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PNH 환자에게 질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증상과 관련한 사항은 반드시 담당 의료진과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이란?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은 적혈구를 보호하는 단백질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적혈구를 공격하고 파괴하는 만성적이고 치명적인 희귀혈액질환입니다.1,2
적혈구가 파괴되는 현상을 ‘용혈’이라고 하며, 이는 혈액검사에서 젖산탈수소효소 (LDH: lactate dehydrogenase) 수치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1
PNH는 매우 드문 질환이지만, 나이에 상관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환자의 약 50%가 진단 후 10년 이내 사망할 위험이 있습니다.2
2. PNH는 어떻게 발생하나요?
PNH는 우리 몸에서 혈액 세포를 만드는 데 중요한 세포인 조혈모세포에서의 PIG-A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PIG-A (phosphatidylinositol glycan class A) 유전자는 적혈구가 체내에서 파괴되지 않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어막 생성에 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적혈구가 보호받지 못하고, 면역 체계의 공격을 받아 쉽게 파괴됩니다.1
‘보체’는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면역 체계의 일부로, 여러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상적인 적혈구는 표면에 보호막 역할을 하는 방어 단백질이 있어 보체의 공격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습니다.1,3
PNH 적혈구의 경우 방어 단백질의 결핍으로 보체의 공격을 받아 적혈구의 파괴 (용혈)가 일어납니다.1,4
적혈구의 파괴 (용혈)는 PNH 증상의 주요 원인이 되며, 혈전 및 신체 장기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5
3. PNH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및 합병증은 무엇인가요?
*본 자료는 PNH 환자에게 질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의료인의 진료 및 상담을 대신할 수 없으므로 질환 및 증상과 관련한 사항은 반드시 담당 의료진과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
PNH 환자의 경우 혈관내용혈, 혈전증 등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 및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6
PNH는 5년 이내 사망률이 35%에 이르는 질환으로, 조기 진단 및 치료는 PNH 환자의 예후 개선에 중요합니다.2,13
4. PNH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PNH의 치료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되며 의료진이 각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결정하게 됩니다.1
1)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의 종류에는 스테로이드, 수혈, 항응고제, 진통제, 엽산/비타민 B12, 철 보충제 등이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는 증상 완화를 위한 관리에 초점을 맞추며,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치료는 아닙니다.1,9
수혈, 스테로이드, 철분 및 엽산 보충 등과 같은 증상 완화 목적의 보존적 치료만 받은 PNH 환자의 경우, 진단 후 5년 내 사망률이 약 35%에 달했습니다.1,9
2) 동종조혈모세포이식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다른 사람(기증자)의 조혈모세포를 채집하여 환자에게 주입하는 치료법으로, 골수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환자,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등 특정한 경우 권장됩니다.1,15,16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PNH를 완치할 수 있는 현재 유일한 잠재적 치료법이지만 높은 합병증 및 사망 위험 (이식 2년 후 생존율은 약 56%)과 제한된 공여자 등의 이유로 모든 환자에게 권장되지는 않습니다.이식 대상 여부는 환자의 여러 조건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주치의가 결정하게 됩니다.1,16
3) 약물 치료
PNH 치료 약물의 종류에는 보체 시스템의 작용 경로 중 어떠한 단계의 활동을 억제하느냐에 따라 상위 보체 억제제 (C3 보체 억제제, B 인자 억제제, D 인자 억제제)와 말단 보체 억제제 (C5 보체 억제제)로 구분됩니다.17
5. PNH 치료 중에도 적혈구의 용혈이 발생할 수 있나요?
PNH 환자에서 적혈구의 용혈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18
- 혈관 ‘밖 (비장, 간)’에서 적혈구가 제거되는 ‘혈관외용혈’18(ExtraVascular Hemolysis, EVH)
- 혈관 ‘안’에서 적혈구가 파괴되는 ‘혈관내용혈’18(IntraVascular Hemolysis, IVH)21,22
1) ’혈관외용혈’ (ExtraVascular Hemolysis, EVH)
✅ 혈관외용혈은 왜 발생할까요?
C5 보체 억제제를 사용하면 PNH 적혈구가 혈관 내에서 파괴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하지만 일부 C3 단백질이 살아남은 적혈구 표면에 양념처럼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C3가 양념처럼 붙은 적혈구들은 몸에서 '이상한 세포'로 인식되어, 주로 비장과 간에서 제거됩니다. 이 과정을 ‘혈관외용혈’이라고 합니다.20
✅ 혈관외용혈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피곤함, 에너지 부족, 집중력 저하, 숨 가쁨 등 빈혈로 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21,22
- ※ 혈관외용혈에 대해 일관되게 사용되는 정의가 없고, 치료가 필요한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혈관외용혈'인지가 중요19하기 때문에 해당 증상이 있을 시, 반드시 보건의료전문가와 상담해주십시오.
2) ‘혈관내용혈’ (IntraVascular Hemolysis, IVH)
✅ 혈관내용혈은 왜 발생할까요?
