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은 1966년 프랑스 마르세유의 앙리 가스토 박사에 의해 처음 기술된 심각한 형태의 소아 간질입니다.[1] 미국 보스턴의 윌리엄 G. 레녹스 박사가 이 상태의 특징적인 뇌파(EEG) 특성을 설명했습니다.[2] 이 증후군은 이 두 신경학자의 이름을 따서 적절하게 명명되었습니다. LGS는 다양한 발작 유형, 특징적인 EEG 소견,[3] 지적 장애[4][5]의 삼중 증상이 특징입니다. 이는 간질성 뇌증 중 하나입니다.[6]

원인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지만, 약 25%의 경우는 원인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원인은 두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이차성 또는 증상성 LGS:

이 하위 유형으로 확인된 기저 병리학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뇌의 광범위한 손상에서 비롯됩니다. 이차성 LGS는 약 75%의 사례를 차지합니다[7]. 원인에는 경화증, 감염/염증(뇌염, 뇌막염), 뇌 전두엽 손상, 출생 손상/외상, 대사 원인 및 발달적 뇌 기형이 포함됩니다. 웨스트 증후군 또는 영아 경련은 LGS의 구체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LGS를 발달시킨 어린이의 약 30%가 웨스트 증후군의 과거력이 있으며[8] 일반적으로 더 심각한 임상 경과를 보입니다.[9] 이차성 LGS는 예후가 더 나쁩니다.

2) 특발성 또는 암호화된 LGS:

이 하위 유형에서는 기저 병리학을 확인할 수 없으며, LGS는 보통 늦게 시작됩니다[9]; 그러나 최근 유전 연구에서는 SCN1A[10], GABRB3, ALG13, CHD2[11][12][13] 등 특정 유전자에서 새로운 돌연변이를 발견했습니다. 이 돌연변이가 LGS의 발달에 실제로 얼마나 기여하는지 현재로서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역학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은 모든 소아 간질의 약 2-5%를 차지합니다[14][15], 하지만 5세 이전에 발생하는 간질 사례의 약 10%를 담당합니다.[16][7][15][17][18] LGS의 발생률은 10만 명당 0.1에서 0.28로 추정됩니다.[7] 어린이에서는 발생률이 10만 명당 2로 추정됩니다[7]. 전반적인 유병률은 10만 명당 약 26입니다.[7] LGS는 남성에서 여성보다 더 흔합니다[16]. 인종 차이에 대한 보고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광범위한 뇌 손상이 원인이기 때문에, 발달적 및/또는 지적 문제가 있는 어린이들이 LGS 진단을 더 자주 받습니다.

병력 및 신체검사 소견

앞서 언급했듯이,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은 다양한 발작 유형, 특징적인 뇌파(EEG) 소견, 지능 장애의 삼중 증상으로 특징 지어집니다.[5]

1) 발작: 발작은 보통 1세에서 7세 사이의 어린 시절 초기에 시작되며, 대략 3세 때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14] 다양한 유형의 발작이 관찰되며, 이에는 강직 발작, 긴장 감소 발작 또는 낙상 발작, 비정형 결핍 발작, 근간대성 발작, 전신성 강직-간대성 발작이 포함됩니다. 강직 발작은 가장 흔하게 보이며, 주로 밤에 발생하며 LGS의 특징적인 특징입니다.[19] 비정형 결핍 발작은 LGS에서 두 번째로 흔한 하위 유형으로, 단순히 응시하는 것 이상의 눈 깜박임과 관련된 증상을 보입니다. 긴장 감소 발작, 또한 낙상 발작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관찰되며 반복적인 낙상과 그로 인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낙상과 관련된 위험 때문에 긴장 감소 발작의 조절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됩니다. LGS를 가진 환자의 절반 정도는 어느 시점에서 비간대성 상태 간질에 빠집니다. 이는 어지럼증, 응시, 무관심, 혼수 상태, 반응 불능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발달 지연과 결국 인지 문제를 더합니다.[5] 여러 번의 일일 발작 에피소드로 인해 대다수 환자에서 발작 유형을 식별하기 어렵습니다.[5][19] 발작의 식별을 혼란스럽게 하는 또 다른 요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발작 유형이 나타나고 빈도가 변하는 것입니다. 연속적 또는 비디오 EEG 모니터링은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발작 유형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0]

