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섬유종증 1형 증상과 치료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시리즈의 다른 글도 놓치지 마세요!

*이 자료는 신경섬유종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본 정보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체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의약품과 관련한 사항은 반드시 보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 주십시오.

신경섬유종증 1형의 증상에는 섬유종 외에도 뇌종양의 일종인 시신경 교종, 뼈 이상으로 인한 골형성 장애, 호르몬 이상으로 인한 내분비 장애 등이 있어요.[1] 각각 어떤 증상인지, 어떤 치료를 할 수 있는지 살펴볼게요. 

이 글에서 소개하는 내용
1. 시신경 교종의 개념과 치료 방법
2. 골형성 장애의 개념과 치료 방법
3. 내분비 장애의 개념과 치료 방법

시신경 교종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약 20%는 뇌 또는 척수와 같은 중추 신경계에 종양이 생길 수 있고, 이러한 종양은 주로 소아기에 발견돼요.[3]
성인과는 달리, 소아의 종양은 대부분 성장과 전이 속도가 느린 저등급 신경 교종Low-grade glioma이에요.[5]

출처: Campian, J. and D.H. Gutmann, 2017 [4]

저등급 신경 교종은 뇌의 어떤 부분에서든 생길 수 있지만, 신경 교종 중 약 3분의 2는 시신경 경로에서 발견되는 시신경 교종Optic glioma에 해당돼요.[5]
시신경 교종은 7세 미만의 아동에서 발견되며,[4] 특히 평균 연령 3~6세 미만인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15~20%에서 발생할 수 있어요.[2, 6] 
2세 미만 또는 8~10세 이후에 발생한 종양은 2~8세에 발생한 종양보다 성장 속도가 더 빠르거나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요.[5]

특징

1. 시력 저하

시신경 교종이 있는 소아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약 30~50%는 시력 저하를 경험할 수 있어요.[4, 5]
시신경 교종을 가진 여자아이는 남자아이보다 시력 저하 가능성이 더 높으며,[5] 나이가 어리고 종양이 시각로*나 시방선*과 연관될수록 시력 손실의 위험이 증가해요.[4]
따라서 10세 미만의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는 최소 18세까지 연령에 맞는 정기적인 시력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돼요.[5]

시각로 Optic tract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경로의 일부예요.[17]
시방선 Optic radiation
시각로와 마찬가지로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경로의 일부이면서 받아들인 시각 정보를 일차 시각 피질로 보내요.[17]

2. 인지적 문제

소아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60% 이상은 학습 장애, 주의 및 행동 지연이 동반될 수 있어요. 또한, 뇌종양이나 시신경 교종이 있는 소아 환자는 지능 지수가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요.
이 외에도 사회적 위축, 불안과 같은 정서적 증상이나 반항적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2]

치료

*이 내용은 신경섬유종증 1형과 관련된 시신경 교종의 일반적인 치료 방법을 간략히 소개한 것으로, 환자마다 질환의 특성이 다를 수 있으니 궁금한 사항은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본 정보는 의료진의 진료 및 진단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출처: Colorectal cancer canada [20]

1. 수술 및 방사선 치료

신경섬유종증 1형과 관련된 시신경 교종은 종양의 위치 특성상 수술로 제거하거나 방사선 치료를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3]
특히 방사선 치료는 신경 교종이나 악성말초신경초종과 같은 이차 종양 또는 신경 인지 후유증을 유발할 위험이 있어 소아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에게는 권장되지 않아요.[3]

2. 치료 약제

신경섬유종증 1형과 관련된 시신경 교종은 진행 속도가 느리고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어 시각 장애의 우려가 없다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요. 그러나 유전적 요인과 관련 없이 발생하는 산발성 시신경 교종은 신경섬유종증 1형과 관련된 시신경 교종에 비해 시력 손실의 위험이 큰 편이에요.[6]
진행성 시신경 교종의 경우, 수술은 신경이나 내분비 기능을 손상할 위험이 있어 초기 치료로는 화학 요법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아요. 화학 요법은 비교적 높은 반응률을 보이며 방사선 치료의 필요성을 지연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생존율을 유지하면서 신경 인지 기능의 악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어요.[6]
그러나 초기 화학 요법을 받는 동안이나 이후에 40~60%의 환자에서 시신경 교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때는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6]

