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
Klippel-Trénaunay-Weber syndrome
조회
176
질병관리청 제공
- 이 정보의 저작권은 질병관리청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진단이나 처방 등 의학적인 판단과 결정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원인과 증상
원인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음 , 염색체 이상과 관련 유전자의 변이
증상
피하 혈관종, 정맥류성 정맥, 사지의 편측 비대
관련 부위
체내 : 대장, 생식기, 소장, 신장, 심장, 폐, 혈관(혈액)
체외 : 골격, 척추, 피부
진단과 치료
진단
특징적인 임상 양상 , 칼라 duplex 초음파 , 동맥조영술
치료
보존적 요법 , 수술요법 , 경화요법 , 레이저 치료 , 혈관 색전술
관련 질환
Parkes Weber 증후군(Parkes Weber syndrome)
Klippei-Trenaunay 증후군(Klippei-Trenaunay syndrome)
Kasabach-Merritt 증후군(Kasabach-Merritt syndrome)
혈관 골 비후 증후군(angioosteohypertrophy syndrome)
피하 모세혈관 기형(cutaneous capillary malformation)
선천성 혈관성 반점(congenital vascular nevus)
모세혈관종(capillary hemangioma)
포트 와인 혈관종(port-wine stain)
기타
질병분류기호
(KCD 코드)
Q87.2
산정특례코드
V243
의료비 지원
가능
유익한 정보였나요?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
👋 잠깐, 제약사 관계자 이신가요?
🔍 제약사를 위한 모든 솔루션이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