2) 특징적인 EEG 패턴: "진단"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3) 지능 장애: LGS가 있는 아동의 초기 성장은 특별하지 않습니다. 발작이 시작된 후에만 발달 지연, 지능 장애, 학습 능력 감소 및 행동 문제의 형태로 쇠퇴가 관찰됩니다. 이러한 쇠퇴는 대다수 환자에서 관찰되며 나이가 들면서 악화됩니다.[5][19][21] 환자의 20%까지는 기억력과 인지가 여전히 정상일 수 있지만, 이러한 환자들은 정보 처리에서 뒤처질 것입니다. LGS 환자는 이전에 습득한 기술의 상실을 의미하는 정신 운동 후퇴를 보입니다. 행동 문제에는 짜증, 과잉 활동성 및 정신병이 포함됩니다.[22] 때때로 발작과 행동 문제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결국 인지 장애와 정적 뇌증을 가지게 됩니다.

진단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은 특징적인 뇌파검사(EEG) 기준[5][19]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임상 이력(발작 유형 및 지적 장애)을 바탕으로 진단됩니다. 종합적인 출생(산전, 분만 중, 분만 후) 이력, 발병 이후 발작/질병의 현재 이력, 심리운동 후퇴와 같은 관련 불만 사항의 이력 및 전체적인 체계적 및 신경학적 검사가 필요합니다. 실험실 검사에는 혈액학 및 화학 패널, 소변 검사, 소변 약물 검사, 혈중 암모니아, 젖산, 혈중 아미노산, 아실카르니틴 프로파일, 소변 유기산이 포함됩니다. 영상 검사에는 발작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대조제 유무에 따른 뇌의 자기공명영상(MRI)이 포함됩니다. 각성 및 수면 녹화(가능한 경우 광자극 및 과호흡을 포함한 활성화 절차 포함)가 있는 EEG가 필수적입니다. 비디오 EEG은 다양한 발작 유형을 포착하고 특징짓기 위해 수행될 수 있습니다.

특징적인 EEG 패턴: 배경 활동은 일반적으로 1.5에서 2.5헤르츠의 스파이크 및 파동 방전의 폭발과 10에서 20헤르츠의 빠른 활동의 파란이 있는 일반적인 느림을 보여줍니다.[5][19][23] 스파이크 및 파동 활동은 전두엽 영역에서 가장 높은 진폭을 보이며, 주기적이거나 지속적일 수 있으며, 국소적이거나 전신적일 수 있습니다. 수면 EEG는 수면 중에 활성화되거나 수면 중에만 보이는 일부 전기적 특징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5] 스파이크 및 파동 발작형 방전은 빠른 안구 운동(NREM) EEG에 비해 REM EEG에서 더 빈번하고 전신적입니다. 토닉 발작은 특히 수면 중에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토닉 발작의 EEG 패턴을 유아 경련의 패턴과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특발성/불명확성 LGS의 진단은 초기에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EEG가 클래식하지 않을 수 있고, 발작 및 임상 증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며, 이 질환에 대한 생물학적 표지자가 없기 때문입니다. 최종 진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반복적인 EEG가 필요합니다.

