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KAT6B 관련 증후군은 발달지연 및 지적장애, 근긴장도 저하, 생식기 이상, 골격계 이상, 심기형, 소화기 기형, 영아기의 섭식 장애, 성장 지연, 구개열, 청력 저하, 치아 이상 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군으로 Genitopatellar syndrome (GPS)와 Say-Barber-Biesecker-Young-Simpson variant of Ohdo syndrome (SBBYSS)을 포함합니다.

KAT6B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함으로써 확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신생 돌연변이(de novo pathogenic variant)이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됩니다.

완전 투과도 (complete penetrance)를 가지며 유병률은 <1/1,000,000으로 추정됩니다. 

원인

KAT6B 유전자 돌연 변이

증상

Genitopatellar syndrome(GPS)와 Say-Barber-Biesecker-Young-Simpson variant of Ohdo syndrome(SBBYSS)의 임상적 특징을 가진 경우 KAT6B 유전자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두 질환 모두 전반적인 발달지연과 지적장애를 특징으로 하며, 근긴장도 저하, 생식기 이상, 슬개골의 저형성 또는 무형성, 고관절의 굴곡구축, 손가락뼈, 척추 및 갈비뼈의 기형을 보입니다. 이외에도 선천성 심장 기형, 소장 회전이상, 섭식 장애, 성장 지연, 구개열, 청력 저하, 치아 이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KAT6B 유전자 이상은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보이며 다양한 표현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래 GPS와 SBBYSS의 임상적인 진단 기준 중 2개의 주증상, 또는 1개의 주증상과 2개의 부증상을 보이는 경우 KAT6B 유전자 이상을 가질 확률이 높습니다.

1. GPS
주증상 : 
생식기 이상 (여성: 음핵 비대, 소음순 또는 대음순의 저형성, 남성: 잠복고환, 고환 저형성)
슬개골 저형성/무형성
고관절과 무릎의 굴곡구축 (내반족 포함)
뇌량 무형성 (소두증 동반)
수신증 혹은 다발성 신낭종

부증상 : 
선천성 심장 기형
치아 이상 (치아 맹출 지연)
청력 저하
갑상선 기형
항문 기형
근긴장도 저하
발달 지연/지적장애

2. SBBYSS
주증상 :
긴 엄지손가락/엄지발가락
무표정한 얼굴 
실눈증/안검하수
눈물관 이상
슬개골 저형성/무형성

부증상 :
선천성 심장 결함
치아 이상 (치아 형성 저하/치아 맹출 지연)
청력 저하
갑상선 기형
구개열
생식기 이상 (남성: 잠복고환)
근긴장도 저하
발달지연/지적장애

◈ 중증소견
발달지연, 지적장애, 근긴장도 저하 정도와 동반된 기형에 따라 임상소견이 다양합니다.

진단

GPS와 SBBYSS의 임상적 특징을 가진 환자에서 KAT6B 유전자 변이를 확인함으로써 확진하며, 대부분의 환자는 신생 돌연변이(de novo mutation)를 가집니다.

치료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장기의 이상(심장, 비뇨기, 골격계, 치과, 안과 등)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성장지연에 대한 영양 관리가 요구되며 내분비 이상이 동반될 경우 내분비학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발달지연, 인지장애, 행동장애에 대한 재활치료 및 정신건강의학적 치료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참고문헌

1. Bashir RA, Dixit A, Goedhart C, Parboosingh JS, Innes AM, Ferreira P, Au PB. Lin-Gettig syndrome: Craniosynostosis expands the spectrum of the KAT6B related disorders. Am J Med Genet A. 2017;173:2596–604
2. Campeau PM, Kim JC, Lu JT, Schwartzentruber JA, Abdul-Rahman OA, Schlaubitz S, Murdock DM, Jiang MM, Lammer EJ, Enns GM, Rhead WJ, Rowland J, Robertson SP, Cormier-Daire V, Bainbridge MN, Yang XJ, Gingras MC, Gibbs RA, Rosenblatt DS, Majewski J, Lee BH. Mutations in KAT6B, encoding a histone acetyltransferase, cause genitopatellar syndrome. Am J Hum Genet. 2012a;90:282–9.
3. Campeau PM, Lu JT, Dawson BC, Fokkema IF, Robertson SP, Gibbs RA, Lee BH. The KAT6B-related disorders Genitopatellar syndrome and Ohdo/SBBYS syndrome have distinct clinical features reflecting distinct molecular mechanisms. Hum Mutat. 2012b;33:15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