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5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 (Deletion of short arm of chromosome 5)은 염색체 질환의 일종으로, ‘고양이울음증후군’ 이라고도 합니다. 증상으로는 고양이 울음과 비슷한 특징적인 울음소리, 특이적인 얼굴 형태, 작은머리증 (microcephaly), 성장 지연, 발달지연, 중등도에서 중증의 지능저하 등이 있습니다. 15,000-50,000명당 한명의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아보다 여아에서 흔합니다.

원인

5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은 염색체 이상에 의한 질환입니다. 염색체는 우리 몸의 성장, 발달, 기능을 결정하고 조절하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구조물입니다. 염색체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각각의 세포에 들어있고, 단완 (p arm)과 장완 (q arm)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염색체의 단완이나 장완으로부터 일부분이 파열되어 소실되는 현상을 결손 (deletion)이라고 합니다. 결손이 일어날 경우, 결손이 일어난 부위에 해당하는 유전정보가 소실되어 우리 몸의 성장, 발달, 기능에 결함을 초래하게 됩니다. 결손의 크기와 결손이 발생하는 정확한 부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은 다를 수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5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은 유전질환이 아니며, 정자, 난자의 형성 과정이나 초기 태아 발달과정에서 발생한 염색체 결손이 원인입니다. 80-90%의 경우에는 정자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한 결손이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약 10-15%의 경우에서는 부모님 중 한분이 보인자일 경우 (염색체 이상을 갖고 있으나 유전정보의 과다 또는 소실이 없음) 자녀가 이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

5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은 증후군성 질환으로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며, 염색체 결손의 정확한 위치와 결손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고양이 울음과 비슷한 특징적인 울음소리, 발달지연, 중등도에서 중증의 지능저하를 나타냅니다. 특징적인 울음소리는 환자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완화되며, 발달지연이 있으나 만 5세 정도에는 혼자 옷을 입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생시에는 근긴장저하 (hypotonia)를 보이나, 성장하면서는 오히려 근육긴장항진 (hypertonia)을 보입니다. 출생시의 근긴장저하와 위식도역류 (gastroesophageal reflux)로 인해 섭취 곤란 (feeding difficulty)을 보이며, 흡인성 폐렴에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만 3.5세 정도에는 50%의 환자에서 혼자 숟가락을 이용한 식사가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수용 언어는 어느정도 발달하나, 발화 지연이 두드러집니다. 감각신경성 난청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과다행동이나 자해 성향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작은 머리둘레, 두눈먼거리증 (hypertelorism), 낮은 귀 위치 (low-set ears), 작은 턱, 둥근 얼굴 등의 특징적인 얼굴 형태를 보입니다.
15-20%에서는 선천성 심장기형이 동반되는데, 동맥관 개존증이 가장 흔합니다. 서혜부 탈장, 비뇨생식기계의 기형, 합지증 (syndactyly), 손가락옆굽음 (clinodactyly), 만곡족 (clubfoot), 후두의 기형, 입천장갈림증, 잠복고환, 요도하열 등 신체적인 기형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선천성 거대결장과의 연관성도 보고되어 있습니다.

근시, 백내장, 사시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흰머리가 빨리 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진단

5번 염색체 단완의 결손은 혈액을 채취하여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하여 진단합니다. 세포유전학적 검사에는 핵형분석, 형광 제자리 부합법 (FISH),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Array-CGH)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부모님도 함께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과 아이의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은 이후의 산전 유전상
담에도 도움이 됩니다.

동반된 기형을 확인하기 위해 골격계 X선 촬영, 심장초음파, 복부 초음파, 청력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5번 염색체 단완 결손의 완치법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환자가 나타내는 증상에 따라 언어치료, 운동치료 등을 시행하며, 높은 치료 효과를 위해 만 1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입천장갈림증, 심장기형, 만곡족 등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인 교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부모님이 향후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에는 세포유전학적 검사와 산전 유전상담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https://rarediseases.info.nih.gov/diseases/10842/chromosome-5p-deletion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cri-du-chat-syndrome/
Nguyen JM et al. 5p deletions: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directions. Am J Med Genet C Semin Med Genet. 2016;169(3):224-238.
https://ghr.nlm.nih.gov/condition/cri-du-chat-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