치료 및 관리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의 치료는 발작 조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의학적, 식이적, 수술적 관리를 포함합니다. 발작 조절은 인지, 기분, 주의력 및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1) 의학적 관리: LGS에서 치료의 목표는 발작 조절입니다. 약물이 도움이 되지만, 일정 범위까지만 효과가 있습니다. 발작은 일반적으로 난치성이며 다양한 유형이 있고 여러 약물이 필요합니다. 낙상과 사고와 관련된 강직 및 긴장 감소 발작의 조절이 우선시됩니다[24][25]. 한 약물이 한 유형의 발작을 조절할 때 다른 이미 존재하는 발작 유형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어 합병증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카르바마제핀은 낙상 발작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작 유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LGS에 대해 승인된 여러 약물에는 펠바메이트, 라모트리진, 루피나미드, 발프로산, 벤조디아제핀, 토피라메이트 및 최근에 칸나비디올 경구용액이 포함됩니다[26][27][28][29]. 발프로산, 라모트리진, 토피라메이트는 LGS에 대한 1차 약물로 간주됩니다[25]. 약물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 펠바메이트: 주로 강직 및 긴장-간대성 발작을 치료합니다. 1993년 FDA에 의해 LGS 치료제로 승인된 최초의 약물 중 하나이지만, 다른 약물이 모두 실패했을 때만 사용되며 여러 가지 심각한 부작용이 있습니다[30][31][32].
  • 라모트리진: 긴장-간대성 발작에 유용하며 기분과 행동, 그리고 언어능력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5][26]. FDA는 1998년 2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승인했습니다.
  • 발프로산: 여러 유형의 발작을 치료합니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약물로 시작되며 단독요법(다양한 발작 유형을 치료하기 때문에) 또는 다른 약물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25].
  • 루피나미드: 강직 및 긴장-간대성 발작을 치료합니다[33]. FDA는 2008년 4세 이상의 어린이나 성인에서 LGS 치료를 위해 승인했습니다. 루피나미드의 특징은 다른 발작 유형을 악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클로바잠: 장기 작용 벤조디아제핀으로, FDA는 2011년 2세 이상의 LGS 환자에서 발작 치료를 보조하는 목적으로 승인했습니다[29][34].
  • 토피라메이트: 긴장-간대성 발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합니다. FDA는 2세 이상의 어린이에서 LGS의 발작 치료 보조제로 승인했습니다[25][27].
  • 칸나비디올(CBD) 경구용액: 특히 낙상 발작에 유용하게 나타났지만 다른 발작도 치료합니다[35]. 2018년에 FDA에 의해 2세 이상의 LGS 아동에 대해 승인된 최신 약물입니다.
  • 비가바트린, 조니사마이드, 에토섹시미드, 클로나제팜, 레베티라세탐 등도 사용되었지만 LGS와 관련하여 잘 연구되지 않았습니다[25].
  •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옥스카르바제핀, 가바펜틴, 라코사미드, 페노바르비탈은 일부 발작 유형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되지 않습니다[36].
  • 코르티코스테로이드[37] 및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IVIG)[38] 치료가 발작 빈도를 줄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이러한 보고는 엄격한 임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습니다.

2) 식이 관리: LGS의 발작은 종종 의학적 관리에 저항성이 있습니다. 다음 단계는 식이 수정입니다. 이 수정은 어린이와 성인에서 연구되었으며 발작을 감소시키고 약물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연구된 다이어트에는 케토제닉 다이어트[39], 수정된 아트킨스 다이어트[40], 저혈당지수 다이어트가 있으며 일부 효과가 있습니다[41].

3) 수술적 관리: 의학적 관리와 식이 제한이 실패하면, LGS 관리의 다음 단계는 수술적 관리입니다[42]. 구체적으로, 첫 두 가지 발작 약물이 실패했을 때 수술적 관리가 고려됩니다. 이는 증상신경 자극(VNS)[41] 또는 뇌 수술의 형태일 수 있습니다.

  • 증상신경 자극(VNS): VNS는 의학적 치료와 함께 사용되며, 특히 낙상 발작과 강간대성 발작 치료에 유용합니다[43]. 흥미롭게도 VNS 결과는 발작 약물과 달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됩니다. VNS는 기분 및 행동 개선에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
  • 뇌 수술: 수술 옵션에는 절제술, 단절술(뇌량 절제술), 반구 절제술이 포함됩니다. 과거에는 LGS 환자가 일반화된 간질 증후군으로 간주되어 수술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차성 LGS 환자는 발작 활동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절제 가능한 병변(결절, 종양, 기형)을 가질 수 있으며 절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LGS에서는 발작이 뇌의 양쪽에 영향을 미치며 뇌량 절제술로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의 발작 확산을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뇌량 절제술은 긴장 감소, 강직 및 강간대성 발작에 도움이 됩니다[44]. 부분 뇌량 절제술 형태의 제한적 절제술도 종종 수행됩니다[45].

