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₁-강글리오시드증
GM₁-gangliosidosis
개요
스핑고리피드증(spingolipidosis)은 스핑고리피드(sphingolipid) 대사질환으로 생기는 리소좀 축적 질환들 중 하나의 소그룹(subgroup)이다. 이 질환군은 끊임없이 축적현상이 진행되어서 이환된 기관이 비대화됨과 동시에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이 질 환들에 대한 총괄적인 선별검사는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질환들의 진행과정과 나타나는 임상양상이 보통 특징적이고, 또한 자기공명영상(MRI),신경 생리학, 검안검사 등과 같은 검사로 잠정적인 진단을 내릴 수 있으나,특정 효소검사,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진할 수 있다. 스핑고리피드증의 소그룹은 다음과 같이 함께 묶을 수가 있는데, 즉 현저한 간과 비장비대를 나타내는 니이만-픽병 유형 A, B와 고셔병, 중추와 말초 신경계의 탈수초화를 나타내는 이염색백색질장애(metachromatic leukodystrophy; MLD)와 크라베병,그리고 신경세포에서 두드러진 축적현상을 나타내는 강글리오시드증(gangliosidosis)이 있다. 강글리오시드 축적 질환은 크게 GM1과 GM2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이 중 GM1 강글리오시드증은 GLB1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리소좀 내의 beta-galactosidase-1 효소 활성의 결핍이 유발되어 소당류와 keratan sulfate가 세포내 리소좀에 축적되어 질환을 야기시키는 일종의 리소좀 축적 질환에 해당된다.스핑고리피드증(spingolipidosis)은 스핑고리피드(sphingolipid) 대사질환으로 생기는 리소좀 축적 질환들 중 하나의 소그룹(subgroup)이다. 이 질환군은 끊임없이 축적현상이 진행되어서 이환된 기관이 비대화됨과 동시에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이 질 환들에 대한 총괄적인 선별검사는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질환들의 진행과정과 나타나는 임상양상이 보통 특징적이고, 또한 자기공명영상(MRI),신경 생리학, 검안검사 등과 같은 검사로 잠정적인 진단을 내릴 수 있으나,특정 효소검사,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진할 수 있다. 스핑고리피드증의 소그룹은 다음과 같이 함께 묶을 수가 있는데, 즉 현저한 간과 비장비대를 나타내는 니이만-픽병 유형 A, B와 고셔병, 중추와 말초 신경계의 탈수초화를 나타내는 이염색백색질장애(metachromatic leukodystrophy; MLD)와 크라베병,그리고 신경세포에서 두드러진 축적현상을 나타내는 강글리오시드증(gangliosidosis)이 있다. 강글리오시드 축적 질환은 크게 GM1과 GM2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이 중 GM1 강글리오시드증은 GLB1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리소좀 내의 beta-galactosidase-1 효소 활성의 결핍이 유발되어 소당류와 keratan sulfate가 세포내 리소좀에 축적되어 질환을 야기시키는 일종의 리소좀 축적 질환에 해당된다.
[그림1] GM1 강글리오사이드증의 발병 기전 
원인
GM1 강글리오시드증의 원인유전자는 beta-galactosidase-1을 만드는 GLB1 유전자로 염색체의 3p21.33에 위치하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돌연변이는 각각의 임상학적 아형에서 발견이 되었다.
모든 GM1 강글리오시드증은 리소좀의 효소인 갈락토시다아제의 효소 활성의 결핍으로 인해 소당류(oligosaccharide)의 분해가 되지 않고 결국 갈락토오스가 풍부한 소당류와 keratan sulfate가 뇌와 내장기관에 축적되어 질환을 야기시킨다.
산성 β-갈락토시다아제와 뉴라민분해효소(neuraminidase)가 동시에 결핍될 경우 galactosialidosis라는 별개의 유전적 질환을 야기한다. 이 질환은 산성 갈락토시다아제와 뉴라민분해효소의 효소 기능에 필요한 방어 단백질의 결핍에 기인한다.
증상
모든 강글리오시드증에서는 신경세포내의 축적으로 인해 핵은 말초부위로 밀려나고, 소위 meganeurite라 불리는 신경세포의 엑손 기부의 특징적인 팽윤이 일어난다. 축적물은 얇은 판모양의 몸체와 막질의 세포질 몸체로 리소좀에 포함되어 있다.
