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 염색체 장완 26 부분의 미세결손 증후군
6q26 microdeletion syndrome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107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6번 염색체 장완 말단 부위(q26)의 미세 결손
증상
발달 지연, 지적 장애, 안면 기형
관련 부위
체내 : 뇌, 심장
체외 : 골격, 근육
진단과 치료
원인
유전학적 검사: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검사, 형광 제자리 부합법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비교 유전자 교잡법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영상검사
치료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 및 지지요법
관련 질환
질환명
미세결손 증후군(microdeletion syndrome)
기타염색체 이상질환
기타
산정 특례
질병코드
V901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6번 염색체 장완 26 부분의 미세결손 증후군은 다양한 미세결손 증후군(microdeletion syndrome) 중 한 종류로, 발달 지연과 안면 기형 등을 특징적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미세결손 증후군은 일반적인 핵형 검사에서 보이지 않은 작은 염색체 부위의 결손으로 인하여 해당 유전자의 기능 이상이 생긴 것으로, 최근 발달 지연/지적장애 등을 가진 환자들에 대하여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chromosomal microarray) 검사 등을 많이 시행하며 발견되고 있는 질환입니다.
원인
사람 염색체를 이루는 23쌍의 염색체 중 6번 염색체의 장완 끝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의 결손이 이 질환의 원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 부위의 미세 결손 (microdeletion) 때문에 나타나게 되며 이외에도 염색체 구조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드물게 존재합니다.
증상
염색체 결손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출생 시 이상
출생 시에는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큰 이상이 없으나 일부 환자들에서는 작은머리증(microcephaly), 저긴장증(hyponia) 및 수유장애(feeding difficulty)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달 지연
대부분의 환자들에서는 발달 지연이 첫 징후로 나타나게 됩니다. 대근육 발달, 소근육 발달 및 언어 발달 영역에서의 다양한 저하가 나타나는데 개개인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경련이 함께 동반됩니다.
▶ 기타 이상
안면 소기형도 함께 동반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이외에도 선천 심질환, 장 이상 등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출생 시 이상
출생 시에는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큰 이상이 없으나 일부 환자들에서는 작은머리증(microcephaly), 저긴장증(hyponia) 및 수유장애(feeding difficulty)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달 지연
대부분의 환자들에서는 발달 지연이 첫 징후로 나타나게 됩니다. 대근육 발달, 소근육 발달 및 언어 발달 영역에서의 다양한 저하가 나타나는데 개개인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경련이 함께 동반됩니다.
▶ 기타 이상
안면 소기형도 함께 동반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이외에도 선천 심질환, 장 이상 등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
전반적 영역에서의 발달 지연 및 안면 기형(dysmorphic face)은 다양한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같은 6번 염색체 장완 26 부분의 미세결손 증후군이라 하더라도 환자들에 따라 다양한 증상 및 기형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증상만을 통해 이 병을 직접 의심하기는 어렵습니다. 전반적인 발달 지연을 보이는 환자에서 핵형분석과 형광동소보합법 (FISH),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 등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하는 것이 진단에 필요합니다.

핵형검사 (karyotyping)는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여 진행합니다. 세포를 배양하고 전처리한 뒤, 고정하면 분열 중기 상태에 이른 세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진 찍고 크기순으로 재배열하면 큰 규모의 염색체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형광동소보합법은 특정 sequence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에 대한 DNA탐색자에 형광물질신호를 붙여 FISH 탐색자를 만들고, 이를 검사하고자 하는 DNA에 상보적으로 붙여보는 검사입니다. 만약 해당 DNA가 찾고자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FISH 탐색자-DNA 결합체를 형성하여 염색체에서 형광물질 신호를 찾을 수 있게 됩니다.

한편 마이크로어레이 검사는 여러 개의 열에 각각 특정 sequence를 인식하는 탐식자(probe)를 심어, 해당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검사 방법입니다. 이를 응용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는 염색체 검사를 통한 수적 이상 뿐만 아니라, 염색체의 아주 미세한 부분의 중복이나 결실까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해상도 유전체검서(Chromosomal Microarray, CMA)-대표적인 것으로,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array CGH]가 있음)](/_next/image?url=https://helpline.kdca.go.kr/cdchelp/img/dis_dtl/RA201910075_3.jpg&w=600&q=75)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부모님도 함께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아이의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은 이후의 산전 유전상담에도 도움이 됩니다.
동반된 기형을 확인하기 위해 청력검사, 심장초음파, 복부 및 신장초음파, 골격계 영상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발달 지연을 보이는 환자에서 선별적으로 시행하는 핵형 검사(karyotyping), 형광제자리부합법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및 마이크로어레이, 비교유전자교잡법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핵형검사 (karyotyping)는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여 진행합니다. 세포를 배양하고 전처리한 뒤, 고정하면 분열 중기 상태에 이른 세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진 찍고 크기순으로 재배열하면 큰 규모의 염색체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형광동소보합법은 특정 sequence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에 대한 DNA탐색자에 형광물질신호를 붙여 FISH 탐색자를 만들고, 이를 검사하고자 하는 DNA에 상보적으로 붙여보는 검사입니다. 만약 해당 DNA가 찾고자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FISH 탐색자-DNA 결합체를 형성하여 염색체에서 형광물질 신호를 찾을 수 있게 됩니다.

한편 마이크로어레이 검사는 여러 개의 열에 각각 특정 sequence를 인식하는 탐식자(probe)를 심어, 해당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검사 방법입니다. 이를 응용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는 염색체 검사를 통한 수적 이상 뿐만 아니라, 염색체의 아주 미세한 부분의 중복이나 결실까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해상도 유전체검서(Chromosomal Microarray, CMA)-대표적인 것으로,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array CGH]가 있음)](/_next/image?url=https://helpline.kdca.go.kr/cdchelp/img/dis_dtl/RA201910075_3.jpg&w=600&q=75)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부모님도 함께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아이의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은 이후의 산전 유전상담에도 도움이 됩니다.
동반된 기형을 확인하기 위해 청력검사, 심장초음파, 복부 및 신장초음파, 골격계 영상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발달 지연을 보이는 환자에서 선별적으로 시행하는 핵형 검사(karyotyping), 형광제자리부합법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및 마이크로어레이, 비교유전자교잡법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현재로서는 뚜렷한 근본적인 치료가 없는 실정이나 꾸준한 재활 치료를 통하여서 삶의 질과 독립된 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운동지연에 대하여서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를 시행할 수 있겠으며, 기타 발달 지연에 대하여서 언어치료, 놀이치료 등의 재활치료를 하여 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반된 다양한 선천성 기형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문헌
Striano P, Malacarne M, Cavani S, et al. Clinical phenotype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6q terminal deletion syndrome: Five new cases. Am J Med Genet A. 2006 Sep 15;140(18):1944-9.
Bertini V, De Vito G, Costa R, et al. Isolated 6q terminal deletions: an emerging new syndrome. Am J Med Genet A. 2006 Jan 1;140(1):74-81.
Bertini V, De Vito G, Costa R, et al. Isolated 6q terminal deletions: an emerging new syndrome. Am J Med Genet A. 2006 Jan 1;140(1):74-81.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