진행성 시신경 교종에 대한 초기 치료로는 주로 카보플라틴Carboplatin 기반의 화학 요법이 시행돼요. 진행성 시신경 교종에 대한 화학 요법은 시각 기능에 대한 임상적 효과에 중점을 둬야 하는데, 현재 1차 치료법으로 권고된 카보플라틴과 빈크리스틴Vincristine 조합 치료는 절반 이상의 환자에게서 시각 기능의 안정 또는 개선을 입증한 바 있어요. 그러나 결과는 다양하며, 표준화된 결과 측정 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6]
대체 요법으로 네 가지 약물(티오구아닌Thioguanin, 프로카바진Procarbazine, 로무스틴Lomustine, 빈크리스틴)을 병용하는 TPCV 요법이 고려될 수 있고, 빈블라스틴Vinblastine 단독 요법도 보편적으로 사용돼요.[6]
또한, 최근 진행성 시신경 교종과 난치성 시신경 교종에 긍정적인 결과와 낮은 독성을 보인 빈오렐빈Vinorelbine 또는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의 단독 요법이 시행되기도 하며, 시스플라틴Cisplatin과 에토포시드Etoposide의 조합도 선택지에 포함돼요. 그러나 테모졸로마이드는 방사선 치료와 병행했을 때 이차성 백혈병이 발생한 사례가 있으므로 종양이 발생하기 쉬운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는 조심해야 해요. 에토포시드 역시 이차성 백혈병을 일으킬 위험이 있고, 시스플라틴은 귀 독성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6]

최근에는 종양의 성장과 관련된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를 억제하는 베바시주맙Bevacizumab이나 베바시주맙과 빈블라스틴 조합과 같은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MEK 억제제인 셀루메티닙Selumetinib, 레파메티닙Refametinib, 트라메티닙Trametinib, 코비메티닙Cobimetinib, 그리고 mTOR 억제제인 에베로리무스Everolumus 등 다양한 종양의 성장과 관련된 분자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어요.[6]

골형성 장애

출처: MedlinePlus [15]

골형성 장애Osteogenesis imperfecta는 주로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가 어릴 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척추측만증Scoliosis, 거짓관절증Pseudoarthrosis, 저신장증Short stature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7]
골형성 장애의 원인은 낮은 골밀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골밀도 검사상 소아 또는 청소년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요추(허리뼈) 골밀도가 유의미하게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요.[7]
그러나 골밀도 검사는 주로 성인 골다공증 진단에 사용되며, 작은 뼈의 밀도를 과소평가하고 큰 뼈의 밀도를 과대평가하는 한계가 있어요. 따라서 골밀도 검사와 함께 조직 검사를 통해 뼈조직을 자세히 살펴봐야 해요.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뼈조직에서는 해면골의 골밀도가 낮아져 뼈 구조에 미세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요.[7]

치료

*이 내용은 골형성 장애의 일반적인 치료 방법을 간략히 소개한 것으로, 환자마다 질환의 특성이 다를 수 있으니 궁금한 사항은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본 정보는 의료진의 진료 및 진단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1. 대증 요법

현재로서는 골형성 장애를 완전히 치료하는 방법이 없어요. 따라서 심한 기형이나 골절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가 최대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에요.[8] 
이를 위해 골밀도를 높이고 골절을 예방하는 보조제를 사용하거나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물리 치료, 약물 치료와 함께 보조기나 부목 등을 사용할 수 있어요. 척추측만증과 같이 뼈가 심하게 휘어진 경우에는 수술도 고려할 수 있어요.[8, 9]

