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각막염-어린선-난청 증후군(KID 증후군)은 각막염(keratitis), 어린선(ichthyosis), 난청(deafness)의 3대 주요임상증상의 첫글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으로 1915년에 처음 기술되었고, 1981년 Skinner 등에 의해 명명되었다.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100명 이하의 환자만이 보고되어 있다. 이는 선천성 외배엽 이상형성 질환으로, 다양한 상피조직들의 세포 간 신호전달 조절의 주 틈새 이음 단백질인 connexin 26을 발현하는 GJB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보고되었다. Connexin 26은 다양한 외배엽 조직들에 존재하기 때문에 다기관성 질환이다. 각막표면손상(각막염), 피부의 홍반성의 거칠고 두꺼운 판(어린선), 감각신경성난청의 주요 3징후 외에 반흔성 탈모, 손톱과 발톱 이상형성, 치아이상, 감염 위험성 증가와 같이 전신에 걸쳐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증후군은 건조한 인설성 피부인 어린선 질환 그룹에 포함되며, 안과적으로는 눈꺼풀의 과각화, 속눈썹 소실, 각막미란과 궤양, 각막 신생혈관생성 및 혼탁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원인

각막염-어린선-난청 증후군은 산발적으로 발생된 돌연변이에 의해 발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될 수 있다. 따라서 자손에게 유전될 확률은 50%이다. 원인 유전자는 13번 염색체 장완에 위치한(13q11-q12) connexin 26 (CX26)을 발현하는 GJB2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생성된 이상 CX26 단백질은 세포간 소통에 필요한 기능을 상실하여 외배엽 조직의 항상성 유지 및 정상적인 분화에 장애를 초래한다. 또한 세포간 소통의 이상으로 외배엽 조직의 면역기능이 상실되고 종양이 형성되기도 한다. 드물게는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경우도 있으며 간 질환, 성장 저하, 지적장애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증상

각막염-어린선-난청 증후군은 출생시에 발병하고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다소 흔히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개 피부 증상을 동반한다. 피부 변화는 대개 생후 3개월 이내에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전형적인 어린선보다는 홍반각피증(erythrokeratoderma)의 형태로 나타난다. 홍반성, 비인설성, 사마귀양 판이 특징적으로 이마, 뺨, 입주변, 팔꿈치, 무릎, 두피에 나타난다. 모공성각화의 가시모양 돌출은 사지에서 흔히 관찰되며 다른 양상으로 수장족저과각화증, 조갑이영양증, 부분 또는 전체 탈모, 작은 치아 등이 있다.

이 질환은 눈과 귀의 문제에 대한 조기 진찰이 필요하다. 안과적 이상은 대부분 아동기와 청소년기동안 점진적으로 시작하고 드물게 성인에서 시작하기도 하는데 결막염(conjunctivitis)부터 눈부심(photophobia), 각막찰상(corneal abrasion)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주요 안과적 변화인 각막염(progressive vasculizing keratitis)은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나타나며 발병이 늦고 대개 눈부심이 선행하며 점진적으로 시력이 저하되며 실명에 이르기도 한다.

생후 첫 해부터 7세 사이에 선천성이고 점진적이지 않은 난청이 나타난다. 대부분 심각한 감각신경성 난청은 첫 7년 사이에 발생한다. 탈모도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또한 피부에 세균, 바이러스, 진균 감염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은 국소적이고 지속적이며 재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피부장벽의 기능장애와 상피 이상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특이한 면역학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는다. 편평세포암으로 사망한 환자가 보고되어 있으며, 몇몇의 보고들로 미루어서 만성 감염 단독이거나 면역학적 취약성과 동반하여 이 증후군에서 편평상피암의 감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부분의 환자의 지능은 정상이지만 3명의 환아에게서 소뇌 형성부전(cerebellar hypoplasia)의 보고가 있다.