GM1 강글리오시드증은 발병하는 연령에 따라서 유아형,유년형,성인형의 세 가지 표현형으로 나눈다. 유아형 GM1 강글리오시드증 혹은 랜딩(Landing) 병(Type I, or infantile form)은 출생 후 머리 가누는 것이 늦어지고 눈을 맞춘다거나 손으로 움켜잡는 운동이 불충분하게 이루어진다. 대부분에서 간 비장비대, 부은 듯한 얼굴, 넓은 윗충 입술,상악골의 과다형성, 비대성의 잇 몸,크고 아래에 달린 귀,대설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손목이 굵어진다. 약 생후 6개월 정도에 주목할 만한 헐러 증후군(Hurler syndrome)과 비슷한 척추뼈를 포함한 골격계의 변화를 볼 수 있다. 반 수 정도의 환자에서 테이-삭스병(Tay-Sachs병)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비슷하게,황반 주위에 cherry-red 반점을 나타낸다. 생후 1년 후에는 빠른 속도로 신경학적 퇴보가 이루어지며, 전신경련발작,연하 장애, 뇌절제자세(decerebrate posturing)등이 나타나며 보통 생후 2년 전에 사망한다. 유아형과 더불어 심장 근변성증의 심한 신생아 발병타입이 보고 된 바 있다. 아주 드물게는 신생아 시기에 비면역 태아수종증(non-immune fetal hydrops)으로 나타날 수 있다.
유년기형의 GM1 강글리오시드증(Type II, or late-infantile/juvenile form)은 외부적으로 분별할 수 있는 특징은 없다. 환자들은 보통 1세까지는 정상이나 그 후, 조종 기능을 잃어버리거나 자폐적인 행동을 나타내며 둔감하게 된다. 1세 후에는 실조중,간질,경련성 마비 증상으로 발전할 수가 있다. 보통 10세 이전에 사망하고,척추파손 (vertebral breaking)과 같은 변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성인형 GM1 강글리오시드증(Type III, or adult/chronic form)은 아동기에 발병하여 주로 근긴장이상(dystonia), 파킨슨씨병,비전형적 소뇌수축성 실조증과 비슷한 추체외로 질환의 증상을 보이며,보통 심각한 치매를 나타낸다. 이 형은 외부로 분별할 만한 증상은 없다. 척추의 변화,cherry-red 반점으로는 이 유형을 분별할 수 없다.
진단
GM1 강글리오시드증은 통상적인 말초혈액의 형태적인 검사에서 공포화된 림프구를 볼 수 있다. 유아기형에서는 헐러 증후군(Hurler syndrome)과 같은 특징적인 골격계 이상이 있으면 잠정적인 진단을 예시한다. 자기공명영상(MRI)은 대뇌위축과 같은 비특이적인 결과를 볼 수 있다. 성인형에서는 대뇌 기저핵(basal ganglia)에서 병변을 볼 수 있고,유아기형에서는 뇌 CT검사상 시상(thalamus)에서 과밀도의 병변이 관찰된다. 소변검사에서는 갈락토오스가 풍부한 소당류나 keratan sulfate가 검 출된다. 물론 Morquio-B 질환의 유전적 변형은 GM1 강글리오시드증과 다르기는 하지만 Morquio-B 질환에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Keratan sulfate가 β-갈락토시다아제의 또 다른 기질이라는 점은 GM1 강글리오시드증과 Morquio-B의 두 질환간에 생화학적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Chromogenic 혹은 fluorogenic과 같은 인위적인 기질을 사용하면 β-갈락토시다아제의 효소 결핍을 진단할 수 있다. 이 진단은 백혈구,섬유아세포와 같은 세포내에 존재하는 물질에서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때때로 이 활성이 혈청이나 혈장에서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β-갈락토시다아제가 결핍된 세포 주는 galactosialidosis롤 배제하기 위해서 뉴라민 분해효소 결핍을 선별검사 해야 한다.
치료
근본적 치료가 가능하지 않다.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시행한다.
참고문헌
2. 이동환 편저 고려의학 유전성 대사질환 626-628p
3.http://omim.org/entry/230500?search=GM1%20Gangliosidosis&highlight=%22gm1%20gangliosidosi%22%20gangliosidosis%20gm1%20gangliosidosi
4.http://omim.org/entry/230600?search=GM1%20Gangliosidosis&highlight=%22gm1%20gangliosidosi%22%20gangliosidosis%20gm1%20gangliosidosi
5.http://omim.org/entry/230650?search=GM1%20Gangliosidosis&highlight=%22gm1%20gangliosidosi%22%20gangliosidosis%20gm1%20gangliosidosi
전 세계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