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번 염색체 짧은 팔의 결손증후군
18p monosomy
개요
18번 염색체 짧은 팔의 결손증후군(18p 결손증후군)은 1963년 Grouchy 등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고, 현재까지 150례 이상이 보고되었다. 발생률은 50,000 명 당 한명이며, 남녀성비는 2:3이다.
주요 임상 증상은 저 신장, 다양한 정도의 정신 지체, 언어 발달 장애, 둥근 얼굴, 귀의 기형, 넓은 입과 치아 이상 등의 머리와 얼굴의 기형, 사지, 생식기, 뇌, 눈, 심장의 이상 등이다. 둥근 얼굴은 신생아와 소아기에 특징적이고 얼굴의 세로길이가 자람에 따라 긴 얼굴로 바뀔 수 있다. 이러한 두개안면기형은 환아마다 개인차이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소두증, 넓고 평평한 코, 두눈먼거리증, 크고 돌출된 귀등을 보인다.
뇌 MRI 소견에서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형성저하증을 보인 경우도 있으며, 약 10%의 환아에서는 전뇌가 배아때부터 제대로 분화되지 못해 발생하는 통앞뇌증이 보고되었다. 보고된 대부분의 증례는 산발적으로 발생하였으나 어머니와 아들과 딸이 이환된 경우를 비롯하여 가족성 발병도 드물게 보고된다.
새로 발생한(de novo) 18p 말단 결실 환자 7명을 검사한 보고에서 유전자형-표현형 분석을 시행한 결과, 정신지연과 연관된 주요부위(critical regions)는 염색체 중심절 부위인 18p11.1과 18p11.21의 사이라고 하였다. 18p11.1의 절단점을 가지는 환자는 모두 넓은 얼굴을 보였다.
근육긴장도의 저하는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행동이 느리고, 언어지연이 매우 심해서 환자의 대부분이 심한 언어장애를 보인다.
원인
정상적으로는 2개가 있어야 하는18번 염색체 단완의 일부 또는 전체가 소실되어 나타난다. 염색체란 인체 내 세포의 핵 안에 있는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총 22쌍의 상 염색체들과 1쌍의 성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염색체는 단완과 장완을 가지고 있다.
18번 염색체 단완의 결실은 85% 정도는 새로 발생한(de novo) 결실이며, 이는 수정 후 초기 배아 발달과정에서 발생한다. 즉 이 경우 환아의 부모들은 정상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염색체 이상을 보이는 다른 아이를 후에 낳을 확률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15%는 한 부모의 균형 전위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균형 전이란 염색체의 두 부분 이상에서 파열이 발생하여 서로 분절을 교환한 상태로, 비록 염색체 분절의 위치는 바뀌었으나 전체 염색체의 구성은 같은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균형 전이를 가지고 있는 부모에게는 문제가 없으나 간혹 이 부모의 생식 세포는 일정 염색체 분절이 많거나 적은 불균형적인 염색체 구성을 가지게 될 수 있어(불균형 전이) 18번 염색체 단완 부위가 1개 적은 생식세포가 수정을 할 경우 이 질병에 이환 될 수 있다.
증상
18p 결손을 가진 환아의 증상은 출생 당시에는 두드러지지 않으나 3세경이 되면 보다 뚜렷해진다. 전형적으로 저 신장, 정신 지체, 다양한 두개 안면 기형 및 그 외 여러 구조적 이상을 보일 수 있다.
○ 지적장애 : 중등도에서 중증 / 지능저하(IQ 25-75. 평균 IQ 45-50)
○ 언어지연 : 많은 환아가 7-9세 이전에 의미있는 단어나 문장을 못함
○ 경증에서 중등도 성장지연, 저신장
○ 근육긴장저하증
○ 저 체중 출생
○ 머리얼굴이상형태증 : 납작머리증(단두증) / 눈꺼풀처짐 / 사시 / 두눈먼거리증 / 넓은 코 / 납작하고 희미한 인중 / 입꼬리 처짐 / 작은턱증 / 큰 입 / 길고 큰 튀어나온 귀 / 넓은 얼굴 / 불규칙한 치열과 치아우식증
○ 통앞뇌증(holoprosencephaly) (>10%) : 전뇌 부위가 배아 시기때부터 제대로 분화되며 성장하지 못해 발생하며, 통앞뇌증이 있는 경우는 예후가 불량하지만 없는 경우는 수명이 짧아지지 않는다. 다양한 정도의 정진 지체와 관련이 있으며, 간질 발작을 보일 수 있다.
○ 심장결함 (<10%) : 주로 중격결손증
○ 골격이상 : 단지증, 합지증, 측만지증
○ 생식능력 : 생식능을 보인 예가 적어도 4예 이상 보고 되어 있음. 이러한 환자들은 모두 절단점이 18p11.2나 18p11.3인 18번 단완 부분 결실 환자였다. 이 환자들의 공통적 양상은 경도 정신지연, 저신장, 안과적 이상(백내장, 외사시, 근시), 작은머리증이었다.
○ 기타: 자가면역성 질환, 항체 결핍, 림프부종, 대머리 (alopecia)
Orphanet J Rare Dis. 2008 Feb 19;3:4.
진단
특징적인 임상 양상과 염색체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 산전 초음파 검사
○ 염색체 검사
대부분 18번 염색체의 단완 거의 전체가 결실되어 있다. 출생 후 말초혈액을 이용해 통상적 염색체 검사로 검출할 수 있다. 산전 검사로 양수나 융모막 융모를 이용해 염색체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 FISH 검사
단완 말단아래부위(subtelomeric region)에 대한 소식자를 이용한 FISH 검사로 작은 결실을 검출한 예가 있다.
치료
18번 염색체 짧은팔의 결실증후군은 특이적인 치료는 없으며, 각각의 환아에 맞는 대증치료를 시행한다.
소아청소년과, 외과, 정형외과, 소아신경과 등의 종합적이고 협조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특정한 두개 안면 기형이나 근골격계 구조적 이상이 있으면 이는 수술적 치료로 교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언어지연이 동반되므로 조기에 언어치료 및 재활치료 등을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조기의 치료를 통해서 환아들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실현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특수 교육, 의료 · 사회 · 직업 서비스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2. OMIM : www.ncbi.nlm.nih.gov/sites/entrez?db=OMIM /#146390
3. Turleau C. Monosomy 18. Orphanet J Rare Dis. 2008;3-4.
4. Rigola MA, et al. Characterization of a Heritable Partial Monosomy 18p by Molecular and Cytogenetic Analysis. Am J Med Genet. 2001;104:37-41.
http://www.orpha.net
http://www.chromosome18.org
http://www.raredisease.org
전 세계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