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B1 관련 장애
GNB1-related disorder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282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GNB1 유전자의 돌연변이
증상
발달지연, 지적장애, 영아형 근 긴장 저하, 경련, 근 긴장도의 이상, 시력 저하, 행동 장애, 발달 지연, 위장관 이상, 비뇨기계 이상, 피부의 비만세포증 등
관련 부위
체내 : 뇌, 생식기, 소장, 위
체외 : 근육, 눈, 피부
진단과 치료
원인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통한 GNB1 유전자의 돌연변이 확인
치료
대증적, 지지적 요법, 발달지연에 대한 특수 교육, 운동 및 언어 치료, 재활 치료, 항경련제 투약, 수술적 치료, 동반된 장기 기형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
관련 질환
질환명
정신 지체, 상염색체 우성형 42(Mental retardation, Autosomal Dominant 42 disease; MRD42)
기타
산정 특례
질병코드
V900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GNB1 관련 장애(GNB1 related disorder)는 발달지연 및 지적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질환으로 뇌의 구조적 이상을 동반합니다. 영아형 근 긴장 저하, 경련, 근 긴장도의 이상, 시력 저하, 행동 장애, 발달 지연, 위장관 이상, 남자에서 비뇨기계 이상 그리고 피부의 비만세포증(cutaneous mastocytosis)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특징적인 안면 기형은 없습니다.
GNB1 유전자의 이형 접합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병하며, 상염색체 우성 방식을 가집니다. 환자의 대부분은 신생 돌연변이(de novo pathogenic variant)입니다.
이 질환의 정확한 유병률과 발병률은 보고되어 있지 않습니다.
GNB1 유전자의 이형 접합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병하며, 상염색체 우성 방식을 가집니다. 환자의 대부분은 신생 돌연변이(de novo pathogenic variant)입니다.
이 질환의 정확한 유병률과 발병률은 보고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인
GNB1 유전자의 이형 접합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병하며, 상염색체 우성 방식을 가집니다. 환자의 대부분은 신생 돌연변이(de novo pathogenic variant)입니다.
증상
중증 발달 지연과 지적 장애를 가집니다. 이와 더불어 아래 증상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영아기 또는 유아기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영아기 때 근긴장도 저하를 보이며 나이가 듦에 따라 근육긴장 항진과 경직으로 변하는 소견을 보입니다. 섭식장애가 있으며 영아기 체중증가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근 긴장 이상이나 틱, 운동실조, 무도병 등의 행동이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뇌전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동행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등의 행동장애를 보일 수 있습니다. 대두증이거나 성장지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력장애나 안구 운동 이상 소견을 보일 수 있습니다. 만성 설사, 주기성 구토증, 위식도 역류성 질환 등의 위장관계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개열이나 두개골 유합의 안면기형이 동반 될 수 있습니다.
뇌의 구조적 이상으로는 뇌량 이상, 소뇌 위축, 뇌실 확장증, 양측성 다발 미세 이랑증(polymicrogyria)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 중증소견
영아기에 섭식장애와 위장관계 이상이 동반되면 심각한 성장장애가 야기될 수 있습니다.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며, 제시된 중증의 기준은 없습니다.
영아기 때 근긴장도 저하를 보이며 나이가 듦에 따라 근육긴장 항진과 경직으로 변하는 소견을 보입니다. 섭식장애가 있으며 영아기 체중증가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근 긴장 이상이나 틱, 운동실조, 무도병 등의 행동이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뇌전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동행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등의 행동장애를 보일 수 있습니다. 대두증이거나 성장지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력장애나 안구 운동 이상 소견을 보일 수 있습니다. 만성 설사, 주기성 구토증, 위식도 역류성 질환 등의 위장관계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개열이나 두개골 유합의 안면기형이 동반 될 수 있습니다.
뇌의 구조적 이상으로는 뇌량 이상, 소뇌 위축, 뇌실 확장증, 양측성 다발 미세 이랑증(polymicrogyria)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 중증소견
영아기에 섭식장애와 위장관계 이상이 동반되면 심각한 성장장애가 야기될 수 있습니다.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며, 제시된 중증의 기준은 없습니다.
진단
이 질환과 관련된 증상을 가진 환자에서 GNB1 유전자의 이형 접합 돌연변이를 확인하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치료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증상에 대한 대증적 및 지지적 요법이 주된 치료 방법입니다. 발달지연에 대한 특수 교육, 운동 및 언어 치료, 재활 치료 등을 필요로 합니다. 뇌전증이 있을 경우 항경련제 투약이나 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 조절이 필요합니다. 동반된 장기 기형 또는 이상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가 요구됩니다.
증상에 대한 대증적 및 지지적 요법이 주된 치료 방법입니다. 발달지연에 대한 특수 교육, 운동 및 언어 치료, 재활 치료 등을 필요로 합니다. 뇌전증이 있을 경우 항경련제 투약이나 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 조절이 필요합니다. 동반된 장기 기형 또는 이상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가 요구됩니다.
참고문헌
1. Revah-Politi A, Sands TT, Colombo S, et al. GNB1 Encephalopathy. 2020 Mar 5 [Updated 2021 Apr 15]. In: Adam MP, Ardinger HH, Pagon RA, et al., editors. GeneReviews® [Internet].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1993-2021.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4743/
2. Petrovski S, Kury S, Myers C, Anyane-Yeboa K, Cogne B, Bialer M, et al., Germline De Novo Mutations inGNB1 Cause Serve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Hypotonia, and Seizures. Am J Hum Genetics. 2016;98:1-10.
3. Katja L, Ikuo M, Dipak P, et al. Novel GNB1 mutations disrupt assembly and function of G protein heterotrimers and cause global developmental delay in humans, Human Molecular Genetics, 2017, 1078–1086.
2. Petrovski S, Kury S, Myers C, Anyane-Yeboa K, Cogne B, Bialer M, et al., Germline De Novo Mutations inGNB1 Cause Serve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Hypotonia, and Seizures. Am J Hum Genetics. 2016;98:1-10.
3. Katja L, Ikuo M, Dipak P, et al. Novel GNB1 mutations disrupt assembly and function of G protein heterotrimers and cause global developmental delay in humans, Human Molecular Genetics, 2017, 1078–1086.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