감별 진단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의 증상이 진화하기 때문에 바로 진단하기가 어렵고 여러 해에 걸친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46] 감별 진단에는 드라베 증후군, 근간대성 간질(두제 증후군), 소아기 비전형적 양성 국소 간질, 가성-레녹스 증후군, 그리고 웨스트 증후군이 포함됩니다.[47]

의료팀 치료 성과 개선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은 다양한 발작 유형, 특징적인 EEG 소견 및 지능 장애의 삼중 증상으로 특징 지어지는 드문 하지만 심각한 어린이 간질의 한 형태입니다. 이는 간질 뇌증 중 하나입니다. 빈번한 발작, 그로 인한 지능 장애, 그리고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을 앓고 있는 환자(어린이나 성인)를 위한 복잡한 치료 계획은 부모와 가족의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LGS 환자는 어떤 형태로든 24/7 지원이 필요합니다. 환자의 결과와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협조적인 다학제 팀 접근이 필요합니다. 소아과 의사, 신경과 의사, 정신과 의사, 신경심리학자 및 종종 외과 의사를 포함한 임상의 팀이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포괄적인 치료 계획을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소아 전문 간호사와 정신과 전문 간호사로 구성된 간호사 팀이 이 치료 계획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부모와 환자에게 예상되는 경과와 합병증에 대한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여 부작용의 조기 및 즉각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이러한 소견을 임상 제공자와 소통함으로써 환자 치료를 개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LGS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과 부작용 프로필을 감안할 때 약사의 역할은 LGS 치료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약사는 각 약물의 적절한 치료 옵션과 용량을 제공함으로써 치료 계획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약사는 선택된 요법의 잠재적 부작용과 항간질제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 간 상호작용에 대해 제공자와 소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대부분의 환자와 가족은 사회 복지 및 재활 서비스(물리, 직업, 언어 치료)의 평가와 도움을 받음으로써 환자와 그들의 간병인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환자가 진단, 치료, 교육 또는 지원 서비스에 관한 조기 개입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협력적인 다학제 팀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는 환자 치료 및 결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StatPearls 정보 제공
이 콘텐츠는 StatPearls의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언어 모델에 의해 번역된 질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항상 최신 사항 또는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본 정보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체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의약품과 관련된 사항은 반드시 보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 주십시오.

