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신경섬유종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본 정보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체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의약품과 관련한 사항은 반드시 보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 주십시오.

신경섬유종증은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이 몸 곳곳에 생기는 질환이에요.[1] 이 글에서는 신경섬유종증의 유형 중 신경섬유종증 1형을 살펴볼게요. 

이 글에서 소개하는 내용
1. 신경섬유종증 1형의 원인
2. 신경섬유종증 1형의 증상
3. 신경섬유종증 1형의 진단 및 치료 방법

개요

신경섬유종증은 영문명인 ‘Neurofibromatosis’에서 그 특징을 알 수 있는데요. ‘신경’을 뜻하는 ‘neuro-’는 뇌 또는 척수에서 시작되어 전신으로 연결되는 통신망을, ‘섬유종’을 뜻하는 ‘fibroma’는 섬유세포와 섬유 등으로 구성된 양성 종양*을, ‘종증’을 뜻하는 ‘-matosis’는 이러한 종양이 신체 여러 부위에 발생한다는 의미예요.

양성 종양 Benign tumor
암을 일으키는 악성 종양과 달리, 주변의 다른 조직을 침범하거나 전이되지 않는 종양이에요. 신경섬유종은 대부분 양성이지만, 드물게 암으로 발전하기도 해요.[1]

원인

신경섬유종증은 원인에 따라 신경섬유종증 1형, 신경섬유종증 2형, 신경초종증Schwannomatosis으로 나뉘어요.
2,500~3,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신경섬유종증 1형은 17번 염색체의 NF1 유전자 변이가 원인이에요.[3, 4]

상염색체 우성 유전

출처: MedlinePlus, 2022 [17]

신경섬유종증 1형의 원인인 NF1 유전자 변이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돼요.
즉, 부모 중 한 명만 환자여도 자녀에게 질환이 발병할 확률은 50%예요. 실제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50%는 부모로부터 질환이 유전된 경우예요.[1]

 

상염색체 우성 Autosomal dominant
상염색체 우성은 부모를 통해 특성이나 질환이 전해지는 여러 방식 중 하나예요.[18] 부모 모두에게서 유전자 변이를 물려받아야 질환이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19]과는 달리, 상염색체 우성은 부모 중 한 명에게서만 유전자 변이를 물려받아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요.
따라서 부모 중 한 명에게 상염색체 우성 유전자 변이가 있다면 자녀에게 질환이 발생할 확률은 50%예요. 일반적으로 유전자 변이를 물려받지 않으면 질환이 발생하지 않는데, 부모 모두에게 유전자 변이가 없는데도 자녀에게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18]

출처: MedlinePlus, 2022 [17]

하지만 부모 모두 환자가 아녀도 전체의 30~50%는 드노보 돌연변이로 질환이 발병하며, 이때 새롭게 발생한 유전자 변이는 다음 세대에 유전될 수 있어요.[1] 드노보 돌연변이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1, 2]  

관련 유전자

NF1

출처: Reynolds, S., 2021 [4]

17번 염색체에는 단백질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만 1,100~1,200개가 있어요.[5] 그중 하나인 NF1 유전자는 신경세포와 슈반세포* 등에서 주로 발견되는 단백질인 뉴로파이브로민Neurofibromin의 생성을 담당해요. 
뉴로파이브로민은 세포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분열하는 것을 억제하는데요. 이러한 NF1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뉴로파이브로민이 본래 기능을 잃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하고, NF1 유전자와 관련된 신경을 따라 섬유종이 생겨요.[6]

슈반세포 Schwann cell
신경세포의 축삭 돌기를 감싸고 있는 세포예요. 말초 신경의 발달, 유지, 기능 및 재생에 필수적이에요.[20]

증상

신경섬유종증 1형의 주요 증상은 여러 신체 부위에 나타나는 신경섬유종이지만, 구체적인 증상은 유전자 변이가 발현되는 형태에 따라 사람마다 다를 수 있어요.[7]

카페오레 반점

출처: Gutmann, David H et al., 2017 [16]

전신에 6개 이상의 옅은 갈색 반점이 동시에 생겨요. 보통 태어날 때부터 나타나며, 환자의 99%는 1살 전후로 증상이 시작돼요.[7, 8]

신경섬유종

신경섬유종은 말초 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슈반세포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말초 신경계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어요. 피부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실제로는 모든 신체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그중 피부나 피하층에 생기는 신경섬유종은 어린 아동에게는 잘 관찰되지 않고, 보통 사춘기가 지나면서 시작돼요. 최대 수천 개까지 생길 수 있고, 여성의 경우 임신했을 때 신경섬유종이 급격히 성장하기도 해요.[7]
환자의 30~50%는 결합 조직과 피부 조직까지 부풀어 오르는 총상 신경섬유종Plexiform neurofibroma을 겪어요. 총상 신경섬유종은 대부분 여러 해 동안 서서히 성장하지만, 유아 환자에게서는 종종 빠르게 성장하는 양성 병변이 발생하기도 해요.[7, 10]

