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렉클링하우젠병
Von Recklinghausen’s disease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235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NF-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 종양억제 인자인 neurofibromin 단백질의 생성 이상
증상
연한 갈색의 반점(밀크커피색 반점: Cafe-au-lait spots), 리쉬결절(Lisch nodule), 신경섬유종(Neurofibroma), 내분비장애, 성장장애, 학습장애
관련 부위
체내 : 신경
체외 : 골격, 피부
진단과 치료
원인
임상 진단기준 적용, 2가지 이상 만족시 의심.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통한 NF1 유전자의 변이의 확인
치료
대증치료, 일부 수술적 치료
관련 질환
질환명
제 1형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type 1)
신경섬유종증 제1형(Neurofibromatosis Type1〔NF-1〕)
레클링하우젠모반증(Recklinghausen’s phakomatosis)
폰레클링하우젠병(VonRecklinghausen’s disease)
폰레클렝하우젠 신경섬유종증(Von Recklinghausen`s neurofibromatosis)
신경섬유종,다발성(Neurofibroma,multiple)
신경섬유종증-크롬친화세포종-십이지장카르시노이드증후군(Neurofibromatosis-pheochromocytoma-duodenal carcinoid syndrome)
말초신경섬유종증(Peripheral neurofibromatosis)
기타
질병분류
(KCD 코드)
Q85.0
산정 특례
질병코드
V156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폰렉클링하우젠 병(Von Recklinghausen disease)은 제 1형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type 1)을 가리킵니다. 이 병은 피부색의 침착과 함께 신경을 따라 종양이 자라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1882년 Von Recklinghausen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신경계, 뼈, 그리고 피부에 발육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양성종양은 신경이 있는 신체 어느 부위에나 발생할 수 있고, 피부의 색소침착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신생아 3,500∼4,000명 중 한 명의 빈도로 발생하며, 남녀 비슷한 비율로 발생합니다. 모든 민족과 인종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통한 임상진단은 대개 10세 이전에 가능합니다.

신생아 3,500∼4,000명 중 한 명의 빈도로 발생하며, 남녀 비슷한 비율로 발생합니다. 모든 민족과 인종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통한 임상진단은 대개 10세 이전에 가능합니다.

원인
신경섬유종증 제1형에 이환된 환자들의 50%는 상염색체 우성 형질로 유전되며, 나머지 50%는 무작위 돌연변이에 의해 질환이 발생합니다. 이 질환의 원인이 되는 NF-1 유전자는 염색체 17q11.2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종양 억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인 뉴로파이브로민(Neurofibromin)의 생산을 조절합니다. 그러나 NF1 유전자의 변이가 어떻게 밀크커피색 반점이나 학습장애 등의 다른 증상을 초래하는지에 대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최근 경한 임상 양상을 보이면서 NF-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지 않은 일부 환자들에서는 SPRED1 유전자라는 다른 돌연변이가 확인되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증상
신경섬유종증 제1형의 증상은 보통 아동기에 나타납니다. 질환은 진행성이며, 사춘기, 임신, 또는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증상은 더욱 뚜렷해집니다. 증상의 범위와 심각한 정도는 개개인마다 매우 다양합니다.
1. 밀크 커피색 반점(cafe-au-lait spots)
특징적으로 몸통 부분의 피부에 담갈색 색소 침착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겨드랑이 또는 서혜부에 주근깨 모양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환자 중 70%). 이런 색소 침착은 출생시 매우 엷다가 점점 진해져 1세경에 뚜렷해지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와 수가 증가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987년 미국 국립보건원 Consensus Conference에 따르면, 사춘기 이전에는 직경 5mm이고, 사춘기 이후에는 15mm인 반점이 6개 이상 발견되면 신경섬유종증 제1형(NF-1)이라고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2. 리쉬결절(Lish nodule)
리쉬결절이란 눈의 홍채에 발생하는 작은 색소를 가진 과오종으로, 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97%에게서 발견됩니다.
3. 신경섬유종(Neurofibroma)
신경섬유종은 신경섬유종증 제1형(NF-1)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양성종양으로신경을 따라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으며, 동통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신경섬유종은 갈색, 분홍색 등 피부와 같은 색을 보이며, 만졌을 때 부드러울 수도 있고 단단할 수도 있습니다. 피부 신경섬유종은 작은 크기의 혹 형태로 피부 겉면에서 잘 구분되며, 주로 10 대에 많이 발생하고 나이가 들수록 그 수는 증가합니다.
4. 시신경교종(optic glioma)
환자의 약 15%에서 발생하며 이 중 약 반수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관련 증상으로 시력 저하, 시야 감소, 떨림이나 행동 장애 등이 있으며, 시신경교종을 의심할 수 있는 임상 소견으로는 안구돌출, 사시, 시신경 창백 등이 있습니다.