참고 문헌
  1. Gastaut et al. [Epileptic encephalopathy in children with slow diffuse spike-waves (or petit mal variant) or Lennox syndrome]. Recenti Prog Med. 1968 Aug;45(2):117-46. [PubMed]
  2. Lennox WG, Davis JP. Clinical correlates of the fast and the slow spike-wave electroencephalogram. Pediatrics. 1950 Apr;5(4):626-44. [PubMed]
  3. Markand ON. Lennox-Gastaut syndrome (childhood epileptic encephalopathy). J Clin Neurophysiol. 2003 Nov-Dec;20(6):426-41. [PubMed]
  4. Archer et al. Conceptualizing lennox-gastaut syndrome as a secondary network epilepsy. Front Neurol. 2014;5:225. [PMC free article] [PubMed]
  5. Camfield PR. Definition and natural history of Lennox-Gastaut syndrome. Epilepsia. 2011 Aug;52 Suppl 5:3-9. [PubMed]
  6. Khan and Al Baradie. Epileptic encephalopathies: an overview. Epilepsy Res Treat. 2012;2012:403592. [PMC free article] [PubMed]
  7. Trevathan et al. Prevalence and descriptive epidemiology of Lennox-Gastaut syndrome among Atlanta children. Epilepsia. 1997 Dec;38(12):1283-8. [PubMed]
  8. Ohtahara et al. Prognosis of the Lennox syndrome-long-term clinic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follow-up study, especially with special reference to relationship with the West syndrome. Folia Psychiatr Neurol Jpn. 1976;30(3):275-87. [PubMed]
  9. Widdess-Walsh et al. Lennox-Gastaut syndrome of unknown caus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the Epilepsy Phenome/Genome Project. Epilepsia. 2013 Nov;54(11):1898-904. [PubMed]
  10. Selmer et al. SCN1A mutation screening in adult patients with Lennox-Gastaut syndrome features. Epilepsy Behav. 2009 Nov;16(3):555-7. [PubMed]
  11. Epi4K Consortium et al. De novo mutations in epileptic encephalopathies. Nature. 2013 Sep 12;501(7466):217-21. [PMC free article] [PubMed]
  12. Lund et al. CHD2 mutations in Lennox-Gastaut syndrome. Epilepsy Behav. 2014 Apr;33:18-21. [PubMed]
  13. Capelli et al. Deletion of the RMGA and CHD2 genes in a child with epilepsy and mental deficiency. Eur J Med Genet. 2012 Feb;55(2):132-4. [PubMed]
  14. Bourgeois et al. Lennox-Gastaut syndrome: a consensus approach to differential diagnosis. Epilepsia. 2014 Sep;55 Suppl 4:4-9. [PubMed]
  15. Heiskala H. Community-based study of Lennox-Gastaut syndrome. Epilepsia. 1997 May;38(5):526-31. [PubMed]
  16. Asadi-Pooya and Sharifzade. Lennox-Gastaut syndrome in south Iran: electro-clinical manifestations. Seizure. 2012 Dec;21(10):760-3. [PubMed]
  17. Crumrine PK. Lennox-Gastaut syndrome. J Child Neurol. 2002 Jan;17 Suppl 1:S70-5. [PubMed]
  18. Goldsmith et al. Long-term seizure outcome in 74 patients with Lennox-Gastaut syndrome: effects of incorporating MRI head imaging in defining the cryptogenic subgroup. Epilepsia. 2000 Apr;41(4):395-9. [PubMed]
  19. Arzimanoglou et al. Lennox-Gastaut syndrome: a consensus approach on diagnosis, assessment, management, and trial methodology. Lancet Neurol. 2009 Jan;8(1):82-93. [PubMed]
  20. Bare et al. Need for electroencephalogram video confirmation of atypical absence seizures in children with Lennox-Gastaut syndrome. J Child Neurol. 1998 Oct;13(10):498-500. [PubMed]
  21. Oguni et al. Long-term prognosis of Lennox-Gastaut syndrome. Epilepsia. 1996;37 Suppl 3:44-7. [PubMed]
  22. Glauser TA. Following catastrophic epilepsy patients from childhood to adulthood. Epilepsia. 2004;45 Suppl 5:23-6. [PubMed]
  23. Asadi-Pooya et al. Atlas of Electroencephalography, 3rd Edition. Epileptic Disord. 2017 Sep 01;19(3):384. [PubMed]
  24. Shyu et al. An atypical case of Lennox-Gastaut syndrome not associated with mental retardation: a nosological issue. Seizure. 2011 Dec;20(10):820-3. [PubMed]
  25. Michoulas and Farrell. Medical management of Lennox-Gastaut syndrome. CNS Drugs. 2010 May;24(5):363-74. [PubMed]
