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반달뼈의 골연골증(연소성)[킨뵉]
Osteochondrosis (juvenile) of carpal lunate [Kienbock]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2. 6. 7.
조회
192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미상, 반달뼈 혈액공급의 중단으로 인한 뼈괴사 (osteonecrosis)
증상
손목의 통증과 붓기, 손목 운동 범위의 제한, 뻣뻣함, 압통, 악력의 약화
관련 부위
체내 : 대장
체외 : 골격
진단과 치료
원인
증상, 신체 진찰, 손목관절의 영상검사 (X선, MRI, CT)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의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관련 질환
질환명
Kienbock's disease
기타
질병분류
(KCD 코드)
M92.2
산정 특례
질병코드
V299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손목 관절을 이루는 반달뼈의 괴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1910년 킨뵉이 처음으로 보고하였습니다. 반달뼈 괴사의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손목 관절의 통증, 움직임 제한 등이 나타나며, 주로 20-40세의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10년 킨뵉이 처음으로 보고하였습니다. 반달뼈 괴사의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손목 관절의 통증, 움직임 제한 등이 나타나며, 주로 20-40세의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 내부 요인
(1) 반달뼈의 혈액 공급
반달뼈는 손등과 손바닥으로 지나가는 여러 개의 혈관으로부터 혈액공급을 받도록 되어있습니다.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반달뼈로 가는 혈행에 문제가 생기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반달뼈의 물리적 요인
반달뼈의 모양에 따라 반달뼈에 작용하는 힘이 비정상적으로 적용되어 발생하기도 합니다.
2. 외부 요인
(1) 반복적인 외상
정확한 기전이나 발표 자료는 없지만 킨뵉병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서 잦은 손목 외상이 있었다고 합니다.
(2) 자뼈(척골), 노뼈(요골) 형태의 변화
손목을 이루는 반달뼈 주변 뼈들의 변화로 인해 반달뼈에 과한 압력이 가해져 발생합니다.
1. 내부 요인
(1) 반달뼈의 혈액 공급
반달뼈는 손등과 손바닥으로 지나가는 여러 개의 혈관으로부터 혈액공급을 받도록 되어있습니다.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반달뼈로 가는 혈행에 문제가 생기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반달뼈의 물리적 요인
반달뼈의 모양에 따라 반달뼈에 작용하는 힘이 비정상적으로 적용되어 발생하기도 합니다.
2. 외부 요인
(1) 반복적인 외상
정확한 기전이나 발표 자료는 없지만 킨뵉병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서 잦은 손목 외상이 있었다고 합니다.
(2) 자뼈(척골), 노뼈(요골) 형태의 변화
손목을 이루는 반달뼈 주변 뼈들의 변화로 인해 반달뼈에 과한 압력이 가해져 발생합니다.
증상
손목의 통증과 붓기, 손목 움직임의 제한, 뻣뻣함, 악력의 약화, 압통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진단
증상과 신체 진찰, 손목 관절의 영상검사 (X선, MRI, CT)로 진단합니다. 천천히 진행하는 질환으로, 관절 변형은 증상 시작 후 수년이 지난 후부터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손목의 염좌 (삠, sprain)와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영상검사 소견을 바탕으로 1기~4기로 구분합니다. (Lichtman Classification)
● 1기: 손목 X선 검사는 정상으로 보이나 MRI 상 반달뼈 강도 변화가 보입니다.
● 2기: 골절선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으며 반달뼈의 경화 (sclerosis)가 보이나 반달뼈 모양은 정상입니다.
● 3기: 반달뼈의 함몰이 생기고 조각으로 떨어져 보입니다.
3A : 유두골이 손목쪽으로 이동합니다.
3B : 유두골의 손목쪽 이동과 함께 주상골의 굴곡변형이 함께 관찰됩니다.
● 4기 : 3기 + 노뼈-완골 또는 중간 완골의 관절염 소견이 보입니다.
초기에는 손목의 염좌 (삠, sprain)와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영상검사 소견을 바탕으로 1기~4기로 구분합니다. (Lichtman Classification)
● 1기: 손목 X선 검사는 정상으로 보이나 MRI 상 반달뼈 강도 변화가 보입니다.
● 2기: 골절선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으며 반달뼈의 경화 (sclerosis)가 보이나 반달뼈 모양은 정상입니다.
● 3기: 반달뼈의 함몰이 생기고 조각으로 떨어져 보입니다.
3A : 유두골이 손목쪽으로 이동합니다.
3B : 유두골의 손목쪽 이동과 함께 주상골의 굴곡변형이 함께 관찰됩니다.
● 4기 : 3기 + 노뼈-완골 또는 중간 완골의 관절염 소견이 보입니다.
치료
완치법은 현재까지 없으며,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습니다. 반달뼈 주변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혈액 공급을 재건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입니다. 또한 진단 시 리트만 분류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됩니다.
1. 비수술적 치료:
- 약물 치료 : 질병의 초기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 통증과 붓기 감소
- 고정 : 2-3주 정도 부목이나 석고붕대로 고정 > 손목관절 고정하여 반달뼈 주변의 압력 감소
- 물리치료
2. 수술적 치료: 질병의 진행 정도, 평소 손목의 사용 강도, 환자의 기대 수준 등에 따라 수술적 치료 방법이 결정됩니다.
혈관 재건술, 관절 높이 조정술 (joint leveling), 근위열 수근골 절제술, 수근관절 유합술 , 반달뼈 제거술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1. 비수술적 치료:
- 약물 치료 : 질병의 초기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 통증과 붓기 감소
- 고정 : 2-3주 정도 부목이나 석고붕대로 고정 > 손목관절 고정하여 반달뼈 주변의 압력 감소
- 물리치료
2. 수술적 치료: 질병의 진행 정도, 평소 손목의 사용 강도, 환자의 기대 수준 등에 따라 수술적 치료 방법이 결정됩니다.
혈관 재건술, 관절 높이 조정술 (joint leveling), 근위열 수근골 절제술, 수근관절 유합술 , 반달뼈 제거술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문헌
Ansari MT, Chouhan D, Gupta V, et al. Kienbock’s disease: Where do we stand? J Clin Orthop Trauma. 2020(11): 606-613.
Brian. J.M. & Harris. G. (2019). Kienbock disease. Retrieved Septmeber 27, 2019, from http://emedicine.medscape.c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30685/?term=kienbock%20disease
https://orthoinfo.aaos.org/en/diseases—conditions/kienbocks-disease/
https://rarediseases.info.nih.gov/diseases/9690/kienbocks-disease
https://www.assh.org/handcare/condition/kienbocks-disease
Brian. J.M. & Harris. G. (2019). Kienbock disease. Retrieved Septmeber 27, 2019, from http://emedicine.medscape.c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30685/?term=kienbock%20disease
https://orthoinfo.aaos.org/en/diseases—conditions/kienbocks-disease/
https://rarediseases.info.nih.gov/diseases/9690/kienbocks-disease
https://www.assh.org/handcare/condition/kienbocks-disease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