결손된 위치가 2번 염색체의 장완(2q31-2q33)에서 발생한 질환입니다.
보고된 증례에 따르면, 60-70% 이상에서 1 Mb이상의 유전물질의 결손을 보였습니다.
진단된 환자의 약 40-50%에서 부모는 정상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면서, 환자에게서 처음 발생된(de novo) 유전자 결손이며, 나머지 40%이상은 기원을 알기 어려운 유전 형태를 보고했습니다.
보고 증례에 따르면, 정신지체, 발달지연, 언어지연, 작은머리 등이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임상 양상이며, 경련, 저신장, 특징적 외모, 구개열, 소하악증, 사시, 손발가락 기형 등도 흔하게 관찰되었습니다.
심장기형과 내장기관, 비뇨생식기계, 피부 기형의 동반 유무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발생빈도는 매우 드문 것 외에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보고된 증례에 따르면, 60-70% 이상에서 1 Mb이상의 유전물질의 결손을 보였습니다.
진단된 환자의 약 40-50%에서 부모는 정상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면서, 환자에게서 처음 발생된(de novo) 유전자 결손이며, 나머지 40%이상은 기원을 알기 어려운 유전 형태를 보고했습니다.
보고 증례에 따르면, 정신지체, 발달지연, 언어지연, 작은머리 등이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임상 양상이며, 경련, 저신장, 특징적 외모, 구개열, 소하악증, 사시, 손발가락 기형 등도 흔하게 관찰되었습니다.
심장기형과 내장기관, 비뇨생식기계, 피부 기형의 동반 유무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발생빈도는 매우 드문 것 외에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원인
염색체 2q31q33부위는 얼굴 형태 이상, 발달지연, 성장부전, 정신지체, 행동장애 등과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6개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2q31.2의 유전적 결손은 중등도 정신지체와 관련되는 것으로 연구되었습니다. 또한 염색체 2q31q33부위의 zinc finger (ZNF)유전자는 인지 과정에 관여하는 것을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염색체 2q31q33부위의 유전자의 결손은 비슷한 임상 양상을 갖는 질환군으로 나타납니다.
16개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2q31.2의 유전적 결손은 중등도 정신지체와 관련되는 것으로 연구되었습니다. 또한 염색체 2q31q33부위의 zinc finger (ZNF)유전자는 인지 과정에 관여하는 것을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염색체 2q31q33부위의 유전자의 결손은 비슷한 임상 양상을 갖는 질환군으로 나타납니다.
증상
중등도 또는 중증 정신지체, 언어발달지연, 수면장애와 불안증, 식욕부전증(anorexia), 머리 상동증(head stereotypies), 과잉행동, 공격성의 행동장애, 경련 등을 보입니다.
작은 머리(일부 큰 머리를 갖는 예도 보고됨), 배모양머리(scaphocephaly), 넓은 이마(high forehead), 두껍고 거친 머리카락(thick and coarse hair), 두꺼운 눈썹(thick eyebrows), 일자눈썹(synophrys), 눈 사이가 멀고(increased inner and outer canthal distance), 안구돌출(proptosis), 길고 얇은 콧잔등, 끝이 갈라진 코(bifid nasal tip), 들창코, 높은 구개열(high palate), 갈라진 목젖, 작은 치아, 들어간 광대뼈, 소하악증(micrognathia), 기형적 귀 모양, 사시, 짧은 목, 새가슴, 길고 끝이 가늘어지는 손가락, 척추측만증, 5번째 손가락의 굽음증, 2-4번째 발가락 부분 유합증, 벌어진 엄지발가락(sandal gap of the toes), 저형성 중족골, 저신장 등의 얼굴과 신체적 특징을 보입니다.
출생 시 저긴장증과 신생아가사를 겪기도 합니다.
◈ 중증소견
심한 정신지체를 보입니다.