2. 치료 약제

골형성 장애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s라는 약제가 사용돼요. 이 약제는 뼈에 결합해 파골세포의 성숙을 지연시켜 뼈조직의 흡수를 억제하고, 조골세포를 유도해 파골세포가 분해한 뼈조직의 빈자리에 새로운 뼈조직을 만들도록 도와요. 이를 통해 골밀도를 높여 골절을 예방할 수 있어요.[9]
비스포스포네이트에는 질소가 포함된 것과 포함되지 않은 것이 있어요. 질소가 포함되지 않은 약제가 더 많이 사용되며, 파골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가 있어요. 만약 환자의 골밀도가 너무 낮다면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정맥 주사로 투여하기도 하는데,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신중히 판단해야 해요.[9] 
또 다른 치료 약제인 데노수맙Denosumab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달리, 뼈에 결합하지 않고 파골세포의 형성을 억제해 골밀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요. 효과가 오래가고 혈압과 관련된 부작용이 적은 편이지만, 다른 부작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해요.[9]

내분비 장애

출처: MedlinePlus [17]

신경섬유종증 1형과 내분비 장애는 이전부터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왔는데요.[10] 내분비 장애의 주요 원인은 NF1 유전자 변이로 인한 뉴로파이브로민Neurofibromin 의 기능 이상이에요.
뉴로파이브로민은 세포의 성장과 분화, 신호 전달, 호르몬 조절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따라서 이러한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전반적인 내분비계 균형이 깨져 여러 질환이 나타날 수 있어요.[11]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에서 가장 흔한 내분비 장애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성장호르몬 과다증, 저신장증, 성조숙증 등이에요. 이 외에도 여성형 유방, 간뇌 증후군과 같은 내분비 장애나 갈색세포종과 같은 내분비계 종양이 생길 수도 있어요.[10, 11]

저신장증과 대두증

저신장증Short stature과 대두증Macrocephaly은 소아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임상적 특징으로 알려진 내분비 장애예요.[11] 
저신장증은 아버지가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일 경우 나타날 확률이 높으며, 어머니와의 유전적 연관성은 낮아요. 이는 저신장증 관련 유전자 변이가 주로 아버지로부터 유전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돼요.[12] 
한편, 저신장증은 여러 성장 호르몬의 결핍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는데요. 건강한 소아와 소아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성장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키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어요.[11] 
또한 신경섬유종증 1형이 있는 남자아이는 청소년기부터 머리둘레가 급격히 증가해 머리둘레와 신장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HCHRHead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수치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기도 했어요. 신경섬유종증 1형의 7가지 진단 기준을 고려했을 때, HCHR 수치의 상승은 카페오레 반점 다음으로 흔한 신경섬유종증 1형의 증상이라는 보고도 있어요.[11]

성조숙증

신경섬유종증 1형이 있는 여자아이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성조숙증Idiopathic precocious puberty이 동반되기도 해요.[10, 11]
8세 이전에 유방이 발달하는 경우, 9세 이전에 음모가 발달하는 경우, 9.5세 이전에 초경이 시작하는 경우에는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어요.[14] 
남자아이는 중추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성조숙증이 흔하며, 9세 이전에 고환 부피가 4mL 이상이거나 지름이 2.5cm라면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어요.[13] 
그러나 이러한 신체적 변화만으로는 성조숙증을 판단하기 어려워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하며, 과거력 조사, 뼈 나이 검사, 호르몬 검사 등을 시행해야 해요.[13]

치료

*이 내용은 내분비 장애의 일반적인 치료 방법을 간략히 소개한 것으로, 환자마다 질환의 특성이 다를 수 있으니 궁금한 사항은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본 정보는 의료진의 진료 및 진단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1. 성장호르몬 대체 요법

소아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는 평균보다 키가 작지만, 사춘기는 오히려 1년 정도 더 빨리 시작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성장호르몬 대체 요법을 통해 평균과 비슷한 성장 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요.[11]
한편, 성장호르몬 결핍은 뇌종양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나 호르몬 치료와 뇌종양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 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의 뇌종양 발생 비율에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해요. 따라서 호르몬 치료는 뇌종양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여요.[11]

2.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작용제

성조숙증을 억제하기 위해 가장 많이 쓰이는 약물은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GnRH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작용제예요. GnRH 작용제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GnRH 수용체에 결합해 생식샘자극호르몬과 성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해요.[13]
다양한 제형의 GnRH 작용제가 있지만, 주로 장기간 효과가 지속되는 데포Depot 주사형 제제가 사용돼요. 우리나라에서는 류프로라이드 아세테이트Leuprolide acetate와 트립토렐린 아세테이트Triptorelin acetate가 주로 사용되고 있어요.[13]
투여 시 주사 부위에 국소적인 통증과 염증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전신에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해요. 그러나 회복되지 않는 장기적인 부작용은 드물며, 일부 부작용은 투여를 중단하면 대체로 정상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13]

