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팰리스터-킬리언 증후군은 12번 염색체의 단완 부위가 정상적인 1쌍이 아닌 비정상적인 2쌍이 되는 4염색체가 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모든 세포가 아닌 일부 세포에서 발생하는 모자이시즘(mosaicism)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 증후군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아직까지 정확한 유병률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경도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팰리스터-킬리언 증후군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단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팰리스터-킬리언 증후군의 임상 증상은 매우 다양한데, 영아기와 유아기 때 심한 근긴장저하, 지능저하, 특징적인 얼굴, 숱이 적은 모발, 피부변색 등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조직의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검사 및 구강 도말 세포에서의 염색체 검사 등의 방법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한다.

원인

 팰리스터-킬리언 증후군은 추가적으로 생성된 비정상적인 12번 단완의 동위염색체(isochromosome 12p)가  모자이시즘(mosaicism)의 형태로 발생하게 된다. 이 질환은 부모로부터 유전되지 않고 산발적으로 발생한다.

증상

 팰리스터-킬리언 증후군은 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발달장애 질환이다. 이 질환을 가지고 태어난 영아들은  심각한 근긴장 저하로 인해 호흡곤란과 섭식장애, 앉기, 서기, 및 걷기와 같은 행동발달 장애를 갖게 된다. 약 30%에서는 이후에 도움 없이 걸을 수가 없게 된다. 또한 중등도 이상의 지능 저하를 동반하게 되며, 언어발달 저하되어 있다.

팰리스터-킬리언 증후군은 특징적인 얼굴을 갖게 되는데, 높고 둥근 이마, 낮고 짧은 코, 양안 격리증, 낮은 귀, 둥근 볼, 얇은 윗입술과 큰 혀가 있는 넓은 입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에서는 구개열이 동반되기도 한다. 관자놀이 주변에 숱이 적은 모발을 갖는데, 나이가 듬에 따라 증상은 완화된다. 또한 많은 팔리스터-킬리안 증후군 환자에서 피부 변색(주변 피부색보다 어두워지거나 밝아짐)이 관찰되기도 한다.

이 증후군을 가진 일부 환자들에서 청력소실, 시력 손상, 간질성 발작, 추가적인 유두, 생식기 이상, 심장 기형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또한 다지증, 큰 엄지 발톱, 짧은 팔다리 등의 골격계 이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약 40%의 환자에서 횡격막 이탈(diaphragmatic hernia)를 보이며, 심한 경우 위와 장이 흉부 쪽으로 이동하여 심장과 폐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팰리스터-킬리언 증후군을 가진 환자(1-A, B/2-C, D)의 얼굴. 양안 격리증, 짧고 낮은 코, 얇은 윗입술과 아랫 입술의 외전, 및 아래로 쳐지며 튀어나온 볼등을 특징으로 함 

그림1) 팰리스터-킬리언 증후군을 가진 환자(1-A, B/2-C, D)의 얼굴. 양안 격리증, 짧고 낮은 코, 얇은 윗입술과 아랫 입술의 외전, 및 아래로 쳐지며 튀어나온 볼등을 특징으로 함.

(출처: Am J Med Genet A 2012;158A:3018-25. )

진단

1.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증상에 대한 검사

- 신체검사: 발달지연
- 신경학적 검사: 간질성 발작, 근긴장 저하
- 지능 및 정서-심리검사: 지능저하, 지적장애, 자폐증
- 안과/이비인후과 검사: 안과, 이비인후과적 이상 확인

2. 유전검사

- 고식적 핵형 분석: 일반적인 말초혈액 백혈구를 이용한 핵형분석으로는 진단이 되지 않으므로, 임상적인 인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질환이 의심될 경우 피부 조직을 채취하여 섬유아세포에서 추가적으로 염색체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에서는 섬유아세포 핵형분석에서 동위염색체가 30-100%정도 발견된다.

- 형광제자리부합법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12번 염색체에 특이적인 표지자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며, 구강 도말로 채취한 세포를 이용한 간기 형광제자리 부합법(interphase FISH)로 신속하게 예비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비교유전자교잡법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 구강 도말로 채취한 세포를 이용하여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실시하면 중복된 정도와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3. 산전 검사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횡격막 탈장, 양수과다, 태아수종(hydrops fetalis), 심장기형, 짧은 팔다리 등의 특징이 관찰될 경우 양수천자, 융모막 생검을 통해 염색체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할 수 있다.

4. 감별진단

- Trisomy 12p 증후군
- Fryns 증후군

치료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

참고문헌

1. http://www.orpha.net
2. http://ghr.nlm.nih.gov/condition/pallister-killian-mosaic-syndrome
3. http://www.rarechromo.org
4. http://omim.org/entry/601803
5. Kostanecka A, Close LB, Izumi K, Krantz ID, Pipan M.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Pallister-Killian syndrome. Am J Med Genet A 2012;158A:30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