각막염-어린선-난청 증후군 환자의 여러 임상양상 사진

Figure 1. 환자의 임상양상 (a) 뺨, 귓바퀴 그리고 입주위에 나타난 홍반(Erythematous), 각화성(keratotic), 비늘모양의 플러크(scaly plaques) (b) 나뭇결 같은(Grainy), 바늘 같은(spiculated), 과각화성 유두종증 (hyperkeratotic papillomatosis)이 나타난 손바닥. (c) 광범위한 각질피부증(keratoderma)의 발. (d) 오른쪽 눈: 눈썹과 속눈썹의 손실: 눈꺼풀의 과각화성 병변, 각막 혼탁(corneal opacification). (e) 왼쪽 눈: 각막표면의 결막염. (f) 오른쪽 아래 넓적다리 부분의 피부 생검 표본: 바구니 물결무늬의 과각화증과 표피의 유두종증 (hematoxylin and eosin stain, ×100)

드문드문 난 모발, 눈썹과 속눈썹의 탈모. 안면홍반 과 유두종성 과각화증 (at birth)

Figure 2. 드문드문 난 모발, 눈썹과 속눈썹의 탈모. 안면홍반 과 유두종성 과각화증 (at birth).

발의 손톱 영양장애, 홍반(erythema), 각화(scaling)

Figure 3. 발의 손톱 영양장애, 홍반(erythema), 각화(scaling)

귓불에 다발성 비립종

Figure 4. 귓불에 다발성 비립종.

재발된 결막염 흔적, 입 모서리와 눈썹에 걸쳐서 나타난 두꺼운 과각화증

Figure 5. 재발된 결막염 흔적, 입 모서리와 눈썹에 걸쳐서 나타난 두꺼운 과각화증 (사진출처 : Fig 1 from Int J Dermatol 2007;46:400-402, Fig 2,3,4,5 from Pediatr Dermatol 2006;23:81-3)

진단

KID 증후군은 임상양상을 바탕으로 진단하며, 1996년 Caceres 등이 만든 진단기준에 의하면 전형적인 피부소견이 있으면서, 감각신경성 난청, 혈관성 각막염, 손발바닥의 과각화증, 탈모증 등의 주증상이 있으며 그 외의 부증상으로 감염에 민감하고, 치아의 이상, 발한감퇴, 성장 지연 등이 있으면 KID 증후군을 진단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피부조직검사, 안과적 검사 및 청각유발전위 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주며,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GJB2 유전자의 돌연변이검사가 가능하다.

치료

KID 증후군은 여러 기관을 침범하여 시력이상, 청력이상, 언어장애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그 치료에는 수개의 전문분야의 협진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치료는 아직 없고, 각각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대증요법을 할 수 있다. 흔하지는 않지만 편평세포암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기에 정기적인 피부과적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레티노이드제가 심하게 이환된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어린선양 질환과 다르게 레티노이드제가 크게 도움이 되지 않고 각막혈관신생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항진균제의 경구투여가 피부진균감염과 각막염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피부암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있다. 난청에 대해서는 조기에 청력검사를 실시하여 보청기를 착용하고, 언어치료를 할 수 있으며, 대개 인공와우 이식이 필요하다. 안구증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하며, 인공누액, 스테로이드 및 싸이클로스포린 A를 함유한 항염증 안약을 점안하거나, 수술적 치료로 각막 이식도 고려해볼 수 있다. 피부 증상에 대해서도 과증식 조직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t.p 498-9.
2. Lenane P, Cammisuli S, Chitayat D, Krafchik B. What Syndrome Is This? Pediatr Dermatol 2006;23:81-3.
3. Watanabe D, Zako M, Tamada Y, Matsumoto Y. A case of keratitis-ichthyosis-deafness (KID) syndrome. Inter J Dermatol 2007;46: 400-2.
4. Conrado LA, Marques SA, Lastoria JC, Cuce LC, Marques ME, Dillon NL. Keratitis-ichthyosis-deafness (KID) syndrome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Int J Dermatol. 2007;46:403-6.
5. A case of keratitis, ichthyosis and deafness (KID) syndrome. J Korean Pediatr Soc. 2003;46;1135-8.
6. Ocular manifestations and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keratits-ichthyosis-deafness KID) syndrome.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532-8.
7. Luz Orozco-Covarrubias, et al. Kid Syndrome (Keratitis-Ichthyosis-Deafness)Neurocutaneous Disorders Phakomatoses and Hamartoneoplastic Syndromes 2008, pp 625-632
http://www.peacehealth.org
http://www.nad.org
http://www.ncbi.nlm.nih.gov
http://www.firstskinfoundation.org/content.cfm/Ichthyosis/KID-Syndrome-Fact-Sheet/page_id/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