생식샘자극호르몬 Gonadotropic hormone
생식샘에 작용해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이에요.[19]

레어노트와 함께하는

신경섬유종증 1형 인식 개선 캠페인

주변에도 알려 주기

참고 문헌
  1. Santoro, Claudia et al., Pretreatment Endocrine Disorders Due to Optic Pathway Gliomas in Pediatric Neurofibromatosis Type 1: Multicenter Study.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 105,6 (2020): dgaa138.
  2. Taddei, M., et al., Brain tumors in NF1 children: influence on neuro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 Cancers, 2019. 11(11): p. 1772.
  3. Thomas, S., et al., Systematic Review of Pediatric Brain Tumors in Neurofibromatosis Type 1: Status of Gene Therapy. Cureus, 2022. 14(8).
  4. Campian, J. and D.H. Gutmann, CNS tumors in neurofibr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7. 35(21): p. 2378.
  5. Campen, C.J. and D.H. Gutmann, Optic pathway gliomas in neurofibromatosis type 1. Journal of child neurology, 2018. 33(1): p. 73-81.
  6. Park, M., Recent Update in Pharmacological Agents for Optic Pathway Glioma.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2022. 10(2), 101-107.
  7. Brunetti-Pierri, N., et al., Generalized metabolic bone diseas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Molecular genetics and metabolism, 2008. 94(1): p. 105-111.
  8. Care, S.H. Health Care Medicine Health Care. Conditions & Treatment 2023  [cited 2023 31 July]; Available from: https://stanfordhealthcare.org/directory/directory.html/osteogenesis%20imperfecta#x1=sp_type&q1=%20&page=1.
  9. Botor, M., et al., Osteogenesis imperfecta: Current and prospective therapies. Biomolecules, 2021. 11(10): p. 1493.
  10. Mehta, S., & Palliyil Gopi, R., Endocrine Conditions in Neurofibromatosis 1. IntechOpen. 2022. doi: 10.5772/intechopen.100371
  11. Bizzarri, C. and G. Bottaro, Endocrine implications of neurofibromatosis 1 in childhood. Hormone Research in Paediatrics, 2015. 83(4): p. 232-241.
  12. Carmi, D., et al., Growth, puberty, and endocrine functions in patients with sporadic or familial neurofibromatosis type 1: a longitudinal study. Pediatrics, 1999. 103(6): p. 1257-1262.
  13. Shim, K.S. and J.T. Kim, Therapy for idiopathic precocious puberty i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 54(9): p. 953-956.
  14. 이기형 외 9명, 성조숙증 진료지침 2011. 2011,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성조숙증 진료지침위원회. [cited 2023 01 August]; Available from: https://www.kspendo.or.kr/file/main/treatment_20120420.pdf
  15. MedlinePlus. Osteogenesis imperfecta, [cited 2023 23 Nov];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osteogenesis-imperfecta/
  16. Mehra D, Moshirfar M. Neuroanatomy, Optic Tract. Updated 2023 24 Jul. In: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3 Jan-. [cited 2023 07 Nov];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49840/
  17. MedlinePlus. Endocrine System. [cited 2023 07 Nov];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endocrinesystem.html
  18. Campbell M, Jialal I. Physiology, Endocrine Hormones. Updated 2022 26 Sep. In: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3 Jan-. [cited 2023 07 Nov];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8498/
  1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생식샘자극호르몬. 2018 [cited 2023 07 Nov]; Available from: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20. Colorectal cancer canada. Impact of tumour vaccine on increasing anti-cancer response. [cited 2023 07 Nov]; Available from: https://www.colorectalcancercanada.com/impact-of-tumour-vaccine-on-increasing-anti-cancer-response/

 

KR‒14617 l Exp.2025‒11 (Prep.20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