  26. Motte et al. Lamotrigine for generalized seizures associated with the Lennox-Gastaut syndrome. Lamictal Lennox-Gastaut Study Group. N Engl J Med. 1997 Dec 18;337(25):1807-12. [PubMed]
  27. Sachdeo et al.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of topiramate in Lennox-Gastaut syndrome. Topiramate YL Study Group. Neurology. 1999 Jun 10;52(9):1882-7. [PubMed]
  28. Glauser et al. Rufinamide for generalized seizures associated with Lennox-Gastaut syndrome. Neurology. 2008 May 20;70(21):1950-8. [PubMed]
  29. Ng et al. Clobazam is equally safe and efficacious for seizures associated with Lennox-Gastaut syndrome across different age groups: Post hoc analyses of short- and long-term clinical trial results. Epilepsy Behav. 2015 May;46:221-6. [PubMed]
  30. Felbamate Study Group in Lennox-Gastaut Syndrome. Efficacy of felbamate in childhood epileptic encephalopathy (Lennox-Gastaut syndrome). N Engl J Med. 1993 Jan 07;328(1):29-33. [PubMed]
  31. Devinsky et al. Efficacy of felbamate monotherapy in patients undergoing presurgical evaluation of partial seizures. Epilepsy Res. 1995 Mar;20(3):241-6. [PubMed]
  32. O'Neil et al. Felbamate-associated fatal acute hepatic necrosis. Neurology. 1996 May;46(5):1457-9. [PubMed]
  33. Jaraba et al. Rufinamide in children and adults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Acta Neurol Scand. 2017 Jan;135(1):122-128. [PubMed]
  34. Wheless et al. Clobazam is efficacious for patients across the spectrum of disease severity of Lennox-Gastaut syndrome: post hoc analyses of clinical trial results by baseline seizure-frequency quartiles and VNS experience. Epilepsy Behav. 2014 Dec;41:47-52. [PubMed]
  35. Devinsky et al. Cannabidiol in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epilepsy: an open-label interventional trial. Lancet Neurol. 2016 Mar;15(3):270-8. [PubMed]
  36. Asadi-Pooya et al. Reasons for uncontrolled seizures in adults; the impact of pseudointractability. Seizure. 2013 May;22(4):271-4. [PubMed]
  37. Pera et al. Intravenous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for children with epileptic encephalopathy. Funct Neurol. 2015 Jul-Sep;30(3):173-9. [PMC free article] [PubMed]
  38. Mikati et al. Intravenous immunoglobulin therapy in intractable childhood epilepsy: open-label stud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Epilepsy Behav. 2010 Jan;17(1):90-4. [PubMed]
  39. Caraballo et al. Ketogenic diet in patients with Lennox-Gastaut syndrome. Seizure. 2014 Oct;23(9):751-5. [PubMed]
  40. Sharma et al. Use of the modified Atkins diet in Lennox Gastaut syndrome. J Child Neurol. 2015 Apr;30(5):576-9. [PubMed]
  41. Kim et al. Low glycemic index treatment in patients with drug-resistant epilepsy. Brain Dev. 2017 Sep;39(8):687-692. [PubMed]
  42. Douglass and Salpekar. Surgical options for patients with Lennox-Gastaut syndrome. Epilepsia. 2014 Sep;55 Suppl 4:21-8. [PubMed]
  43. Lancman et al. Vagus nerve stimulation vs. corpus callosotomy in the treatment of Lennox-Gastaut syndrome: a meta-analysis. Seizure. 2013 Jan;22(1):3-8. [PMC free article] [PubMed]
  44. Asadi-Pooya et al. Corpus callosotomy is a valuable therapeutic option for patients with Lennox-Gastaut syndrome and medically refractory seizures. Epilepsy Behav. 2013 Nov;29(2):285-8. [PubMed]
  45. Asadi-Pooya et al. Corpus callosotomy. Epilepsy Behav. 2008 Aug;13(2):271-8. [PubMed]
  46. Kerr et al. Evolution and management of Lennox-Gastaut syndrome through adolescence and into adulthood: are seizures always the primary issue? Epileptic Disord. 2011 May;13 Suppl 1:S15-26. [PubMed]
  47. Wirrell et al. The epileptic encephalopathies of infancy and childhood. Can J Neurol Sci. 2005 Nov;32(4):409-18. [PubMed]
  48. Berg et al. Mortality risks in new-onset childhood epilepsy. Pediatrics. 2013 Jul;132(1):124-31. [PMC free article] [Pub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