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CTNNB1 관련 장애는 드문 유전질환으로 발달지연 및 지적장애가 동반된 환자에서 2012년 처음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뇌의 발달과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TNNB1 유전자의 기능 소실에 의해 발달지연 및 지적장애가 초래되고, 몸통 저긴장 혹은 강직, 소두증, 사시나 시각 이상, 얼굴 생김새 이상 등이 동반되는 질환입니다. 

원인

CTNNB1 유전자의 돌연변이 또는 해당 유전자 부위의 결손이 원인입니다. 상염색체 우성 유전 형태를 보이며, 일반적으로 부모로부터 유전되지 않고 새로운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증상

대부분 소두증을 보이며, 출생 시 저긴장증, 운동 발달 지연, 일부에서 섭식 장애를 보이며, 생후 1년 동안 하지 근육 긴장도의 증가나 강직 소견을 보이고 대다수는 걸을 때 보조기구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절반 정도에서 심한 언어 장애를 보이며, 학습 장애/지적 장애, 행동장애, 자폐성 행동,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ADHD)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근시, 원시, 사시 등의 안과적 이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넓은 코끝, 얇은 윗입술을 포함한 얼굴 생김새 이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중증소견
하지 근육 긴장도의 증가 및 강직이 진행하여 척추측만증, 발 변형 등을 초래할 수 있고, 일부에서는 걷지 못하여 휠체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성인기에 독립적으로 생활하기가 어렵고, 소수에서는 일부 습득한 기술에서의 퇴행을 보일 수 있습니다.

진단

다른 원인이 확인되지 않은 발달지연, 지적장애, 뇌성마비 등의 환자에서 CTNNB1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해당 유전자 부위의 결손을 확인하여 진단합니다.

치료

증상에 대한 대증적 치료가 주가 됩니다. 발달, 행동, 강직과 관련한 합병증 발생 여부에 대한 추적이 필요하며, 재활 치료, 정형외과적 보조 신발, 교정기, 작업, 행동, 언어 치료 및 주기적인 시력 평가가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1. Kuechler A, Willemsen MH, Albrecht B, et al. De novo mutations in betacatenin (CTNNB1) appear to be a frequent cause of intellectual disability: expanding the mutational and clinical spectrum. Hum Genet 2015;134:97–109.
2. Dubruc E, Putoux A, Labalme A, et al. A new intellectual disability syndrome caused by CTNNB1 haploinsufficiency. Am J Med Genet A 2014;164A:1571–5.
3. de Ligt J, Willemsen MH, van Bon BW, et al. Diagnostic exome sequencing in person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N Engl J Med 2012;367:1921–9.
4. CTNNB1 Syndrome Awareness Worldwide (CSAW). CTNNB1.org. [Internet]. CTNNB1.org. [cited 2021 Dec 22] Available from:https://www.ctnnb1.org/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