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
Klippel-Trénaunay-Weber syndrome
질병관리청
2020. 1. 1.
레어노트 등록일
2023. 9. 19.
조회
182
본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 보건 증진과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 기관입니다.
원인과 증상
원인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음 , 염색체 이상과 관련 유전자의 변이
증상
피하 혈관종, 정맥류성 정맥, 사지의 편측 비대
관련 부위
체내 : 대장, 생식기, 소장, 신장, 심장, 폐, 혈관(혈액)
체외 : 골격, 척추, 피부
진단과 치료
원인
특징적인 임상 양상 , 칼라 duplex 초음파 , 동맥조영술
치료
보존적 요법 , 수술요법 , 경화요법 , 레이저 치료 , 혈관 색전술
관련 질환
질환명
Parkes Weber 증후군(Parkes Weber syndrome)
Klippei-Trenaunay 증후군(Klippei-Trenaunay syndrome)
Kasabach-Merritt 증후군(Kasabach-Merritt syndrome)
혈관 골 비후 증후군(angioosteohypertrophy syndrome)
피하 모세혈관 기형(cutaneous capillary malformation)
선천성 혈관성 반점(congenital vascular nevus)
모세혈관종(capillary hemangioma)
포트 와인 혈관종(port-wine stain)
기타
질병분류
(KCD 코드)
Q87.2
산정 특례
질병코드
V243
의료비 지원
가능
개요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 (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은 포도주색반점 (port-wine stain), 비대칭적인 사지의 비대, 정맥 기형의 세 가지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이 병은 1900년 Klippel과 Trenaunay가 처음으로 기술하였고, 이후 Parkes-Weber가 동정맥류를 동반하는 유사한 예를 별도로 기술하여 서로 다른 질환으로 분리명명하다가 결국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으로 통일하였다.
유전자 돌연변이로 세포분열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이 원인으로, 성별과 인종에 따른 발생빈도는 차이가 없으며, 10만명당 1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하나 일부에서 단일 유전자 결손 혹은 불규칙한 상염색체우성 유전 형식을 보고하였다.
유전자 돌연변이로 세포분열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이 원인으로, 성별과 인종에 따른 발생빈도는 차이가 없으며, 10만명당 1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하나 일부에서 단일 유전자 결손 혹은 불규칙한 상염색체우성 유전 형식을 보고하였다.
원인
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세포입니다. 각각의 세포는 성장하고, 분열/증식 하고,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인체의 여러 기관을 이루어서 기능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과정은 ‘신호전달물질’이라는 체내의 물질에 의해 조절됩니다. ‘신호전달물질’에 이상이 생길 경우, 세포의 성장, 분열/증식, 이동의 조절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은 ‘PIK3CA’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p110alpha’라는 신호전달물질에 이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뼈, 연조직, 혈관 세포의 증식이 조절되지 못하여서 발생합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서 PIK3CA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는 것은 아니며,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다른 유전자 이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은 유전 질환이 아닙니다. 수정 이후에 세포분열 과정에서 원시세포가 혈관, 림프관, 지방, 뼈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질병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환자의 부모님이 새로 자녀를 갖게 되었을 때 증후군에 이환될 확률은 매우 낮으며, 환자가 자녀를 갖게 될 경우에도 유전되지 않습니다.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은 ‘PIK3CA’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p110alpha’라는 신호전달물질에 이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뼈, 연조직, 혈관 세포의 증식이 조절되지 못하여서 발생합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서 PIK3CA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는 것은 아니며,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다른 유전자 이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은 유전 질환이 아닙니다. 수정 이후에 세포분열 과정에서 원시세포가 혈관, 림프관, 지방, 뼈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질병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환자의 부모님이 새로 자녀를 갖게 되었을 때 증후군에 이환될 확률은 매우 낮으며, 환자가 자녀를 갖게 될 경우에도 유전되지 않습니다.
증상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은 피하혈관종, 정맥류성 정맥, 사지의 편측비대를 세가지 특징으로 합니다.
• 피하혈관종
환자는 출생시부터 팔다리 중 일부에 포도주색반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반점은 옅어지거나 짙어질 수 있습니다. 포도주색반점 부위에 작고 붉은 물집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물집이 터지면 출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정맥류성 정맥
정맥 기형은 사지 표면의 정맥류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허벅지 바깥쪽이나 종아리 표면에 붓고 꼬인 정맥이 두드러지면서 통증을 유발합니다. 더 깊은 곳에 위치한 정맥에도 정맥 기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혈액이 저류되어 심부정맥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폐색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 사지의 편측비대
영아기때부터 뼈와 주변의 연조직이 과성장이 특징적으로 관찰됩니다. 사지 중 한 곳이 과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한쪽 다리가 과성장하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과성장으로 인해 통증, 무거운 느낌, 운동 감소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양쪽 다리의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걸음걸이에 영향을 줍니다.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의 다른 증상으로는, 림프부종과 혈관으로부터의 출혈로 인해 연조직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부이외에 여러 장기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Kasabach-Meritt 증후군, 울혈성 심부전, 직장 및 결장 혈관종에 의한 장출혈, 회음부 혈관종에 의한 질출혈, 방광 및 비뇨기계 혈관 이상에 의한 혈뇨, 통증, 피부 궤양, 괴사, 봉와직염, 혈관내 응고장애, 정신 지체의 증상도 올 수 있습니다. 흔한 증상은 아니지만, 다량의 장출혈이 일어나기도 하며, 소뇌교각부의 정맥기형으로 인해 감각신경성 난청이 오기도 합니다. 드물지만 합지증 (syndactyly)이나 다지증 (polydactyly)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
진단은 임상 양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사지의 길이와 둘레에 차이가 있는 지를 측정합니다. 혈관의 기형이나 정맥류의 존재 및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상의학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초음파 검사를 하면 피부 혹은 피하의 초음파 투과성 병변과 사지의 비후가 관찰됩니다.
