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C3G 환자에게 질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노바티스(주)에서 제작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증상과 관련한 사항은 반드시 담당 의료진과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
(4) C3G의 진단과 검사 방법
환자의 초기 증상(단백뇨, 혈뇨, 고혈압, 신장 기능 저하)으로 C3G가 의심되면, 먼저 소변검사와 혈액검사를 시행합니다. 소변검사는 단백뇨와 혈뇨를 확인하고, 혈액검사에서는 보체 단백질(C3, C4) 수치와 신장·간기능, 전혈구 수치, 감염 여부를 함께 평가합니다.1,2
이후 C3G를 확진하기 위해서는 신장 생검이 필요합니다. 신장에서 얻은 조직을 면역형광염색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사구체 안에 C3 단백질이 뚜렷하게 침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1
추가로 보체 활성 검사, 자가항체 검사,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질환의 원인과 기전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검사를 바탕으로 다른 사구체 질환과 구별하고, 최종적으로 C3G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1
기존에 MPGN(막증식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되었던 환자들이, 최근 검사 및 분류 기준의 발전으로 C3G로 다시 진단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4
실제 연구에서는, 과거 MPGN으로 진단된 환자의 약 10명 중 4명이 병리학적 재검토 후 C3G로 재진단되었습니다. 예전에는 하나의 질환으로 묶였던 MPGN이 질환 원인에 따라 면역복합체형(IC-MPGN)과 보체 이상형(C3G)으로 분류되며, 이를 통해 더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 설정이 가능해졌습니다.4
참고 문헌
- Ahmad SB, et al. C3 Glomerulopathy: Pathogenesis and Treatment. Adv Chronic Kidney Dis. 2020;27(2):104–110.
- 질병관리청 > 국가건강정보포털 > 사구체질환.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6541 (Accessed at 20 Aug, 2025)
- Pickering M, et al. C3 glomerulopathy: consensus report. Kidney Int. 2013;84:1079–89.
- Kirpalani et al. Long-Term Outcomes of C3 Glomerulopathy and Immune-Complex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Kidney Int Rep. 2020;5(12):2313-2324.
- Martin B, Smith RJH. C3 Glomerulopathy. In GeneReviews® 1993–2022 [updated 2018]. Eds.
FA-11502025_2027Sep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