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Progressive 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PFIC)은 담즙 형성을 방해하고 간세포 기원의 담증정체증의 형태로 나타나는 만성 장애로 유아에서 시작하고 10세이전에서 간경변으로 진행되는 질환입니다. 평균적인 발병나이는 3개월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청소년기까지 황달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증체증의 질병 진행은 문맥고혈압, 간부전, 간경화, 간세포암종, 간외 증상을 야기하게 됩니다. 세가지 형태의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이 있습니다.

  •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 I형(PFIC type1, Byler's disease) : FIC1(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1)의 부족
  •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 2형(PFIC type2, Byler's syndrome) : BSEP(bild salt export pump)의 부족
  •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 3 (PFIC type3) : MDR3(multidrug resistant 3)의 부족

각각의 돌연변이는 담증 형성에 관련된 간세포 운반 시스템 유전자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세가지 유형의 원인이 알려져 있지만, 아직 알려지지 않은 메커니즘이 존재합니다. 담즙정체증이 주된 임상 증상으로 다른 이유 없이 담즙 정체증의 병력을 가진 소아에서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증상은 조금씩 달리 나타나는데, 1형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 정체증은 저신장, 감각신경형 난청, 물설사, 췌장염, 높은 땀내 전해질 농도 및 지방간과 같은 간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이는 2형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3형 가족성 간내 담증 정체증은 1형, 2형과는 달리 유아기때 1/3정도에서만 담즙정체에 의한 증상으로 보이고 나머지는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증상이 발생하는 질병 경과를 보입니다.

원인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 정체증은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나타납니다. 1형은 18번 염색체 장완 21번(18q21)에 위치한 P형 ATPase 유전자(ATP8B1), FIC1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유전자는 FIC이라는 단백질의 합성에 관여합니다. FIC1 단백질은 간세포의 소관 막에 위치하지만, 간내 담관세포에 주로 표현됩니다. P형 ATPase의 기능과 담즙산 분비이상과의 관계도 아직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2형은 2번염색체 장완 24번에 위치한 ABCB1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서 담즙산염 배출펌프(bile salt export pump (BSEP))의 기능 이상이 나타납니다.
1형과 2형이 담즙산의 분비 이상으로 발생하나 3형은 인지질 분비 장애로 인한 질환으로 7번 염색체 장완 21번에 위치한 ABCB4 유전자에 나타나는 돌연변이로 인해서 이 유전자로 인해 발현되는 MDR3 단백질의 부족이 발생하여 간세포의 세간막(細肝膜) 포스포파타이딜코린(phosphatidylcholine) 의 이동에 장애가 발생하면서 결과적으로 담즙으로 인지질(phospholipid)의 분비가 어려워지면서 답즙정체가 발생하게 됩니다.

증상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 정체증 1형 환자는 정상범위의 GGT(gamma glutamyltransferase) 수치를 보입니다. 담즙정체증은 대개 생후 첫 몇 개월내에 나타나며, 반복되는 황달의 에피소드를 보이다가 나중에는 영구적인 황달 증세를 보이게 됩니다. 심한 소양감이 대개의 경우 관찰되며, 지방 흡수 장애로 인한 지용성 비타민 부족, 지방변, 설사 등의 증상 및 성장 장애가 나타납니다.

진단

혈중 총빌리루빈, 포합 빌리루빈 수치 증가 소견을 보이며, 간 초음파나 담관조영술(膽管造影術)을 통해 간외 담관 폐쇄를 배제할 수 있습니다. 간조직 검사를 통한 간의 조직병리학 소견은 간세포 소관의 담즙정체증, 참된 세관의 증식의 부재, 간세포의 문맥주위 담관 화생, 특징적인 문맥/분엽 섬유화 및 염증, 간세포 괴사, 큰 세포로의 변환, 동요된 간의 구조로 특징지어집니다.

치료

우루소데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UDCA)(20-30 mg/kg/d)을 이용한 치료가 모든 유형의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을 가진 소아의 치료적 방법으로 고려되지만, 세포 이식, 유전자 치료 또는 특정한 표적화된 약물치료와 같은 발전된 치료법이 미래의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을 위한 대체 치료로 제시될 수 있습니다. 또한 1형, 2형의 몇몇 환자는 수술적인 담도 전환술로 도움을 받기도합니다. 코담도 배액은 담도 전환술의 효과가 있는 환자에서만 선택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위의 치료들이 실패시 간이식술만이 유일한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의 치료 방법 그림: 약물치료(우루소데옥시콜산 등), 담도전환술, 코담도 배액관 삽입, 간이식술

참고문헌

Hori T et la, Progressive 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Hepatobiliary Pancreat Dis Int. 2010 Dec;9(6):570-8.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932794-workup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대한의학회 ※최종 업데이트일 : 2012.09.24 -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 대한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