시신경 교종

시신경 교종Optic Glioma은 뇌종양의 일종으로, 6세 이전인 환자의 15%에게서 발생해요. 
보통 시력이 저하되거나 안구가 튀어나오며, MRI 검사로 확인할 수 있어요. 아주 느리게 진행되는 편이고, 일부는 자연적으로 작아지기도 해요. 
시신경 교종이 있던 어린이나 성인 환자의 20%는 뇌종양을 겪어요. 시신경 교종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뇌종양보다는 진행 속도가 느리고 경과가 좋은 편이지만, 시력 저하 또는 인지 저하를 일으킬 수 있어요.[7]

악성말초신경초종

악성말초신경초종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은 악성 종양의 일종이에요.
10%가 넘는 환자에게서 나이와 관계없이 발생하지만, 어린 나이는 매우 드물고 20~30대 환자가 많아요. 피하층에 양성 신경섬유종이 있거나 시신경 교종 방사선 치료를 한 적이 있다면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도 해요.[7]

학습 장애

환자 대부분은 지능이 정상이지만, 16세 이하 환자의 50~75%가 경미한 학습 장애를 겪어요.
읽기, 수학 문제 풀이 등 특정 학습 능력에 어려움이 있으며,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나 언어 발달 지연이 나타나기도 해요.[1, 7, 10]

그 외 

출처: Gutmann, David H et al., 2017 [16]

리쉬 결절Lisch nodule은 출생 시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나이가 들면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이에요. 홍채에 생기는 2개 이상의 작은 갈색 결절로, 16세 이상 환자의 90%에게서 관찰돼요.[7] 

출처: Gutmann, David H et al., 2017 [16]

또한, 피부 접합부인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등에 주근깨가 생기기도 해요.[1] 

출처: Rijken, B F M et al., 2023 [13]

뼈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신경섬유종증 환자 중 약 10~26%에게 척추측만증이 발생할 수 있고, 접형골* 이형성증이나 골감소증, 골다공증 등의 증상이 생기기도 해요.[7]

접형골 Sphenoid bone
머리 양쪽에 걸쳐 있는 나비 모양의 뼈로, 머리뼈 및 얼굴뼈의 각 부분과 연결돼요.[21]

동반될 수 있는 질환

어린 환자의 경우, 골수 기능 이상으로 건강한 혈액세포가 만들어지지 않아 골수이형성 증후군이나 골수성 백혈병과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요. 건강한 사람에 비하면 비교적 발병률이 높은 편이지만, 드물게 나타나요. 그 외에도 갈색세포종, 신혈관성 고혈압, 모야모야병 등 혈관과 관련된 여러 질환의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어요.[7] 
또한 각종 암 발생 위험이 약 10배 정도 높고, 일부 암은 예후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편이에요.[4] 여성의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약 3.5배 높으며, 특히 50세 이전에 유방암이 발병할 확률은 5배 더 높아져요. 위벽에 발생하는 암인 위장관 기질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신경섬유종증이 없는 사람과 임상적 형태가 달라요.[7]
매우 드물지만 신경섬유종이 기도를 압박해 호흡 곤란을 일으키기도 해요.[10] 성장기나 임신 등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성조숙증이 발생할 수 있어요.[7]

진단

*이 내용은 신경섬유종증 1형의 일반적인 진단 기준을 간략히 소개한 것으로, 환자마다 질환의 특성이 다를 수 있으니 궁금한 사항은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본 정보는 의료진의 진료 및 진단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진단 방법

신경섬유종증 1형은 아래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진단을 내려요. 보통 만 4세까지 진단되는 편이에요.[11] 

출처: Mayo Clinic, 2023 [11] 

진단 기준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국제적 진단 지침에 따르면 아래 7개 중 2개 이상에 해당할 경우, 신경섬유종증 1형으로 진단해요.[1, 7, 11]
만약 증상이 하나만 있고, 가족력이 없다면 추가적인 증상이 있는지 추적 관찰이 필요해요.[11] 

 

치료

*이 내용은 신경섬유종증 1형의 일반적인 치료 방법을 간략히 소개한 것으로, 환자마다 질환의 특성이 다를 수 있으니 궁금한 사항은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본 정보는 의료진의 진료 및 진단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신경섬유종증 1형을 완치할 방법은 없지만, 대증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어요.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 대부분은 장기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치료가 필요한 증상이 있는지 또는 치료를 받지 않아도 괜찮은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증상이 없더라도 주기적으로 의료진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좋아요.[1]
만약 치료가 필요할 경우,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권고하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수술 치료

수술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시행 여부를 판단해요. 종양에 심한 통증이 동반되거나 악성 종양이 의심된다면 시행할 수 있어요. 
뼈나 혈관에 이상이 생기면 수술 외에도 보조기 등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를 시도할 수 있어요.[1]

