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상 신경섬유종 치료
 
증상
총상 신경섬유종Plexiform Neurofibromas은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 약 50%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유아기에 급속도로 진행되며, 종양의 크기가 연간 최대 20% 이상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몸통과 팔다리에서 발생합니다.
 
치료
주된 치료 방법은 수술이지만, 정상 조직에 인접했거나 중요한 구조에 침범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완전한 절제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침습적 치료가 더욱 중요해지는 추세이며, 특히 MEK 효소 억제제가 총상 신경섬유종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2013년에는 MEK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PD0325901 치료제의 효과에 대한 전임상 시험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한계는 있습니다. 현재 상용화된 셀루메티닙Selumetinib은 평균적으로 종양의 약 20% 정도만 축소시켜 충분한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치료 후에도 종양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으며, 치료 중단 시 재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MEK 효소 억제제는 장기간 투여 시 피부 발진, 안구 및 심장 독성 등 심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타이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인 이마티닙Imatinib과 같은 표적 화학요법 약물도 연구되었으나, 총상 신경섬유종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임상 2상 시험에서 유의미한 종양 크기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반면, 진행성, 비분열성 총상 신경섬유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PEG 결합 인터페론 1형PEGylated interferon type 1 치료제의 임상 1상 시험에서는 총상 신경섬유종 크기 감소와 안정화가 관찰되었습니다.
총상 신경섬유종을 치료하는 전문의약품에는 종양 생성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시롤리무스Sirolimus와 에베롤리무스Everolimus 등이 있습니다.
한 연구팀은 신경섬유종증 1형과 관련된 신경병성 통증 치료법으로 국소적 캡사이신 사용을 연구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환자의 통증 부위에 캡사이신 패치를 60분 동안 부착했고, 그 결과 약 38%의 환자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완화율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패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시적인 작열감이 나타났으며, 심박수와 혈압이 다소 증가했습니다.
 
참고 문헌
1. Tucker, T., Friedman, J. M., Friedrich, R. E., Wenzel, R., Fünsterer, C., Mautner, V. F., ... & Prieto, D. (2009). Clinical diagnostic tests. Journal of Medical Genetics, 46(2), 81-85.
2. Dombi, E., Solomon, J., Gillespie, A. J., Fox, E., Balis, F. M., Patronas, N., ... & Goldman, S. (2007). NF1 plexiform neurofibroma growth rate by volumetric MRI: relationship to age and body weight. Neurology, 68(9), 643-647.
3. Williams, K. B., & Largaespada, D. A. (2020). New Model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Targeted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Neurofibromatosis Type 1-Associated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s. Genes, 11(5), 477.
4. Robertson, K. A., Nalepa, G., Yang, F. C., Bowers, D. C., Ho, C. Y., Hutchins, G. D., ... & Hingtgen, C. M. (2012). Imatinib mesylate for plexiform neurofibromas in patients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a phase 2 trial. The lancet oncology, 13(12), 1218-1224.
5. Jakacki, R. I., Dombi, E., Potter, D. M., Goldman, S., Allen, J. C., Pollack, I. F., & Widemann, B. C. (2011). Phase I trial of pegylated interferon-α-2b in young patients with plexiform neurofibromas. Neurology, 76(3), 265-272.
6. Bellampalli, S. S., & Khanna, R. (2019). Towards a neurobiological understanding of pain in neurofibromatosis type 1 (NF1):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treatment. Pain, 160(5), 1007.
7. Bardo-Brouard, P., Luizard, C., Valeyrie-Allanore, L., Goujon, C., Do, B., Colin, A., ... & Paul, M. (2018). High-concentration topical capsaicin in the management of refractory neuropathic pain in patients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a case series.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34(5), 887-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