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장완 말단부 결손 증후군
18q distal deletion syndrome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36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18번 염색체 장완 말단 부위의 미세 결손
증상
저신장, 지능저하, 근육긴장저하, 손/발의 기형, 두개골과 얼굴의 이상, 시각 장애, 청력 이상, 생식기 이상, 심장 기형
관련 부위
체내 : 뇌, 신장, 심장
체외 : 골격, 귀, 눈, 두개골
진단과 치료
원인
세포 유전학적 검사: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검사, 형광 제자리 부합법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비교 유전자 교잡법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 영상검사
치료
동반기형이 있는 경우 수술적인 교정
관련 질환
질환명
18q deletion syndrome
18q- syndrome
Chromosome 18 long arm deletion syndrome
Del(18q) syndrome
Monosomy 18q syndrome
기타
질병분류
(KCD 코드)
Q93.5
산정 특례
질병코드
V900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18장완 말단부 결손 증후군(18q distal deletion syndrome)은 염색체 질환의 일종으로, 저신장, 지능저하, 근육긴장저하, 손/발의 기형, 두개골과 얼굴의 이상, 시각 장애, 청력 이상, 생식기 이상, 심장 기형 등의 다양한 임상양상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신생아 55,000 중 1명에서 발생하며, 1964년에 처음 보고된 이후로 80명 이상의 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
원인
18장완 말단부 결손 증후군은 염색체 결손에 의한 질환입니다. 염색체의 파열되어 소실되는 현상을 결손 (deletion)이라고 합니다. 결손이 일어날 경우, 결손이 일어난 부위에 해당하는 유전정보가 소실되어 우리 몸의 성장, 발달, 기능에 결함을 초래하게 됩니다. 결손의 크기와 결손이 발생하는 정확한 부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은 다를 수 있습니다.
18장완 말단부 결손 증후군은 대부분의 경우 산발적 (de novo)으로 발생하며 부모님의 염색체가 모두 정상이지만, 정자, 난자의 형성 과정이나 초기 태아 발달과정에서 발생한 염색체 결손이 원인이 됩니다. 드물게는 부모님 중 균형 전위 (balanced translocation)를 가지고 있는 보인자가 있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18장완 말단부 결손 증후군은 대부분의 경우 산발적 (de novo)으로 발생하며 부모님의 염색체가 모두 정상이지만, 정자, 난자의 형성 과정이나 초기 태아 발달과정에서 발생한 염색체 결손이 원인이 됩니다. 드물게는 부모님 중 균형 전위 (balanced translocation)를 가지고 있는 보인자가 있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증상
저체중으로 출생하며, 출생 이후 성장지연으로 인해 저신장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근육긴장저하, 경련, 정신운동지연 (psychomotor retardation), 지능저하를 나타내며, 과다행동, 공격적인 행동 등의 행동 문제를 보이기도 합니다.
약 30% 이상의 환자에서는 심방/심실중격결손, 폐동맥판협착, 동맥관개존증 등의 심혈관계질환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개골, 얼굴의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작은 머리증, 중안부의 저형성, 물고기 같은 입모양, 아래턱뼈앞돌출증, 넓은 콧등, 구순열 등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안진, 사시, 작은 안구증, 홍채결손, 각막혼탁, 망막 이상 등 눈의 이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귀의 형태는 뚜렷하거나, 오히려 외이도가 좁거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한 청각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이나 발의 이상이 자주 동반되는데, 손금 이상, 엄지손가락/엄지발가락의 위치 이상, 곤봉발 (clubfeet) 등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갈비뼈 등 다른 부위의 골격계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식기 기형이 동반될 수 있는데, 여아에서는 음순의 저형성이 발생할 수 있고, 남아에서는 잠복고환, 미소음경, 요도하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면역글로불린 A (immunoglobulin A)의 결핍으로 감염 질환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약 30% 이상의 환자에서는 심방/심실중격결손, 폐동맥판협착, 동맥관개존증 등의 심혈관계질환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개골, 얼굴의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작은 머리증, 중안부의 저형성, 물고기 같은 입모양, 아래턱뼈앞돌출증, 넓은 콧등, 구순열 등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안진, 사시, 작은 안구증, 홍채결손, 각막혼탁, 망막 이상 등 눈의 이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귀의 형태는 뚜렷하거나, 오히려 외이도가 좁거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한 청각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이나 발의 이상이 자주 동반되는데, 손금 이상, 엄지손가락/엄지발가락의 위치 이상, 곤봉발 (clubfeet) 등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갈비뼈 등 다른 부위의 골격계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식기 기형이 동반될 수 있는데, 여아에서는 음순의 저형성이 발생할 수 있고, 남아에서는 잠복고환, 미소음경, 요도하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면역글로불린 A (immunoglobulin A)의 결핍으로 감염 질환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진단
의심되는 환자에서 핵형분석과 형광동소보합법 (FISH),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 등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하는 것이 진단에 필요합니다.
