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아르기닌숙신산뇨 (Argininosuccinic aciduria)는 간 안에서 요소 회로에 작용하는 5가지 효소 중 하나인 argininosuccinate lyase (ASL)의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유전성 질환으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됩니다. 신생아 7만명당 1명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미노산이 분해되면 뇌에 독성을 일으키는 암모니아가 생성되게 됩니다. 암모니아는 간에서 요소 회로(urea cycle)를 통해 요소(urea)로 분해되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요소 회로를 구성하는 여러 효소(enzyme)와 각각의 효소 결핍증은 현재 모두 알려져 있습니다. 요소 회로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효소는 carbamyl phosphate synthetase (CPS), ornithine transcarbamylase (OTC), argininosuccinate synthetase (ASS), argininosuccinate lyase (ASL)와 arginase이며 앞에서 생성된 물질에 의해 다음 효소가 작용을 하게 됩니다. 이런 연결 고리를 통해 신생아에서 필수 아미노산과 뇌의 정상 발육에 중요한 L-arginine이 생성됩니다. 요소 회로 중 하나의 효소에 결핍이 생기면 요소 회로 이상증(urea cycle defect, UCD)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고암모니아혈증과 중추 신경계 독성 증상으로 나타나는 대사 질환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원인

Argininosuccinic acid lyase (ASL)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원인이며 이 유전자는 염색체7번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됩니다. Argininosuccinate lyase (ASL)는 간내 요소 회로에 작용하는 5가지 효소에 속합니다.

아르기닌숙신산뇨의 원인

증상

임상양상은 증상 발생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생후 수개월 내에 나타나는 초기 발병형과 1세 후에 나타나는 후기 발병형으로 나누어집니다.

초기 발병형의 경우 심한 고암모니아혈증이 특징적으로, 출생 후 초기에는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L-arginine이 부족하기 때문에 뇌의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암모니아가 증가하여 뇌 독성과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심한 경우 혼수 상태를 일으키고 저체온, 저환기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증가된 암모니아가 호흡 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성 알카리혈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후기 발병형의 증상으로는 지적장애와 발육부전, 간비대 등이 대표적입니다. 건조하고 잘 부서지는 모발이 특징적이며 몇몇 환아에서는 쓸개내에 돌이 관찰됩니다.

이 질환의 대표적인 후유증으로는 지적장애, 지속적인 간비대, 그에 따른 출혈성 경향을 들 수 있겠습니다.

그 외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고암모니아혈증/알카리혈증
  • 구토/섭식 문제
  • 발작
  • 모간 이상
  • 부서지는 모발
  • 지속적인 기면
  • 간비대/간섬유화증

아르기닌숙신산뇨의 증상

진단

고암모니아혈증, 간효소 수치의 상승, 혈장에서 글루타민과 알라닌, 시트룰린의 증가와 아르기닌의 감소를 보이게 됩니다. 아르기닌숙신산은 증가되어 있으며 혈액보다도 소변과 뇌척수액에서 크게 증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개 혈액내 적혈구에서 argininosuccinic acid lyase 효소는 정상입니다. 산전검사는 양수세포를 배양하여 효소 활성화의 측정이 가능합니다. 유전학적 검사로 ASL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정할 수 있습니다.

치료

심각한 고암모니아혈증은 빠른 처치가 필요하며 치료의 목적은 고암모니아 혼수로부터 빨리 회복시키고 지속적인 고암모니아혈증으로 인한 지능과 신체 발육 저하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암모니아의 증가를 피하기 위해 저단백식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신체의 발육을 위해서는 L-arginine을 포함한 필수아미노산이 공급해주어야 합니다. 아울러 상승된 암모니아의 제거를 위해 안식향산 나트륨(sodium benzoate), sodium phenylacetates, sodium phenylbutylate 등의 약물을 투여하며, 신속한 암모니아의 제거를 위해 혈액이나 복막투석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적절한 식이 요법과 내과적인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고암모니아혈증은 신경학적 손상과 심한 정신 지체를 일으키므로 간이식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참고문헌

1. Kliegman: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
2. So Young Ban,Bon Nyeo Koo,Jong Ho Lee, Soon Ho Nam, Anesthesia for Living 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in Argininosuccinic Acidemia: A case report .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5 Oct;49(4):563-566.
http://ghr.nlm.nih.gov/condition/argininosuccinic-aciduria
http://www.wrongdiagnosis.com/a/argininosuccinic_aciduria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대한의학회 ※최종 업데이트일 : 2012.12.07 -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 대한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