화학 요법

화학 요법은 시신경 교종이나 다른 뇌교종 치료뿐만 아니라 신경섬유종증 1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성말초신경초종이나 유방암과 같은 치료에도 핵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화학 요법 약물로는 미국 FDA와 한국 식약처에서 승인된 셀루메티닙Selumetinib이 있어요. 증상이 있고 수술이 불가능한 총상 신경섬유종을 동반한 소아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에게 사용해요.
신경섬유종증과 관련된 다른 상태에 대한 치료는 증상을 관리하거나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해요.[1] 

그 외 대증 요법

두통이나 발작 등의 증상을 조절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할 수 있어요. 또한 학습 능력 저하나 ADHD, 자폐증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치료를 병행하기도 해요.[1]

관리

신경섬유종증 1형은 유전자 변이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직계 가족이 진단을 받았다면 환자의 부모나 자녀도 검사를 받는 것이 좋아요. 특히 자녀 계획이 있다면 유전 가능성을 고려하여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해요.
생후 첫 10년 동안은 연간 검진이 권장되며, 뇌 MRI 검사와 같은 영상 검사는 신경학적 손상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에만 권장돼요. 생애 주기별 관리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14, 15]

출처: Tonsgard, James H., 2006 [14], Bizzarri, C. and G. Bottaro, 2015 [15]

레어노트와 함께하는

신경섬유종증 1형 인식 개선 캠페인

주변에도 알려 주기

참고 문헌
  1. NINDS. Neurofibromatosis. What is neurofibromatosis? 2023  [cited 2023 18 July]; Available from: https://www.ninds.nih.gov/health-information/disorders/neurofibromatosis#
  2. NHS. Neurofibromatosis type 1: Overview. Health A-Z 2021  [cited 2023 18 July]; Available from: https://www.nhs.uk/conditions/neurofibromatosis-type-1.
  3. Evans, D., et al., Birth incidence and prevalence of tumor‐prone syndromes: estimates from a UK family genetic register servic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Part A, 2010. 152(2): p. 327-332.
  4. Reynolds, S. NF1 Associated with More Cancer Types Than Previously Known. News & Event 2021  [cited 2023 18 July];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v/news-events/cancer-currents-blog/2021/nf1-associated-with-more-cancer-types
  5. MedlinePlus. Chromosome 17. 2018 [cited 2023 22 Sep];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genetics/chromosome/17/#conditions
  6. MedlinePlus. NF1 gene. 2007 [cited 2023 22 Sep];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genetics/gene/nf1/#conditions
  7. Jett, K. and J.M. Friedman, Clinical and genetic aspects of neurofibromatosis 1. Genetics in Medicine, 2010. 12(1): p. 1-11.
  8. DeBella, K., J. Szudek, and J.M. Friedman, Use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riteria for diagnosis of neurofibromatosis 1 in children. Pediatrics, 2000. 105(3): p. 608-614.
  9. Tchernev, Georgi et al., Plexiform Neurofibroma: A Case Report. Medicine vol. 95,6 (2016): e2663.
  10. MAYO CLINIC. Neurofibromatosis: Symptoms & causes. Disease & Conditions 2023  [cited 2023 18 July]; Available from: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neurofibromatosis/symptoms-causes/syc-20350490.
  11. MAYO CLINIC. Neurofibromatosis: Diagnosis & treatment. Disease & Conditions 2023  [cited 2023 18 July]; Available from: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neurofibromatosis/diagnosis-treatment/drc-20350495.
  12. NIH. MEK 1/2 Inhibitor Selumetinib (AZD6244 Hydrogen Sulfate) in Adults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NF1) and Inoperable Plexiform Neurofibromas. Search Results 2023  [cited 2023 18 July]; Available from: https://classic.clinicaltrials.gov/ct2/show/NCT02407405.
  13. Rijken, B F M et al., Sphenoid dysplasia in patients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Clinical features and imaging findings including cerebrospinal fluid alterations.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 neurology : EJPN :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Paediatric Neurology Society vol. 42 (2023): 28-33.
  14. Tonsgard, James H.,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 of neurofibromatosis type 1. Seminars in pediatric neurology vol. 13,1 (2006): 2-7.
  15. Bizzarri, C. and G. Bottaro, Endocrine implications of neurofibromatosis 1 in childhood. Hormone Research in Paediatrics, 2015. 83(4): p. 232-241.
  16. Gutmann, David H et al., Neurofibromatosis type 1. Nature reviews. Disease primers vol. 3 17004. 23 Feb. 2017, doi:10.1038/nrdp.2017.4
  17. MedlinePlus. Inheriting Genetic Conditions. 2020 [cited 2023 04 Oct];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genetics/understanding/inheritance
  18. MedlinePlus. Autosomal dominant. 2022 [cited 2023 04 Oct];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2049.htm
  19. MedlinePlus. Autosomal recessive. 2022 [cited 2023 04 Oct];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2052.htm
  20. A.A. Lavdas, R. Matsas, Schwann Cell Morphology. Reference Module in Biomedical Sciences, Elsevier, 2014.
  2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접형골. 2018 [cited 2023 04 Oct]; Available from: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C%A0%91%ED%98%95%EA%B3%A8

KR-14537 | Exp.2025-10 (Prep.20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