PNH의 경우 적혈구를 보호하는 방어 단백질의 결핍으로 면역 체계의 일부인 보체가 적혈구를 공격하고 파괴하게 됩니다. 이러한 보체의 공격으로 인해 적혈구가 혈관 안에서 파괴되는 현상을 혈관내용혈이라고 합니다. PNH는 보존적치료, 조혈모세포 이식, C5 억제제 등을 통해 치료합니다.1
✅ 보체 억제 치료 중에도 혈관내용혈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나요?
네, 보체 시스템이 갑자기 과하게 활성화되면서 적혈구가 예상치 못하게 빠르게 파괴되는 돌발성 혈관내용혈 (BreakThrough IntraVascular Hemolysis, BT-IVH)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0
특히, 상위 보체 억제제의 작용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말단 보체 억제가 부재할 경우, 대규모 돌발성 혈관내용혈(massive BT-IVH)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20
참고 문헌
- 한국혈액암협회.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Available at <https://www.kbdca.or.kr/bbs/board.php?tbl=bbs31&mode=VIEW&num=104&category=&findType=&findWord=&sort1=&sort2=&sh=&page=6> accessed Dec. 2024.
- Cançado RD, et al. Consensus stateme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Hematol Transfus Cell Ther. 2021 Jul-Sep;43(3):341-348.
-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참고자료. 식약처,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치료제 허가. 2024.4.30.
- Parker CJ. Manage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in the era of complement inhibitory therapy. Hematology Am Soc Hematol Educ Program. 2011;2011:21-9.
- Lee JW, et al. Clinical sign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thrombosis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from a Korean Registry. Int J Hematol. 2013 Jun;97(6):749-57.
- Sahin F, et al. Multidisciplinary clinical manage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Am J Blood Res. 2015 Jun 15;5(1):1-9.
- Schrezenmeier H, et al.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burden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 updated analysis from the International PNH Registry. Ann Hematol. 2020 Jul;99(7):1505-1514.
- Nishimura JI, et al. Clinical course and flow cytometric analysis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Medicine (Baltimore). 2004 May;83(3):193-207.
- Sharma VR.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athogenesis, testing, and diagnosis. Clin Adv Hematol Oncol. 2013 Sep;11 Suppl 13(9):2-8.
- Hill A, et al. Thrombosis in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Blood. 2013 Jun 20;121(25):4985-96.
- Hillmen P, et al. Long-term effect of the complement inhibitor eculizumab on kidney function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Am J Hematol. 2010 Aug;85(8):553-9.
- Hill A, et al. Effect of eculizumab on haemolysis-associated nitric oxide depletion, dyspnoea, and measures of pulmonary hypertension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Br J Haematol. 2010 May;149(3):414-25.
- Bektas M, et al.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role of the complement system, pathogenesis, and pathophysiology. J Manag Care Spec Pharm. 2020 Dec;26(12-b Suppl):S3-S8.
- Jang JH, et al. Impact of Lactate Dehydrogenase and Hemoglobin Levels on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Results From the National Korean PNH Registry. J Korean Med Sci. 2024 Mar 4;39(8):e81.
-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치료. 조혈모 세포이식. 조혈모 세포이식의 이해.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S1T295C296/contents.do> accessed Apr. 2025.
- Sahin F, et al. Pesg PNH diagnosis, follow-up and treatment guidelines. Am J Blood Res. 2016 Aug 5;6(2):19-27.
- Makam AN, et al. Iptacopan and Danicopan for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Effectiveness and Value; Evidence Report. Institute for Clinical and Economic Review, March 13, 2024.
- Duval A, et al. Complement biology for hematologists. Am J Hematol. 2023 May;98 Suppl 4:S5-S19.
- Lee JW, et al. Addition of danicopan to ravulizumab or eculizumab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and clinically significant extravascular haemolysis (ALPHA): a double-blind, randomised, phase 3 trial. Lancet Haematol. 2023 Dec;10(12):e955-e965.
- Peffault de Latour R, et al. Hemolytic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20 years of medical progress. Semin Hematol. 2022 Jan;59(1):38-46.
- Weckmann G, et al. Association of Anemia with Clinical Symptoms Commonly Attributed to Anemia-Analysis of Two Population-Based Cohorts. J Clin Med. 2023 Jan 24;12(3):921.
- Kulasekararaj AG, et al. The importance of terminal complement inhibition in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Ther Adv Hematol. 2022 May 30;13:20406207221091046.
- Lee JW, et al. The role of the alternative pathway in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and emerging treatments. Expert Rev Clin Pharmacol. 2022 Jul;15(7):851-861.
- Notaro R, et al. Breakthrough Hemolysis in PNH with Proximal or Terminal Complement Inhibition. N Engl J Med. 2022 Jul 14;387(2):160-166.
- Kim JS, et al.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Eculizumab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and High Disease Burden: Real-World Data From Korea. J Korean Med Sci. 2023 Oct 23;38(41):e328.
KR-19507 I Exp. 2027-05(Prep. 20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