핵형검사 (karyotyping)는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여 진행합니다. 세포를 배양하고 전처리한 뒤, 고정하면 분열 중기 상태에 이른 세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진 찍고 크기순으로 재배열하면 큰 규모의 염색체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형광동소보합법은 특정 sequence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에 대한 DNA탐색자에 형광물질신호를 붙여 FISH 탐색자를 만들고, 이를 검사하고자 하는 DNA에 상보적으로 붙여보는 검사입니다. 만약 해당 DNA가 찾고자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FISH 탐색자-DNA 결합체를 형성하여 염색체에서 형광물질 신호를 찾을 수 있게 됩니다.

한편 마이크로어레이 검사는 여러 개의 열에 각각 특정 sequence를 인식하는 탐식자(probe)를 심어, 해당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검사 방법입니다. 이를 응용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는 염색체 검사를 통한 수적 이상 뿐만 아니라, 염색체의 아주 미세한 부분의 중복이나 결실까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부모님도 함께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아이의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은 이후의 산전 유전상담에도 도움이 됩니다.
동반된 기형을 확인하기 위해 청력검사, 심장초음파, 복부 및 신장초음파, 골격계 영상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핵형검사 (karyotyping)는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여 진행합니다. 세포를 배양하고 전처리한 뒤, 고정하면 분열 중기 상태에 이른 세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진 찍고 크기순으로 재배열하면 큰 규모의 염색체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형광동소보합법은 특정 sequence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에 대한 DNA탐색자에 형광물질신호를 붙여 FISH 탐색자를 만들고, 이를 검사하고자 하는 DNA에 상보적으로 붙여보는 검사입니다. 만약 해당 DNA가 찾고자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FISH 탐색자-DNA 결합체를 형성하여 염색체에서 형광물질 신호를 찾을 수 있게 됩니다.

한편 마이크로어레이 검사는 여러 개의 열에 각각 특정 sequence를 인식하는 탐식자(probe)를 심어, 해당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검사 방법입니다. 이를 응용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는 염색체 검사를 통한 수적 이상 뿐만 아니라, 염색체의 아주 미세한 부분의 중복이나 결실까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부모님도 함께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아이의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은 이후의 산전 유전상담에도 도움이 됩니다.
동반된 기형을 확인하기 위해 청력검사, 심장초음파, 복부 및 신장초음파, 골격계 영상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완치법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환자가 나타내는 증상에 따라 치료를 시행합니다. 두개안면 기형, 심장기형, 생식기 기형 등 교정을 필요로 하는 기형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교정을 시행합니다. 경련이 있는 경우는 항경련제 약물을 투여합니다. 면역글로불린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감염에 대해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이 향후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에는 세포유전학적 검사와 산전 유전상담이 필요합니다.
부모님이 향후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에는 세포유전학적 검사와 산전 유전상담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https://ghr.nlm.nih.gov/condition/distal-18q-deletion-syndrome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chromosome-18q-syndrome/
https://www.chromosome18.org/18q/distal-18q/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chromosome-18q-syndrome/
https://www.chromosome18.org/18q/distal-18q/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