5. 정형외과적 문제(Orthopedic problem)
척추가 정상보다 앞쪽으로 더 휘어진 척추전만증이나 뒤쪽으로 휘어진 척추후만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척추가 나누어진 이분척추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골절이 잘 발생하며, 다리의 긴뼈 부분 특히 경골(tibia)에 관절과 유사한 부위가 생기는 가성관절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내분비 장애(Orthopedic problem)
말단비대증, 크레틴병,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정맥부종, 크롬친화세포종, 조기사춘기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7. 성장장애
대두증과 비교적 작은 키가 특징입니다. 환자의 약 1/3에서는 성장 장애가 관찰되며, 상대적으로 머리가 큰 경우가 종종 있으나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성조숙증이나 키가 큰 증상은 대개 시신경 축에 종양이 있는 경우와 관련이 깊습니다.
8. 학습장애
학습장애는 20∼50%의 환자에서 관찰되며, 학습장애의 정도나 양상은 환자마다 다르나 대체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그 정도는 완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또한 소아의 20-40%에서 동반됩니다. 지능 장애는 흔하지 않지만 4∼11%의 환자에서 보고 된 바 있으며 특히 유전자의 결실이 크게 있을 때 지능장애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1. 밀크 커피색 반점(cafe-au-lait spots)
특징적으로 몸통 부분의 피부에 담갈색 색소 침착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겨드랑이 또는 서혜부에 주근깨 모양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환자 중 70%). 이런 색소 침착은 출생시 매우 엷다가 점점 진해져 1세경에 뚜렷해지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와 수가 증가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987년 미국 국립보건원 Consensus Conference에 따르면, 사춘기 이전에는 직경 5mm이고, 사춘기 이후에는 15mm인 반점이 6개 이상 발견되면 신경섬유종증 제1형(NF-1)이라고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2. 리쉬결절(Lish nodule)
리쉬결절이란 눈의 홍채에 발생하는 작은 색소를 가진 과오종으로, 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97%에게서 발견됩니다.
3. 신경섬유종(Neurofibroma)
신경섬유종은 신경섬유종증 제1형(NF-1)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양성종양으로신경을 따라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으며, 동통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신경섬유종은 갈색, 분홍색 등 피부와 같은 색을 보이며, 만졌을 때 부드러울 수도 있고 단단할 수도 있습니다. 피부 신경섬유종은 작은 크기의 혹 형태로 피부 겉면에서 잘 구분되며, 주로 10 대에 많이 발생하고 나이가 들수록 그 수는 증가합니다.
4. 시신경교종(optic glioma)
환자의 약 15%에서 발생하며 이 중 약 반수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관련 증상으로 시력 저하, 시야 감소, 떨림이나 행동 장애 등이 있으며, 시신경교종을 의심할 수 있는 임상 소견으로는 안구돌출, 사시, 시신경 창백 등이 있습니다.
5. 정형외과적 문제(Orthopedic problem)
척추가 정상보다 앞쪽으로 더 휘어진 척추전만증이나 뒤쪽으로 휘어진 척추후만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척추가 나누어진 이분척추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골절이 잘 발생하며, 다리의 긴뼈 부분 특히 경골(tibia)에 관절과 유사한 부위가 생기는 가성관절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내분비 장애(Orthopedic problem)
말단비대증, 크레틴병,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정맥부종, 크롬친화세포종, 조기사춘기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7. 성장장애
대두증과 비교적 작은 키가 특징입니다. 환자의 약 1/3에서는 성장 장애가 관찰되며, 상대적으로 머리가 큰 경우가 종종 있으나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성조숙증이나 키가 큰 증상은 대개 시신경 축에 종양이 있는 경우와 관련이 깊습니다.
8. 학습장애
학습장애는 20∼50%의 환자에서 관찰되며, 학습장애의 정도나 양상은 환자마다 다르나 대체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그 정도는 완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또한 소아의 20-40%에서 동반됩니다. 지능 장애는 흔하지 않지만 4∼11%의 환자에서 보고 된 바 있으며 특히 유전자의 결실이 크게 있을 때 지능장애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진단
1988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는 신경섬유종증을 진단하기위한 지침을 제시하였습니다. 다음의 7개 기준 중 2개 이상을 충족시키는 경우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합니다.
