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출혈
Adrenal haemorrhage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130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출생 시 난산, 외상, 항응고제 사용, 수술 합병 증, 패혈증, 화상
증상
복부 동통, 무증상 혹은 구토, 발열, 복통, 설사, 식욕 저하, 오심, 저혈당증, 저혈압, 주근깨, 주름이 생기며 점막이 약해짐, 탈수, 피로, 피부와 점막의 색소침착 등 부신 기능 저하와 관련된 증상, 신생아기에는 복부 종괴, 빈혈, 황달, 음낭 혈종 등과 동반 되어 나타날 수 있음
관련 부위
체내 : 부신
체외 : 없음
진단과 치료
원인
초음파, 혈액검사(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 농도,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자극 검사), 소변검사, CT
치료
부신 위기가 있을 시 호르몬 대치 요법, 히드로코르티손을 정맥 주사
관련 질환
질환명
워터하우스프리데리크센 증후군(Waterhouse-Friderichsen syndrome)
애디슨 병(Addison’s Disease)
급성 부신 피질(겉질) 기능 저하증(Acute Adrenocortical Insufficiency)
기타
질병분류
(KCD 코드)
E27.4
산정 특례
질병코드
V116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부신 출혈은 콩팥 위에 존재하는 삼각뿔 모양의 부신에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출혈이 생긴 질환입니다. 부신피질에서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코티솔과 알도스테론이 생산 되며, 이는 지방질, 당질, 단백질의 대사 및 전해질의 평형, 수분 조절에 관여합니다.
신생아기의 부신 출혈의 빈도는 부검상 1000명당 1.7명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 시기의 부신 출혈은 보통 분만 손상과 관련하여 나타나게 됩니다. 소아기의 수막구균 감염, 외상, 항응고제 사용 등과 연관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이 없거나 미비하여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으나 출혈이 심하게 생겼을 때는 복부종괴, 황달, 빈혈 및 주위 장기를 압박하는 등의 증세를 보일 수 있으며 아주 드물지만 부신 부전으로 인하여 저혈압, 쇼크 상태까지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생아기의 부신 출혈의 빈도는 부검상 1000명당 1.7명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 시기의 부신 출혈은 보통 분만 손상과 관련하여 나타나게 됩니다. 소아기의 수막구균 감염, 외상, 항응고제 사용 등과 연관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이 없거나 미비하여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으나 출혈이 심하게 생겼을 때는 복부종괴, 황달, 빈혈 및 주위 장기를 압박하는 등의 증세를 보일 수 있으며 아주 드물지만 부신 부전으로 인하여 저혈압, 쇼크 상태까지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
신생아 시기의 부신 출혈의 원인으로는 주산기 손상, 둔위 분만, 난산으로 인한 외상, 주산기 가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외상, 항응고제 복용 등 출혈성 경향이 있는 환자에게서 외상 및 자발성으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증상
신생아기의 부신 출혈은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아주 미비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부신 출혈이 일측성으로 아주 심하거나 양측성으로 광범위하게 생겼을 때는 복부 종괴, 황달, 빈혈 및 종괴 효과, 농양 형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심한 출혈과 관련 된 부신 기능 부전 발생 시 저혈당, 저혈압을 동반 하거나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과 함께 쇼크 상태에 이를 수 있습니다.
다른 원인에 의한 부신 출혈도 그 정도나 기저 질환, 부신 기능 부전 발생 여부에 따라 무증상 혹은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중증소견
심한 혈압 저하로 인한 쇼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출혈과 관련 된 부신 기능 부전 발생 시 저혈당, 저혈압을 동반 하거나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과 함께 쇼크 상태에 이를 수 있습니다.
다른 원인에 의한 부신 출혈도 그 정도나 기저 질환, 부신 기능 부전 발생 여부에 따라 무증상 혹은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중증소견
심한 혈압 저하로 인한 쇼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초음파, 혈액검사(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 농도,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자극 검사), 소변검사, CT 등을 시행하여 진달할 수 있습니다.
치료
증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치료 없이 경과 관찰 가능하며, 부신 기능 부전으로 인한 증상 발생 시에 수액요법, 정맥내 부신피질호르몬 투여 등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1. Perrin C. White.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Chapter 593, 2959-2970
2. Brian K. Nelson. Emergency Medicine, 168, 1424-1428
3. 오형식. 부신 출혈에 의한 Adrenal Insufficiency에서 부신 피질 호르몬 투여 후 호전을 보였던 1례. 대한신생아학회지 :제 7권 제 2호 2000년
2. Brian K. Nelson. Emergency Medicine, 168, 1424-1428
3. 오형식. 부신 출혈에 의한 Adrenal Insufficiency에서 부신 피질 호르몬 투여 후 호전을 보였던 1례. 대한신생아학회지 :제 7권 제 2호 2000년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