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정확한 유병률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희귀질환으로 MTOR 돌연변이의 상염색체 우성 유전으로 발생하는 지능장애를 동반하는 증후군성 질환입니다. 임상적 특징으로 대두증, 경련, 제대탈장 및 특징적인 얼굴형태를 나타냅니다.

원인

1번 염색체의 1p36 부위의 MTOR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유발되며, 대부분의 경우 부모로부터 유래하지 않은 신규 돌연변이(de novo mutations)에 의해 발병한 이형접합 돌연변이형 (heterozygous mutation)입니다. 드물게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는 어느 한편의 부모의 정자 또는 난자의 생식세포 모자이시즘 (germline mosaicism)에 의해 상염색체 우성 양상 (autosomal dominant inheritance pattern)의 유전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MTOR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mTOR 단백질의 활성이 증가되고 성장, 분리, 생존에 관련된 단백질 생성을 조절하는 mTOR 신호가 증가함으로써, 뇌의 성장과 발달, 시냅스 가소성에 이상을 초래하고 대두증, 지능 저하, 경련과 다른 신경학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증상

이 질환은 지능장애와 함께 대두증(macrocephaly), 경련을 보이는 신경학적인 질환입니다. 일부에서는 언어 기능이 늦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보이기도 합니다. 

뇌의 구조 이상도 동반될 수 있는데 거대뇌증 또는 편측거대뇌증이나 다왜소뇌회증 (polymicrogyria), 뇌실확장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삼각형 얼굴 (triangular face), 앞으로 튀어나온 두드러진 이마 (frontal bossing), 뾰족한 턱(pointed chin), 양안 격리증 (hypertelorism), 쳐진 눈(downslanting palpebral fissures), 평평한 콧등(flat nasal bridge), 긴 인중(long philtrum) 등의 특징적인 외모를 보일 수 있지만 환자에 따라 그 양상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심혈관계, 근골격계, 조혈기관의 장애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 언어지연,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정도 및 난치성 뇌전증과 관련한 중증 소견 및 뇌구조 이상으로 인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중증소견
지적장애, 언어지연,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정도 및 난치성 뇌전증과 관련한 중증 소견 및 뇌구조 이상으로 인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단

지능장애와 함께 대두증, 신경학적 이상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 검사에서 MTOR 유전자의 이상을 확인하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경련이 동반되는 환자에서 뇌파 검사를 시행해야하고, 대두증, 경련 및 지능장애의 증상이 동반되므로 뇌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뇌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합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에 대해 정신과적인 평가가 필요할 수 있으며, 심혈관계, 근골격계, 조혈기관의 평가도 필요합니다. 

치료

다학제 통합 치료가 필요하며 발달 지연에 대한 재활치료 및 경련에 대한 약물 치료 등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1. https://ghr.nlm.nih.gov/condition/smith-kingsmore-syndrome#inheritance
2. https://www.omim.org/entry/616638
3. Gordo G, Tenorio J, Arias P, Santos-Simarro F, García-Miñaur S, Moreno JC, et al. mTOR mutations in Smith-Kingsmore syndrome: Four additional patients and a review. Clin Genet. 2018 Apr;93(4):762-775.
4. Moosa S, Böhrer-Rabel H, Altmüller J, Beleggia F, Nürnberg P, Li Y, et al. Smith-Kingsmore syndrome: A third family with the 
 mutation c.5395G>A p.(Glu1799Lys) and evidence for paternal gonadal mosaicism. Am J Med Genet A. 2017 Jan;173(1):264-267.
5. Mirzaa GM, Campbell CD, Solovieff N, Goold C, Jansen LA, Menon S, et al. Association of MTOR Mutations With Developmental Brain Disorders, Including Megalencephaly, Focal Cortical Dysplasia, and Pigmentary Mosaicism. JAMA Neurol. 2016 Jul 1;73(7):836-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