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C3G 환자에게 질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노바티스(주)에서 제작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증상과 관련한 사항은 반드시 담당 의료진과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

(2) C3G의 발병 기전과 원인 

C3G는 보체계라는 우리 몸의 면역 방어 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특히 보체의 대체 경로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서, C3 단백질이 신장의 사구체에 침착됩니다.1,2

C3 침착은 사구체 여과막을 손상시켜, 시간이 지나며 신장의 여과 기능이 점점 떨어지고, 결국 말기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3

보체계는 세균·바이러스 같은 침입자를 없애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이며 정상 상태에서는 우리 몸 세포를 공격하지 않도록 조절 단백질이 작동합니다.3

하지만 C3, CFH, CFHR5 같은 보체계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보체계가 조절되지 않고 과도하게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단, 유전자 변이를 가진 사람 모두 C3G 발병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닙니다.1-3

또 다른 발병 원인으로 자가항체가 있습니다. 자가항체는 우리 몸의 면역 단백질이 잘못 만들어져, 자신의 신체 조직을 공격하는 항체를 뜻합니다. C3G 환자에서는 자가항체가 보체계의 정상적인 조절을 방해하여, 보체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1,3,4

다수의 경우 C3G의 발병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3

 
참고 문헌
  1. Smith RJH, et al. C3 glomerulopathy—understanding a rare complement-driven renal disease. Nat Rev Nephrol. 2019;15(3):129–43. 
  2. Feldman DL et al, VOICE OF THE PATIENT Report of Externally-led Patient-Focused Drug Development Meeting on: Complement 3 Glomerulopathy (C3G).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18.
  3.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C3 glomerulopathy.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c3-glomerulopathy/ (Accessed at 20 Aug, 2025) 
  4. 질병관리청 > 국가건강정보포털 > 자가면역항체.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ntcnInfo/mediaRecsroom/wordDicary/wordDicaryView.do?word_dicary_sn=709 (Accessed at 20 Aug, 2025)

 

FA-11502025_2027Sep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