- 사춘기 이전에 최대 직경이 5mm이상, 사춘기 이후에 최대직경이 15mm이상인 갈색반점이 6개 이상 있는 경우
- 형태에 상관없이 2개 이상의 신경섬유종이 있는 경우
- 겨드랑이나 서혜부에 주근깨가 있는 경우(Crowe’s sign)
- 시신경에 양성종양(시신경교종)이 있는 경우
- 홍채에 2개 이상의 리쉬결절이 있는 경우
- 골병변(접형골 형성 이상 또는 긴 뼈의 피질이 얇아짐)이 있는 경우(가성관절증은 동반될 수도 있고 동반되지 않을 수도 있음)
- 직계 가족에서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진단 기준은 질환의 심한 정도나 예후와는 무관하며 커피색 반점이나 겨드랑이, 서혜부의 주근깨, 신경섬유종 은 성인 환자의 경우 거의 모두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진단 기준을 적용할 때 환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특정한 증상이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현재는 NF1, NF2 유전자 검사가 가능하여 유전자 검사로 확진을 할 수 있으며,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나 가족 중에 신경섬유종증 환자가 있는 경우 유전자 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사춘기 이전에 최대 직경이 5mm이상, 사춘기 이후에 최대직경이 15mm이상인 갈색반점이 6개 이상 있는 경우
- 형태에 상관없이 2개 이상의 신경섬유종이 있는 경우
- 겨드랑이나 서혜부에 주근깨가 있는 경우(Crowe’s sign)
- 시신경에 양성종양(시신경교종)이 있는 경우
- 홍채에 2개 이상의 리쉬결절이 있는 경우
- 골병변(접형골 형성 이상 또는 긴 뼈의 피질이 얇아짐)이 있는 경우(가성관절증은 동반될 수도 있고 동반되지 않을 수도 있음)
- 직계 가족에서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진단 기준은 질환의 심한 정도나 예후와는 무관하며 커피색 반점이나 겨드랑이, 서혜부의 주근깨, 신경섬유종 은 성인 환자의 경우 거의 모두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진단 기준을 적용할 때 환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특정한 증상이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현재는 NF1, NF2 유전자 검사가 가능하여 유전자 검사로 확진을 할 수 있으며,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나 가족 중에 신경섬유종증 환자가 있는 경우 유전자 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근본적인 치료는 없으며 발현하는 증상에 따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종양이 발생했을 때 절제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이지만 이것도 일부에 국한되어 있으며 크기와 위치에 따라 수술적 절제 가능성이 결정됩니다. 보통 종양에 통증이 동반되거나 감염 혹은 미용적으로 문제가 있을 때 수술합니다. 그러나 수술로 종양을 제거하더라도 가끔씩 재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뇌에 종양이 생긴 경우에는 수술로 절제가 가능하면 제거를 하고 불완전 절제가 되었거나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할 경우 방사선 치료를 합니다. 하지만 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 외에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 대한 효과는 아직 정립되지 않았습니다.
척추측만증이 있을 때는 정기적으로 X-선 검사를 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기 착용 또는 교정수술도 고려해야 합니다. 시신경 교종은 시력저하나 눈이 튀어나오는 증상으로 발견되며, 수술이나 방사선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매년 신체검사를 시행하고, 안과 검사는 아동기에는 매년 시행하고 성인기에는 더 적은 빈도로 검사를 합니다. 아동기에는 규칙적인 발육 평가를 시행하고, 규칙적인 혈압 모니터링을 합니다.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지지요법이 중요합니다.
끝으로,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유전상담은 유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해당 유전질환이 무엇인지, 질환의 증상과 경과 과정, 어떻게 유전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입니다. 유전상담의 과정을 통해 유전학 전문가로부터 질환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적절한 결정을 내리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뇌에 종양이 생긴 경우에는 수술로 절제가 가능하면 제거를 하고 불완전 절제가 되었거나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할 경우 방사선 치료를 합니다. 하지만 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 외에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 대한 효과는 아직 정립되지 않았습니다.
척추측만증이 있을 때는 정기적으로 X-선 검사를 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기 착용 또는 교정수술도 고려해야 합니다. 시신경 교종은 시력저하나 눈이 튀어나오는 증상으로 발견되며, 수술이나 방사선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매년 신체검사를 시행하고, 안과 검사는 아동기에는 매년 시행하고 성인기에는 더 적은 빈도로 검사를 합니다. 아동기에는 규칙적인 발육 평가를 시행하고, 규칙적인 혈압 모니터링을 합니다.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지지요법이 중요합니다.
끝으로,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유전상담은 유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해당 유전질환이 무엇인지, 질환의 증상과 경과 과정, 어떻게 유전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입니다. 유전상담의 과정을 통해 유전학 전문가로부터 질환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적절한 결정을 내리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116
2. https://rarediseases.info.nih.gov
3. https://ghr.nlm.nih.gov/condition/neurofibromatosis-type-1
4. Jett, Kimberly, and Jan M. Friedman. "Clinical and genetic aspects of neurofibromatosis 1." Genetics in Medicine 12.1 (2010): 1.
2. https://rarediseases.info.nih.gov
3. https://ghr.nlm.nih.gov/condition/neurofibromatosis-type-1
4. Jett, Kimberly, and Jan M. Friedman. "Clinical and genetic aspects of neurofibromatosis 1." Genetics in Medicine 12.1 (2010): 1.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