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통계

유병률

1/3,500~4,000명

*국내 환자 수: 약 5,000명


개요

신경섬유종증은 피부와 신경계에서 다양하고 특징적 증상을 보이는 피부신경질환입니다.

특히 신경섬유종증 1형은 가장 흔한 유형으로, 폰레클링하우젠병von Recklinghausen’s disease으로도 불립니다.


원인

50% 상염색체 우성 가족력, 50% 가족력이 없는 새로운 변이

신경섬유종증 1형은 NF1 유전자 변이로 뉴로파이브로민Neurofibromin이라는 단백질이 변형되어 발병합니다.

NF1 유전자 변이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지만, 약 50%의 환자에게서는 가족력이 없는 새로운 유전자 변이가 발견됩니다.


증상

❶ 밀크커피색 반점Café au lait spots

피부에 밀크커피색 반점

  • 정의: 피부에 불규칙적으로 생기는 연갈색 반점입니다.
  • 발생 시기: 보통 생후 1년 이후(영유아기)에 발생하며, 출생 시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 특징: 모양은 주로 타원형이며, 자라면서 점차 크기와 개수가 증가합니다. 전신에 생길 수 있는데, 특히 몸통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❷ 피부 접합부 주근깨Freckle

피부 표면, 겨드랑이, 서혜부, 목 아래

  • 정의: 겨드랑이, 서혜부, 목 아래 등 피부가 접히는 부분에 생기는 작은 연갈색 반점입니다.
  • 발생 시기: 보통 영유아기(3~5세)에 발생하며, 출생 시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 특징: 80~90%의 환자가 겪는 증상으로, 신경섬유종증을 조기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겨드랑이와 서혜부에서 시작해 더 넓게 퍼집니다.

❸ 리쉬 결절Lisch nodules

리쉬 결절

  • 정의: 홍채 안에 생기는 작은 좁쌀 모양의 피부 병변입니다.
  • 발생 시기: 보통 아동기(5~6세)에 발생하며, 대부분의 성인 환자에게서 관찰됩니다.
  • 특징: 시력이나 시각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❹ 다발성 신경섬유종Neurofibromas

피부 표면

  • 정의: 피부 표면에 생기는 피부 신경섬유종, 진피와 피하 지방에 생기는 피하 신경섬유종, 신경을 따라 생기는 총상 신경섬유종으로 나뉩니다.
  • 발생 시기: 보통 10대에 발생하며, 사춘기 호르몬 변화로 증상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 특징: 종양 대부분은 양성이지만, 드물게 악성 말초신경초종양이 되어 만성 통증과 골격 이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시신경 교종Optic glioma

시신경교종

  • 정의: 시각을 담당하는 신경에 생기는 종양입니다.
  • 발생 시기: 보통 사춘기 이전에 발생하며, 4~6세의 아동기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특징: 안구 돌출, 시력 저하, 사시, 색맹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❻ 골 형성 장애

골형성장애

  • 정의: 뼈가 잘 형성되지 않거나 발달이 이뤄지지 않는 증상입니다.
  • 발생 시기: 주로 급격한 성장을 겪는 아동기에 발생합니다.
  • 특징: 척추 측만증, 비대칭적으로 휜 다리, 골반 틀어짐, 안면 비대칭으로 인한 성장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❼ 기타

  • 내분비장애(호르몬 불균형, 말단비대증, 성조숙증 등), 학습장애, 신경장애(두통, 뇌전증), 고혈압

진단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정한 국제적 진단 지침 기준에 제시된 7개 항목 중 2개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신경섬유종증 1형으로 진단합니다.

  1. 6개 이상의 밀크커피색 반점
    *사춘기 이전: 직경 5mm 이상, 사춘기 이후: 직경 15mm 이상
  2. 형태에 상관없이 신경섬유종 2개 이상 또는 총상 신경섬유종 1개 이상
  3. 겨드랑이 또는 서혜부 주근깨
  4. 시신경 교종
  5. 리쉬 결절 2개 이상
  6. 골격계 이상
  7. 신경섬유종증 1형 가족력 *4촌 이내

이 외에도 MRI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이 이뤄지며, 임상 진단은 평균 10세 이전에 가능합니다.


주요 유전자

NF1

뉴로파이브로민의 생성을 담당합니다. 이 단백질은 세포가 조절되지 않는 방식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분열하는 것을 막아 ‘종양 억제 단백질’로도 불립니다.

신경섬유종증 1형과 관련된 NF1 유전자 변이는 약 1,000개 이상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은 뉴로파이브로민을 원래보다 짧아지게 해 세포 분열에 문제를 일으킵니다.


유전 방식

100% 상염색체 우성

100% 상염색체 우성

신경섬유종증 1형으로 진단을 받았다면?

질환을 인증하고 다양한 혜택을 누려보세요.

자세히 보기

참고 문헌
  1. 희귀질환정보. 질병관리청.
  2. NF1 gene. Genetics Home Reference.