특히 칼라 도플러 초음파는 1세 이상의 환자에서 안전하게 실시할 수 검사로써 믿을 수 있는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 추천됩니다. 기형 혈관의 혈류 속도, 혈류량, 동반된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표재 정맥의 역류, 심부 정맥계의 이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캔촬영(scanogram)은 양쪽 사지의 길이 차이가 1.5 cm를 넘을 경우 골단유합술(epiphysiodesis)의 시기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합니다.
MRI 검사는 정맥 기형 병변의 범위와 침습 정도, 림프계 이상, 주변 조직과의 관계를 더 확실히 알 수 있으므로 심부에 위치한 정맥의 상태를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 동맥조영술은 주로 척추 혹은 뇌 침범이 의심되는 경우에 실시하며 정맥조영술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산전초음파가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초음파 검사는 질환의 내부로의 침범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손과 발의 침범 정도가 심부 정맥 혈관의 형성이상을 예측하게 해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혈관에 발생하는 다른 종류의 종양 등과 감별하기 위해서 조직검사,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를 하면 피부 혹은 피하의 초음파 투과성 병변과 사지의 비후가 관찰됩니다.
특히 칼라 도플러 초음파는 1세 이상의 환자에서 안전하게 실시할 수 검사로써 믿을 수 있는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 추천됩니다. 기형 혈관의 혈류 속도, 혈류량, 동반된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표재 정맥의 역류, 심부 정맥계의 이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캔촬영(scanogram)은 양쪽 사지의 길이 차이가 1.5 cm를 넘을 경우 골단유합술(epiphysiodesis)의 시기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합니다.
MRI 검사는 정맥 기형 병변의 범위와 침습 정도, 림프계 이상, 주변 조직과의 관계를 더 확실히 알 수 있으므로 심부에 위치한 정맥의 상태를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 동맥조영술은 주로 척추 혹은 뇌 침범이 의심되는 경우에 실시하며 정맥조영술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산전초음파가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초음파 검사는 질환의 내부로의 침범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손과 발의 침범 정도가 심부 정맥 혈관의 형성이상을 예측하게 해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혈관에 발생하는 다른 종류의 종양 등과 감별하기 위해서 조직검사,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의 치료로는 보존적 요법, 수술요법, 경화요법이 있습니다. 때에 따라 레이저 치료나 혈관 색전술도 사용합니다.
○ 보존적 요법 : 대부분의 경우에는 사지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여 봉와직염과 같은 염증을 예방하고 하지를 높여주는 자세를 취해줍니다.
이를 통해 하지의 정맥압 상승 및 정맥류의 증가를 막도록 노력하면서 보존적 방법을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압박 스타킹이나 탄력 압박 붕대를 착용하면 대부분의 환자에서 좋은 경과를 볼 수 있습니다.
양쪽 다리 길이가 달라서 걷기 어려운 경우에는 맞춤 신발이나 깔창이 도움이 됩니다.
성장판유합술 (epiphysiodesis)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레이저 치료 : 키 성장이 끝난 사춘기 이후에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수술적 요법 : 혈관 기형이나 정맥류의 치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피하 정맥류로부터 대량의 출혈, 치유되지 않는 정맥성 궤양, 이상 성장, 정맥류염으로 인한 심한 통증과 부종, 반복되는 정맥 혈전, 크기가 큰 혈관종의 혈전 형성 등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 경화요법 : 국소적 정맥 기형 중에서 주위장기까지 광범위하게 침범된 경우에 경화요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약제는 polidicanol이나 sodium tetradecyl sulfate를 사용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여러번 병변이 있는 혈관에 주사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ethanolamine, ethyl alcohol 이 사용됩니다.
○ 보존적 요법 : 대부분의 경우에는 사지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여 봉와직염과 같은 염증을 예방하고 하지를 높여주는 자세를 취해줍니다.
이를 통해 하지의 정맥압 상승 및 정맥류의 증가를 막도록 노력하면서 보존적 방법을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압박 스타킹이나 탄력 압박 붕대를 착용하면 대부분의 환자에서 좋은 경과를 볼 수 있습니다.
양쪽 다리 길이가 달라서 걷기 어려운 경우에는 맞춤 신발이나 깔창이 도움이 됩니다.
성장판유합술 (epiphysiodesis)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레이저 치료 : 키 성장이 끝난 사춘기 이후에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수술적 요법 : 혈관 기형이나 정맥류의 치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피하 정맥류로부터 대량의 출혈, 치유되지 않는 정맥성 궤양, 이상 성장, 정맥류염으로 인한 심한 통증과 부종, 반복되는 정맥 혈전, 크기가 큰 혈관종의 혈전 형성 등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 경화요법 : 국소적 정맥 기형 중에서 주위장기까지 광범위하게 침범된 경우에 경화요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약제는 polidicanol이나 sodium tetradecyl sulfate를 사용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여러번 병변이 있는 혈관에 주사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ethanolamine, ethyl alcohol 이 사용됩니다.
참고문헌
암 · 희귀질환과 관련된
전 세계 정보,
전 세계 정보,
레어노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를 촬영하면
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