작은 머리(일부 큰 머리를 갖는 예도 보고됨), 배모양머리(scaphocephaly), 넓은 이마(high forehead), 두껍고 거친 머리카락(thick and coarse hair), 두꺼운 눈썹(thick eyebrows), 일자눈썹(synophrys), 눈 사이가 멀고(increased inner and outer canthal distance), 안구돌출(proptosis), 길고 얇은 콧잔등, 끝이 갈라진 코(bifid nasal tip), 들창코, 높은 구개열(high palate), 갈라진 목젖, 작은 치아, 들어간 광대뼈, 소하악증(micrognathia), 기형적 귀 모양, 사시, 짧은 목, 새가슴, 길고 끝이 가늘어지는 손가락, 척추측만증, 5번째 손가락의 굽음증, 2-4번째 발가락 부분 유합증, 벌어진 엄지발가락(sandal gap of the toes), 저형성 중족골, 저신장 등의 얼굴과 신체적 특징을 보입니다.
출생 시 저긴장증과 신생아가사를 겪기도 합니다.
◈ 중증소견
심한 정신지체를 보입니다.
진단
정신지체, 언어장애, 행동장애, 경련 및 작은 머리, 특징적 얼굴, 손발가락 이상 등을 보이지만, 심혈관 및 비뇨기계 기형이 없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세포유전검사나 마이크로어레이검사로 2번 염색체 장완 31-33 부분의 미세결손 확인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어레이 검사
여러 개의 열에 각각 특정 sequence를 인식하는 탐식자(probe)를 심어, 해당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검사 방법을 말합니다. 다운 증후군이나 에드워드 증후군처럼 염색체 검사를 통한 수적 이상이 확실하게 확인되는 경우 이외에도, 염색체 이상이 의심되는 기형을 갖고 태어나는 신생아들에서 많은 경우, 염색체 미세 결실 또는 중복(micro-deletion and duplication)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것을 검출하는데 이용됩니다.
세포유전검사나 마이크로어레이검사로 2번 염색체 장완 31-33 부분의 미세결손 확인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어레이 검사
여러 개의 열에 각각 특정 sequence를 인식하는 탐식자(probe)를 심어, 해당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검사 방법을 말합니다. 다운 증후군이나 에드워드 증후군처럼 염색체 검사를 통한 수적 이상이 확실하게 확인되는 경우 이외에도, 염색체 이상이 의심되는 기형을 갖고 태어나는 신생아들에서 많은 경우, 염색체 미세 결실 또는 중복(micro-deletion and duplication)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것을 검출하는데 이용됩니다.
치료
특별한 치료 방법은 없습니다. 정신지체, 발달지연, 언어지연, 행동장애가 연관한 정기적 발달평가 및 인지, 언어, 작업, 물리 치료 및 정신과적 약물 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환자마다 증상이 다양하므로 보존적 지지치료를 해야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1. https://omim.org/entry/612345?search=2q31&highlight=2q31
2. https://www.deciphergenomics.org
3.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satb2-associated-syndrome/
4. Mencarelli, MA, et al. Clin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patient with a 2q31.2-32.3 deletion identified by array-CGH. Am. J. Med. Genet 2007;143A:858-65
5. Monfort, S., et al. Detection of known and novel genomic rearrangements by array based comparative genomic hybridisation: deletion of ZNF533 and duplication of CHARGE syndrome genes. J. Med. Genet 2008;45:432-7
6. Prontera, P, et al. 2q31.2q32.3 deletion syndrome: report of an adult patient. Am. J. Med. Genet 2009;149A:706-12
7. Cocchella A, et al. The refinement of the critical region for the 2q31.2q32.3 deletion syndrome indicates candidate genes for mental retardation and speech impairment.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10;153B(7):1342-6.
2. https://www.deciphergenomics.org
3.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satb2-associated-syndrome/
4. Mencarelli, MA, et al. Clin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patient with a 2q31.2-32.3 deletion identified by array-CGH. Am. J. Med. Genet 2007;143A:858-65
5. Monfort, S., et al. Detection of known and novel genomic rearrangements by array based comparative genomic hybridisation: deletion of ZNF533 and duplication of CHARGE syndrome genes. J. Med. Genet 2008;45:432-7
6. Prontera, P, et al. 2q31.2q32.3 deletion syndrome: report of an adult patient. Am. J. Med. Genet 2009;149A:706-12
7. Cocchella A, et al. The refinement of the critical region for the 2q31.2q32.3 deletion syndrome indicates candidate genes for mental retardation and speech impairment.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10;153B(7):1342-6.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